하절기 조교의 문제점과 극복방법
무더운 여름에는 사람도 몸이 나른해지고 기운이 없다. 더위를 먹어 건강을 잃기도 쉽다. 그러므로 많은 사람들이 보양식을 찾거나 보약으로 늘어진 몸을 추스르려고 한다. 이런 때일수록 적절한 운동과 규칙적인 식사가 중요하다.
말도 마찬가지다. 기온과 습도가 올라가면 체온이 높아지고 호흡도 거칠어진다. 식욕이 떨어져 사료도 남긴다. 그러므로 자연히 체력이 감소하고 운동능력도 떨어지기 쉽다. 뜨거운 뙤약볕에 장시간 노출되거나 무리한 운동을 하면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다. 따라서 여름철에 경주마에게 문제가 될 만한 것들을 알아보고 그 대책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피 로
여름철에 경주에 출전을 했거나 무리한 조교를 한 경우에는 피로가 누적된다. 말이 주로에 나가서도 그다지 속도를 내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누적된 피로가 풀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런 정도가 되면 한동안 휴식을 시킨 후 다시 조교를 해야 한다. 얼마나 피로가 풀렸는지는 주로에 나가 준비운동을 한 후 짧게 최대 스피드를 내보면 알 수가 있다. 최대 스피드가 종전만큼 나지 않으면 아직 피로가 덜 풀린 것이다. 좀더 휴식을 시켜야 한다. 그렇다고 휴식기간에 마냥 마방에 세워만 두어서는 안된다. 그동안의 조교 효과를 보전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으로 평보 내지 가벼운 속보운동을 시켜야 한다.
체온상승
말이 운동을 하면 활발한 대사활동으로 몸에서 상당량의 열이 발생된다. 이러한 열은 피부를 통해 체외로 발산되어 체온이 조절된다. 그러나 더운 날씨에 강한 운동을 시키면 사정은 달라진다. 외기의 온도가 높아 체표열이 쉽게 발산되지 않기 때문에 체온이 올라간다. 더운 날씨에 적응되지 않은 말이 습보운동(경주)을 하면 체온이 위험 수위인 섭씨 41도를 넘어설 수 있다.
그러므로 서서히 고온에 적응하는 훈련을 시킬 필요가 있다. 말은 기온에 적응하여 스스로 체온을 유지하려고 생리적인 노력을 한다. 체열조절 메커니즘으로 피부 밑의 혈관이 확장되어 온도가 상승된 혈액을 피부쪽으로 보내 그 열을 공기 중으로 방출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심박수 증가를 통해 피부쪽으로의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결국 피부는 효과적인 라디에이터(열발산) 기능을 한다. 뿐만 아니라 피부에 있는 땀샘의 기능이 활성화되어 땀으로 분비된 수분이 체표에서 증발하며 체온을 낮춰준다.
피부에 혈류증가
더운 날씨에는 땀을 많이 흘려 체액이 손실되고 피부혈관이 확장되어 많은 혈액이 피부에 집중된다. 그렇게 되면뇌로 공급되는 혈액이 감소하여 중추신경계가 손상을 받는다. 결국 체온조절중추가 마비되어 열사병에 걸린다. 따라서 열사병을 예방하려면 피부의 혈류량을 줄여줘야 하는데 샤워 등의 방법으로 피부를 냉각시키는 게 좋다.
열 사 병
기온과 습도가 높고 오랫동안 환기가 잘 안되는 마방에서 잘 발생한다. 휴식하고 있던 말이든 운동을 한 말이든 모두 발생할 수 있다. 증상은 몸이 허약해지고 호흡이 빨라지며 맥박과 체온(40~41도)이 상당히 증가한다. 심하면 근육 경련이 오고 쇼크가 발생된다. 이때 가장 중요한 처치는 냉수로 샤워를 시켜 체온을 떨어뜨리는 것이다. 또한 신선한 물을 공급해 주고 환기가 잘 되는 곳에 있게 한다. 수의사의 수액처치를 받으면 회복에 훨씬 도움이 된다.
탈 수
탈수도 높은 기온과 관련하여 발생한다. 마체의 경우 수분에 의해 신진대사와 항상성이 이루어진다. 체내의 복잡한 생리학적·생화학적 반응들이 수분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수분은 더운 날씨에 땀으로 분비되어 체온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장시간 지속적인 운동을 하면 혈액 중의 수분이 땀으로 배출되고 혈액이 농축되어 혈액순환이 안될 뿐만 아니라 체내의 전해질이 땀과 함께 손실되어 신경과 근육에 이상을 초래한다. 이렇게 무더운 기후에서 지속적으로 운동할 경우 마체에는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줄이기 위해서는 몇가지의 방법이 있다.
우선 마체를 높은 기온에 순응시켜야 한다. 마체를 더운 기후에 적응시키기 위해서는 7~10일의 기간이 걸린다. 이 기간 중 말의 심박수는 떨어지고 땀을 많이 흘리게 되며, 땀이 나기 시작하는 시점도 점차 빨라진다. 이때 좀더 강하게 운동을 시키면 적응 효과가 높아진다. 일단 말이 더운 기후에 적응되면 그 적응력은 한동안 지속된다.
날씨가 더운 날에는 준비운동을 짧게 시킨다. 준비운동은 말의 체온을 안정시보다 1도 정도 상승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왜냐하면 말의 체온이 39도 정도 되었을 때 조교효과가 가장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겨울에는 준비운동을 길게 해야 하지만 여름에는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더운 날씨에 경주에 출전할 말은 더운 기후에서 조교시켜야 한다. 일주일 정도 조교시키면 대체로 적응이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조교관습상 대개 기온이 선선한 이른 아침에 조교를 시키려고 한다. 그것은 조교할 때는 좋지만 경주 또는 경주 후에는 좋은 영향을 주지 못한다. 대부분의 경주는 기온이 가장 높은 오후에 실시되기 때문이다. 말들이 이런 더운 날씨에 적응돼 있지 않으면 그동안 조교된 능력을 경주에서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마체에 심한 손상을 받아 경주 후에도 피로회복이 지연되거나 심하면 열사병에 걸리게 된다.
습기 또는 비
더운 날씨에 높은 습도는 말이 운동하는 데 장애요인이 된다. 상대습도가 높고 바람이 적은 날에는 땀이 나도 증발이 잘 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체내의 열이 발산되지 못하여 열사병에 걸리기 쉽다. 습도가 높은 무더운 날에는 강한 운동 또는 장시간 운동을 자제해야 한다.비오는 날 조교하는 것은 큰 문제가 없다. 비오는 날은 일반적으로 기온이 그다지 높지 않기 때문이다. 더운 여름철에 비를 맞으며 운동하는 것은 말에게 어떤 기분전환이 될 수도 있다. 또한 경주일에 비가 오는 상황을 대비하여 비를 맞으며 조교하는 것도 하나의 적응훈련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여름철은 다른 계절보다도 말이 운동하는 데 여러가지 장애요인이 많으므로 말을 관리하는 사람은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운동뿐 아니라 사양관리에도 많은 주의를 요한다. 또 여름철에는 사료가 잘 변질되므로 사료관리에 신경을 써야 하며, 각종 질병이 유발되기 쉬우므로 보건관리에 관심을 집중시켜야 한다. 땀을 통한 체액손실로 탈수가 되지 않도록 충분히 수분을 공급해야 하며, 전해질이 부족하기 쉬우므로 전해질 첨가제도 신경 써서 공급해야 한다.
김병선 / 핸디캡 과장
무더운 여름에는 사람도 몸이 나른해지고 기운이 없다. 더위를 먹어 건강을 잃기도 쉽다. 그러므로 많은 사람들이 보양식을 찾거나 보약으로 늘어진 몸을 추스르려고 한다. 이런 때일수록 적절한 운동과 규칙적인 식사가 중요하다.
말도 마찬가지다. 기온과 습도가 올라가면 체온이 높아지고 호흡도 거칠어진다. 식욕이 떨어져 사료도 남긴다. 그러므로 자연히 체력이 감소하고 운동능력도 떨어지기 쉽다. 뜨거운 뙤약볕에 장시간 노출되거나 무리한 운동을 하면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다. 따라서 여름철에 경주마에게 문제가 될 만한 것들을 알아보고 그 대책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피 로
여름철에 경주에 출전을 했거나 무리한 조교를 한 경우에는 피로가 누적된다. 말이 주로에 나가서도 그다지 속도를 내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누적된 피로가 풀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런 정도가 되면 한동안 휴식을 시킨 후 다시 조교를 해야 한다. 얼마나 피로가 풀렸는지는 주로에 나가 준비운동을 한 후 짧게 최대 스피드를 내보면 알 수가 있다. 최대 스피드가 종전만큼 나지 않으면 아직 피로가 덜 풀린 것이다. 좀더 휴식을 시켜야 한다. 그렇다고 휴식기간에 마냥 마방에 세워만 두어서는 안된다. 그동안의 조교 효과를 보전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으로 평보 내지 가벼운 속보운동을 시켜야 한다.
체온상승
말이 운동을 하면 활발한 대사활동으로 몸에서 상당량의 열이 발생된다. 이러한 열은 피부를 통해 체외로 발산되어 체온이 조절된다. 그러나 더운 날씨에 강한 운동을 시키면 사정은 달라진다. 외기의 온도가 높아 체표열이 쉽게 발산되지 않기 때문에 체온이 올라간다. 더운 날씨에 적응되지 않은 말이 습보운동(경주)을 하면 체온이 위험 수위인 섭씨 41도를 넘어설 수 있다.
그러므로 서서히 고온에 적응하는 훈련을 시킬 필요가 있다. 말은 기온에 적응하여 스스로 체온을 유지하려고 생리적인 노력을 한다. 체열조절 메커니즘으로 피부 밑의 혈관이 확장되어 온도가 상승된 혈액을 피부쪽으로 보내 그 열을 공기 중으로 방출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심박수 증가를 통해 피부쪽으로의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결국 피부는 효과적인 라디에이터(열발산) 기능을 한다. 뿐만 아니라 피부에 있는 땀샘의 기능이 활성화되어 땀으로 분비된 수분이 체표에서 증발하며 체온을 낮춰준다.
피부에 혈류증가
더운 날씨에는 땀을 많이 흘려 체액이 손실되고 피부혈관이 확장되어 많은 혈액이 피부에 집중된다. 그렇게 되면뇌로 공급되는 혈액이 감소하여 중추신경계가 손상을 받는다. 결국 체온조절중추가 마비되어 열사병에 걸린다. 따라서 열사병을 예방하려면 피부의 혈류량을 줄여줘야 하는데 샤워 등의 방법으로 피부를 냉각시키는 게 좋다.
열 사 병
기온과 습도가 높고 오랫동안 환기가 잘 안되는 마방에서 잘 발생한다. 휴식하고 있던 말이든 운동을 한 말이든 모두 발생할 수 있다. 증상은 몸이 허약해지고 호흡이 빨라지며 맥박과 체온(40~41도)이 상당히 증가한다. 심하면 근육 경련이 오고 쇼크가 발생된다. 이때 가장 중요한 처치는 냉수로 샤워를 시켜 체온을 떨어뜨리는 것이다. 또한 신선한 물을 공급해 주고 환기가 잘 되는 곳에 있게 한다. 수의사의 수액처치를 받으면 회복에 훨씬 도움이 된다.
탈 수
탈수도 높은 기온과 관련하여 발생한다. 마체의 경우 수분에 의해 신진대사와 항상성이 이루어진다. 체내의 복잡한 생리학적·생화학적 반응들이 수분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수분은 더운 날씨에 땀으로 분비되어 체온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장시간 지속적인 운동을 하면 혈액 중의 수분이 땀으로 배출되고 혈액이 농축되어 혈액순환이 안될 뿐만 아니라 체내의 전해질이 땀과 함께 손실되어 신경과 근육에 이상을 초래한다. 이렇게 무더운 기후에서 지속적으로 운동할 경우 마체에는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줄이기 위해서는 몇가지의 방법이 있다.
우선 마체를 높은 기온에 순응시켜야 한다. 마체를 더운 기후에 적응시키기 위해서는 7~10일의 기간이 걸린다. 이 기간 중 말의 심박수는 떨어지고 땀을 많이 흘리게 되며, 땀이 나기 시작하는 시점도 점차 빨라진다. 이때 좀더 강하게 운동을 시키면 적응 효과가 높아진다. 일단 말이 더운 기후에 적응되면 그 적응력은 한동안 지속된다.
날씨가 더운 날에는 준비운동을 짧게 시킨다. 준비운동은 말의 체온을 안정시보다 1도 정도 상승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왜냐하면 말의 체온이 39도 정도 되었을 때 조교효과가 가장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겨울에는 준비운동을 길게 해야 하지만 여름에는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더운 날씨에 경주에 출전할 말은 더운 기후에서 조교시켜야 한다. 일주일 정도 조교시키면 대체로 적응이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조교관습상 대개 기온이 선선한 이른 아침에 조교를 시키려고 한다. 그것은 조교할 때는 좋지만 경주 또는 경주 후에는 좋은 영향을 주지 못한다. 대부분의 경주는 기온이 가장 높은 오후에 실시되기 때문이다. 말들이 이런 더운 날씨에 적응돼 있지 않으면 그동안 조교된 능력을 경주에서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마체에 심한 손상을 받아 경주 후에도 피로회복이 지연되거나 심하면 열사병에 걸리게 된다.
습기 또는 비
더운 날씨에 높은 습도는 말이 운동하는 데 장애요인이 된다. 상대습도가 높고 바람이 적은 날에는 땀이 나도 증발이 잘 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체내의 열이 발산되지 못하여 열사병에 걸리기 쉽다. 습도가 높은 무더운 날에는 강한 운동 또는 장시간 운동을 자제해야 한다.비오는 날 조교하는 것은 큰 문제가 없다. 비오는 날은 일반적으로 기온이 그다지 높지 않기 때문이다. 더운 여름철에 비를 맞으며 운동하는 것은 말에게 어떤 기분전환이 될 수도 있다. 또한 경주일에 비가 오는 상황을 대비하여 비를 맞으며 조교하는 것도 하나의 적응훈련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여름철은 다른 계절보다도 말이 운동하는 데 여러가지 장애요인이 많으므로 말을 관리하는 사람은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운동뿐 아니라 사양관리에도 많은 주의를 요한다. 또 여름철에는 사료가 잘 변질되므로 사료관리에 신경을 써야 하며, 각종 질병이 유발되기 쉬우므로 보건관리에 관심을 집중시켜야 한다. 땀을 통한 체액손실로 탈수가 되지 않도록 충분히 수분을 공급해야 하며, 전해질이 부족하기 쉬우므로 전해질 첨가제도 신경 써서 공급해야 한다.
김병선 / 핸디캡 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