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formation and Function in the Riding Horse

Use - types of horses | Where to find horses of riding type | Posture vs. structure | Straightness | Roundness and collection | Rate of skeletal maturity | Links to images | Additional references | About the Author

Take-home message

  • Conformation is the study of body proportions. Body proportions depend primarily upon the underlying skeletal structure. However, many "apparent" conformational features are actually produced by posture (the way the animal carries itself) rather than structure. It is important to differentiate the two.
     
  • Judgements as to what is "good" in conformation depend upon the work or use that the horse is intended to do. There is no one "good" shoulder, pastern, or pelvic structure.
     
  • Determining what is "good" conformation also depends upon an understanding of basic biomechanics, or how the body works. Understanding the rate of skeletal maturation is also important. There is much published misinformation in these areas.
     
  • Horses today may usefully be classified into five general types: riding horse, flat-racer, carriage and harness horse, draft horse, and "projects."
     
  • A well-conformed riding horse does not look like a well-conformed flat racer. Thus, in order to train the horse intelligently or to ride it well, it is first necessary to know the use-type to which your horse belongs. To a great degree, this will be determined by his parents and grandparents. Structure cannot be altered, but the way the animal uses himself can be modified through training.

Use - Types of Horses

Horses today may be usefully classified into five general "use types": riding horse, flat-racer, carriage and harness horse, draft horse, and "project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three most common types and their most important conformational points. (Please refer to images 1 through 7 for explanation of terms.)

Riding Horses: The job of the riding horse is to carry weight over a distance of ground. The riding horse must go from "point A" to "point B" over and over again over a long span of years, while remaining sound.

Loins: broad from side to side, deep from loin to groin, short from hips to ribs. The ideal is to have a smooth, strong coupling. This (and not the height of the horse) is the most significant determinant of its ability to carry weight

Overall body balance: level to slightly uphill.

Neck: shaped to arch readily.

Head: must be symmetrical, not too bent or too short or fine in the muzzle.

Pelvis: 18 to 22 degrees of slope is ideal. Very shallow or very steep pelvic angles are problematic. Moderate length is sufficient.

Limbs and feet: Ideal is 8" of "bone" per 1,000 lbs. weight. The broadest possible hock, and correctly aligned hindlimbs, are a real plus.

Race Horses: The job of the flat racer is to go as fast as possible over a relatively short distance. Flat racers go from "point A" to "point B" in the shortest possible time, and in many cases need do this only one or a few times. Their careers terminate when their soundness sufficiently disintegrates.

Loins: narrow from side to side; moderately deep from loin to groin; long from ribs to pelvis. The ideal is for a smooth topline through this region, but in many cases it is not. The emphasis here is on flexibility, for coiling/uncoiling the loins is the most significant determinant of stride length and hence the ability to cover ground.

Overall body balance: downhill to the front. The shorter the distance over which the animal is to be raced, the more downhill the build must be. Sprinters are built more downhill than milers.

Neck: Thin and straight.

Head: Symmetry is good but its lack can to some extent be compensated for; head must not be too large.

Pelvis: 18 to 22 degrees of slope is ideal. Shallower angles can, however, be tolerated and may add to speed. Steep pelvic angles are undesirable. The greatest possible pelvic length is desirable.

Limbs and Feet: 7" of "bone" per 1,000 lbs. of weight is sufficient. Amounts over 8" are undesirable. Bones composing the forelimbs must have absolutely correct alignment.

Projects: We can laugh about this category a little bit together, for most of us own "projects" of one type or another. I cite two common types of "project":
1. The rescue case, and
2. The horse being used out of his type.

All "projects" are desirable insofar as they tend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horsemanship. However, the owner must not expect the "project" to succeed as fast or perhaps ultimately not as well as the animal that has had the best of care and which is used within its type.

We can all appreciate the horsemanship that goes into some of the more "obvious" instances of use-out-of-type. For example, let us say that a man buys a small-sized Belgian mare, and then decides that he wants to train her for exhibition as a Reining horse. There is nothing wrong with this at all, the horse will be able to do it, the man will learn a lot by trying it, and if he does a good job, the animal will not only remain sound but will put on some mighty entertaining exhibitions of reining maneuvers done in its own "style". "Open" competitions are great because they permit this kind of experimentation and everybody, including the judges and spectators alike, learns something valuable.

What is less easy to smile about is to realize that MOST horse owners in North America are, in fact, riding projects - without realizing it.

A race horse is not a riding horse.

The most commonly owned breeds of horse in North America are Thoroughbreds, Quarter Horses, and Appaloosas. Historically, all Thoroughbreds and Quarter Horses were bred for one primary money-making activity, flat racing. Since the incorporation of the Appaloosa Horse Club in the 1940's, most of those horses, especially in the U.S., have also been bred for flat racing.

While it is true that the trend in all of these breeds since about 1960 has been toward finding viable, economically productive uses for individual animals that are not going to have racing careers, all of them, even when crossbred, inherit significant racing character from their ancestors.

It is certainly possible to find individual Thoroughbreds and Quarter Horses that are "off type" for racing – and thus suitable as riding horses. Within Thoroubhreds, the English, Point-to-Point, or Field Hunter type or i.e. what in the U.S. is bred for the one paying race longer than 2 miles, the Maryland Hunt Cup – tends to be well suited for riding, particularly in the matter of overall body balance. Within Quarter Horses, the Doc Bar, Lena, and Poco bloodlines also tend to produce more up-fronted horses with strong, short loins, necks that tend to arch, and a more level fore-aft balance.

With the gradual expansion in the market for riding horses and an increasing need to put retired racehorses or excess production to some other use, the horse industry has developed sophisticated techniques for "converting" these animals for riding use. Over the past century and a half many of these techniques have become traditional, for example, the use of cavalletti and jump gymnastics to teach ex-racehorses how to rate distances and balance themselves over their hocks, skills which no racehorse needs. As a measure of how far we have gone in this direction, I would like to suggest considering the opposite possibility: what reason would there be not to have a match race for money over, say, a mile and a half distance, for a group of promising young Walking Horses? What specific training techniques would be required to teach these animals how to extend and flatten their gallop stride?

Where to Find Horses of Riding Type

The breeds of horse in which most individuals are conformationally suited to riding are those which are of medium to small size, and which have no racing history. These include for example Andalusians, Lusitanos, Lipizzans, Paso Finos, Peruvian Pasos, Criollos, Coralleros, Old Canadians, Mustangs, Morgans, Mangalargas, American Saddlebreds, Tennessee Walkers, and Missouri Foxtrotters. Iberian blood is a prominent feature here, as is the tendency to gaitedness. Collection at all gaits and maneuvers is remarkably easy for these animals.

The Arabian breed produces many individuals suitable for riding, while also producing a significant number suitable for flat racing. Davenport and other Old Egyptian bloodlines, as well as some of the rarer antique American bloodlines, produce short-coupled horses with round bodies, a good cut of withers and shoulder, arched necks that are not too long or fine, and good bone. The Polish and Crabbet lines also produce significant numbers of horses suitable for riding.

The "old type" Appaloosa is also a good candidate for a riding horse - if you can find one. These horses look nothing like either Arabians or Quarter Horses, but instead are tall and somewhat angular, often with a long rather boxy head. They are distinguished by outstanding bone and hoof quality, and a remarkably long, elastic stride. The majority of horses of this type are to be found in Southwestern Canada.

Modern Warmbloods are produced by crossing large amounts of Thoroughbred onto a population originally conformed as another use-type, carriage and harness horses. This use-type, though not outlined in detail here, contains many features desirable in riding horses, particularly strong, wide loins and level or uphill body balance. The purpose for crossing these horses with Thoroughbreds (or occasionally Arabians) has been to reduce the size and bulk of the animals, for being over-large is problematic in a riding horse. Horses that weigh over 1450 lbs. have proven significantly less sound and hardy for riding use than horses that weigh less. Results of crossbreeding to produce Warmbloods are variable, with some beautiful individuals being produced among a large majority of animals which do not find collection, or the maneuvers which flow from it (i.e. passage, piaffe, pirouette, half-pass) particularly easy.

The most highly under-rated and under-acknowledged crossbred in North America today is the Quarab or Quarter Horse X Arabian. These animals are bred by the thousands all across the continent, and I have rarely seen a poor one. They tend to be more levelheaded and easygoing than Arabians, while being much better balanced and having better bone and hoof quality than the Quarter Horse. They are excellent "first horses", being sound, durable, not too large, easy to train and handle, and apt for collection.

Another crossbred that is now becoming readily available in North America is the Azteca. Animals registered in the Mexican breed organization have been produced by a careful process of graded inter-crossing of Andalusian sires on Quarter Horse mares. The resulting animal is similar to the Quarab, but somewhat larger and sometimes with a heavier neck.

The retired American Standardbred trotter can also make a good riding horse, some of them being very similar to American Saddlebreds in build. These animals do require re-training, however: the pacer will have to be helped to either gait or trot (instead of hard pace), and either type needs to be shown that nobody in its new environment is going to punish it if it canters.

The odd crossbred also will make a delightful riding horse. One of the best I ever saw was a Belgian X American Saddlebred, with the sire being the latter. The traditional British product, the Irish Draft, is another good prospect, as is the French Anglo-Arab. Indeed, any horse of any breed, crossbred or purebred, if it possesses the features of Riding horse type, will make a good riding horse.

Posture VS. Structure

A general way to think of posture is "how the horse carries himself" or even "how the horse uses himself." Technically, posture relates to the vertebral column, particularly to the correct alignment of the vertebrae. Static posture is the posture the animal maintains while standing still, and dynamic posture is the oscillation of the animal's back and resultant swinging of its limbs when it is moving.

Let me repeat that last statement about dynamic posture in another form:

The oscillations of the back determine the style and range of limb movements.

Or, in short: back dynamics govern limb dynamics. What the back does predetermines what the limbs will do.

What this means in terms of riding and training is that you must "shape up" the animal's axial body before you can expect the limbs to do what you're hoping and expecting them to do.

Straightness

Another way to think of "vertebral alignment" is as straightness. Straightness is absolutely vital to athletic performance, smoothness, beauty, or even the animal's ability to remain comfortable and calm while working. Since the body is a three-dimensional object, there are three senses in which the vertebral column can be shaped up:

  • Lean (side to side straightness: the master dimension)
     
  • Rotation (tipping head or tipping pelvis; the second dimension)
     
  • Roundness (coiling the loins, raising the freespan of the back, raising the base of the neck; the minor dimension).

For more information on the biomechanics of straightness, and its important (and subtle) connection to calmness and willingness in the horse, please go to www.equinestudies.org and, at the home page, click on the button labeled "Food for All." From there, read all five sections under "Woody" ("Woody" is the name of the model wooden horse that I built to illustrate some of these concepts).

Roundness and Collection

Roundness is the automatic result of straightness in the two more important dimensions.

Roundness is the lowest degree of collection.

Collection is a particular posture, one which best adapts the horse for movement and continuing soundness while bearing weight on its back.

Collection starts from, and is always primarily the product of, coiling of the loins (= "engagement of the hindquarters" in the modern sense). It is continued with the raising of the freespan of the back, and it is completed with the raising of the base of the neck.

Note that head position is not mentioned in the above definitions and descriptions. Neither is "strengthening the topline." Fullness of the topline and the appropriate head position are the results of collection, not the determinants of it. The same may be said for any feature of limb movement – when horses are collected, it is true that they raise and flex their knees and hocks more than when not collected, take shorter steps, progress forward more slowly, etc. It is unwise to focus on secondary effects. Focus on the determining posture instead, and you will almost automatically have all you desire and more -- and a horse that is sound and happy into the bargain.

Rate of Skeletal Maturity

This has been a really hot item for discussion on our website at www.equinestudies.org. What we call "the Ranger piece" on skeletal maturation has now been requested and reprinted in over 50 different publications worldwide. To review the complete discussion, at the home page click on "Q/A Forum," and when you arrive there look for the hot button at the top called "conformation analysis." Once there, scroll to the bottom and read the discussion of the young horse named Ranger.

Just a few points from that article are summarized here:

  • No horse, of any breed or bloodline, is mature before the age of 5 ½.
     
  • The earliest-maturing horses are small, scrubby, range-bred mares.
    Male horses tend to lag about 6 months behind female herd members kept under the same circumstances. Good feeding tends to prolong growth and delay maturity.
     
  • No horse is skeletally mature at age 2.
    There are bot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starting horses at age 2 or earlier. Unless there is a compelling economic reason, I advise waiting to start young horses undersaddle until they are 4.
     
  • There is more than one "growth plate".
    The one growth plate that most people know about is the one "at the knee" (actually, at the bottom of the radius-ulna bone just above the knee). Every bone in the skeleton outside the skull contains at least one growth plate. Each limb bone has one at the top, one at the bottom, and may have others (on prongs or projections such as the tip of the elbow or the third trochanter of the femur).
     
  • Maturation follows a definite pattern.
    Individual portions of the skeleton become mature when the growth plate nearest them fuses to the bone shaft. There is a schedule for this over the horse's body: the lower down in the limbs, the earlier in life the growth plates fuse.
     
  • The last parts of the skeleton to become mature are the vertebrae and teeth.
    The last teeth erupt in a male horse at age 5 ½ to 6. The last vertebral growth plates also fuse at about this age, or later.
     
  • The slowest-maturing horses are tall, long-necked individuals.
    Largeness itself tends to delay maturity, and long-necked horses tend to have the caudal cervical plates fuse quite late, even up to age 8.
  • Early riding can damage either the young horse's limbs or its back, although gross damage is rare. Subtle damage, which may only show up on X-ray, or which may show up even years later, is very common.

    Nevertheless, the main reason to avoid riding the 2 year old or younger horse is not to preserve its bones but to preserve its posture: young horses readily learn to clamp their back muscles to "defend" against the rider's weight, whereas 4 year olds and up rarely feel an instinctive need to do this. Not having learned to clamp their backs, these horses produce roundness and collection with much greater ease.

    Owners can and should learn how to handle young horses, and can teach them many things which build skills, muscle, and postural habits good for riding. Such a program starts with the foal's first lessons in haltering, leading, and having its feet handled.

Links to Images

Link to Deb Bennett's Skeleton image. (6kb)
Link to Deb Bennett's Palpations Points image. (6kb)
Image 1 - Horse Skeleton (26kb)
Image 2 - Palpation Points for
Conformation Analysis (18kb)
Image 3: Fig. - Perfect (20kb)
Image 4 - Primitive (18kb)
 
 
 
 
 
Image 5 - Pathological (19kb)
Image 6 - Pathogenic (21kb)
Image 7 - Areas of
Bone Formation (36kb)
 


.
Additional References

For more information on a wide variety of horsemanship, anatomy, and biomechanics topics, as well as many useful horse-related links, please visit the Equine Studies Institute website at www.equinestudies.org. The Institute also carries book reviews, used horse books, a huge annotated bibliography for further reading, and new books. Dr. Bennett's three available works, which include Principles of Conformation Analysis, Conquerors: The Roots of New World Horsemanship, and The Birdie Book: An Internal Geography of Horse and Rider, are described in the Institute website with information for ordering. Some of the illustrations provided in this article appear in Principles of Conformation.

Equine Studies Institute
P.O. Box 411 Livingston, CA 95334
www.equinestudies.org
Phone: 1-800-952-5813 or 1-301-977-3900 .

About the Author

Author Deb Bennett, Ph.D., is Director of the Equine Studies Institute in Livingston, California. She is a frequent contributor of articles on conformation evaluation in horses in several equine magazines, and is the author of several books on conformation and horsemanship. Dr. Bennett also teaches unique equine anatomy short-courses designed primarily for owners, trainers, therapists, and breeders.

This information was presented at, and appears in the Proceedings of, the 2002 Alberta Horse Breeders and Owners Conference.

The author, Deb Bennett, retains all rights under international copyright 1999-2002 law to the text and illustrations included in this article. Reproduction of this information, in any form, without the expressed consent of the author is prohibited.Deb Bennett, Ph.D.Equine Studies InstituteLivingston, California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7/04/30 20:10 2007/04/30 20:10
TAGS ,

Rear End Conformation
An Analysis by Lee Ziegler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Rear End One
Rear End Two
Rear End Three

While front  end conformation determines more how a horse will perform a gait than which gait he will do well, rear end conformation gives a good clue as to which gait a horse will do as well as how he will do it. 
 
 
사용자 삽입 이미지

The things to look at in rear end conformation are the placement of the lumbo sacral junction, the length of the hip, the angle of the pelvis, the placement of the hip socket on the pelvis, the relative lengths of the femur, tibia/fibula (bones from stifle to hock)  and cannon, and the angulation of the hip, stifle and hock.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These things will determine the ability or lack thereof of the horse to round his back (lower his hindquarters from the lumbo sacral junction).  They will also determine the type of step he takes in back —   long or, short, powerful and pushing or high and “hocky”. 

In general, horses with lumbo sacral junctions located directly over the hip bone, long hips (more than 30 % of their bodies) and pelvises that do not have a steep slope or a flat one (  approximately 20 degrees), hip sockets placed toward the center of the pelvis, femurs and tibia/fibulas at about the same length, and  are inclined to more diagonal gaits with a long, powerful pushing stride behind.  Horses with lumbo sacral junctions placed to the rear of the hip bone, short hips ( less than 1/4 of their body length), steep pelvic angles (more than 45 degrees)  or overly horizontal  ones, hip sockets placed toward the rear of the pelvis, short femurs and long tibia/fibulas are less likely to be able to round their backs and step strongly under themselves, and so are inclined to more lateral gaits, often with a shorter, higher step in back. 

Many of the traits of hind end conformation that are common in gaited horses can contribute to unsoundness if they are exaggerated or the horse is used for purposes that are not appropriate to his conformation.  For example, a horse with a long stifle to hock measurement, whose hock lies behind the point of his buttocks when the hind cannon is vertical (said to be “camped out”)  will take a long step in back with that hind leg and may have a good deal of overreach in his gait because of it.  This sort of hind leg is appropriate for long overreaching steps in a straight line on flat ground — however, it is not appropriate for quick turns, sliding stops or other maneuvers that are best done with downward flex from the lumbo sacral junction and the hock bearing weight under the mass of the body of the horse. It is also not the best construction for climbing steep hills or coming down them — again because the hock does bear weight  well under the mass of the body. 
 

 
사용자 삽입 이미지

Rear End One
This horse is posed in a slightly sickle hocked position, although I do not believe that the horse  is actually sickle hocked.  The hip is long and deep, the lumbo sacral junction is almost over the top of the  hip bone, the pelvis has a moderate angle, the femur and tibia/fibula are approximately the same length, and the hip socket appears to be set moderately toward the rear of the pelvis.

With this conformation this horse should have good power for hill climbing, moderate reach under the body, no high hock action and the ability to cut a cow if necessary. This horse’s  gait, all other things being equal (and there are a lot of things that are not visible in this picture that will have an effect on which gait the horse does) is most likely a fox trot or trail type running walk, if this is not a hard trotting  horse.


 
 
사용자 삽입 이미지

Rear End Two
Again, this horse is posed in a sickle hocked position and is indeed slightly sickle hocked.  His hip is relatively short compared to “ideal” trotting horse conformation and it is also steep, much steeper than that of either of the other two horses pictured.  His lumbo sacral junction lies well behind his hip bone. 

His femur is somewhat shorter than his tibia/fibula. His hock angles are quite open, his stifle angle somewhat closed.  All incline him to a lateral gait, with somewhat high “hocky”  action in his hind legs, and little or no over stride.  I would imagine that his gait is in the rack family, either corto/largo or stepped rack.  He would also be quite capable of hill climbing, and some quick or tight turns.


 
 
사용자 삽입 이미지
Rear End Three
This horse is posed with his hind legs somewhat angled, which makes it a little hard to see the exact placement of the hock in relation to the buttock.

 However, he does appear to be a bit camped out, that is his hock lies behind a plumb line drawn from the point of his buttock.  His hip is relatively short, his lumbo sacral junction lies behind his hip bones, his pelvis is not as steep as horse #2, and may be more horizontal than horse #1 (hard to tell with this pose).  His femur is relatively short, his tibia/fibula is relatively long, and his hind cannon is quite long.  His stifle is again somewhat closed in angle, and hock very open. 

This, assuming again that the rest of his body also fits a “gaited” model,  inclines him to a gait other than a trot, most likely a running walk, or perhaps a show type fox trot, and also inclines him to take long steps with his hind legs, over striding a considerable amount in the walk or his gait, but without high hock action.  He is built to move well over flat surfaces, but is probably not best suited to quick turns or sliding stops, or really steep hill climbing. 

Index of Conformation Analysis
http://www.gaitedhorses.net/ConformationLesson/RearEnds/RearEndConformationB.html

2007/04/30 19:50 2007/04/30 19:50
TAGS ,

Rear End Conformation
An Analysis by Liz Graves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Rear End One
Rear End Two
Rear End Three

 
When evaluating a horses’ hindquarters we must first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its function to the horses body. The hindquarters are “the power source” for forward and upward movement.  This power source is used to distribute the weight off the front quarters when the horse is in motion. 

Just as with the front quarters, the hindquarters must be evaluated for the strong and weak points in the structure. This is important to be able understand how to correctly engage the hindquarters for maximum efficiency of gaits without undue stress. 
This stress can come from:

  • Asking an individual to do more with their hindquarters than their structure will allow. 
  • Not asking a horse to use itself enough (or correctly) to maintain proper balance. 
  • Asking a horse to use itself incorrectly for it's specific structure. 
This power source of the hindquarters is transferred through the very important lumbosacral joint (where the loins meet the hip). This is the uppermost joint of the horses’ hind limbs. 
사용자 삽입 이미지

If this joint is too far behind the point of the hip can cause a horse to go more toward a ventoflexed  (hollow) gait. When this joint is closer to aligned over the point of hip this lends the horse more to a dorsiflextion (raised back). The most ventro gait being the pace, less the stepped pace,  sobreandondo, rack,  corto/ largo. Level, the running walk, slight dorsiflextion towards a fox trot and the trot being the most dorsiflextion.

Ventroflextion
Dorsiflextion
Pace
Stepped Pace,  Sobreandondo, Rack,  Corto/ Largo
Running Walk
Foxtrot
Trot

The area from the LS joint to the last rib is the Lumbar span. This area being long can also have a horse go toward a ventro gait and short to a dorsiflex gait. To long of functioning back can tend to be vento as well. But keep in mind length of back can be compensated by length of pelvis. 

A croup set higher than the wither can also cause a horse to be more ventro in gait. A high croup adds more weight to the front quarters making it harder for a horse to come off the ground in front and increasing concussion to the front hoofs. This can make for an uncomfortable ride.

A well balanced horse from front to back (such as a good TWH) is:

  • Up hill from stifle to elbow 
  • Down hill from hock to knee
  • The cannon bone is still short but has a long gaskin and shorter femur.


Remember that too much (or too little) of any specific component in desired hind structure can throw off the balance for a specific gait.

Also in evaluation, take into consideration the hind limbs: are they straight or more angular. 
 

Being too straight can cause: 
  • A stressed horse to become a stifled horse. 
  • Being too straight such as a post legged horse can also make for a rougher gait. 
사용자 삽입 이미지
Then there is sickle-hocked, which can put strain on the back of the hocks. It is not uncommon to see sickle hocks in some of our gaited breeds. The reason being to help a horse to get under it's self. A little bit of sickle hocks may be fine but I see it having (in some cases) gone far beyond the expectable limits for prolonged sound function.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Cow hocked has been taken to the extremes in some of the gaited breeds. A horse that is cow hocked puts more stress on the inside of the hock and the stifle. This is due to the stifle being pushed out, away from the side of the horse. A true cow hocked horse will also toe out and not be an efficient stopper and can be a rather sloppy mover behind.

 
Being camped out behind is not uncommon in some gaited horses. A true camped out horse is one that the cannon bone is not perpendicular to the ground, but are angled behind the hock. A horse that camps out behind can have more difficulty coiling the loins to bring the hocks under the body.
사용자 삽입 이미지

So far what I have covered is just a small start in all the factors that can effect hindquarter engagement. In looking for the easier points first, you will start to develop a good eye for the finer ones. Our gaited horses can have quite a variation and combinations of hindquarter structure! This is more evident in some of the American breeds that are made up of several other breeds.

Knowing what the gaits are and how they can be effected by a specific factor in the structure will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to develop the natural gaits of our horses. It is also important to breed for the strong points of structure that each breed needs to support their signature gait. 
 

 
사용자 삽입 이미지
Rear End One
This horse looks to be rather well balanced in the hindquarters but in relation to gait this horse is to long in the cannons and short in the gaskin to have overstride of the running walk. The length of the cannons making for a longer lever would cause this horse to lift the hocks higher before reaching forward.  The femur, gaskin ratio looks to be rather even and the lumbar span being short would make this horse go more to a trotting gait. This horse also looks to be short backed. So with all these combinations makes this horse more to move in dorsiflextion.
 
사용자 삽입 이미지
Rear End Two
This horse shows many interesting factors that could make for a less than comfortable ride. First the length of the hindquarters looks short; it does not look like it goes with the back and barrel of the horse. This horse is high in the croup making for a down hill horse to the front. This will make this horse heavy on the front. The lumbar span is long and could make this horse go very ventro being high in the croup as well. The pelvic angle on this horse is very steep making it very hard for this horse to get it's hindquarters up under it's self this also is causing this horse to be camped out behind. # 2 horse also shows being very toed out .The gaskin is longer than the femur. #2 horse would tend to go to a ventroflexed gait that being a very uncomfortable pace if he has the genetics to gait.

 
사용자 삽입 이미지
Rear End Three
# 3 has a bit longer hip and flatter pelvis angle than #2 and lumbar span more over the point of hip. The femur, gaskin ratio is about even. The right leg looks to be camped out but then look at the left hind and it is more under the horse. This makes it very hard to evaluate. The left hind also looks to be toeing out where the right does not. This horse looks to also lack any conditioning. In relation to achieving gait with this structure it seems to tend more to a dorsiflexed gait possibly a fox trot. 

These three horse are very different in how they are put together. Add the factor that we do not know in looking at a still picture what their genetic tendencies to gait are but we can tell by structure where they will excel or be limited by when we put all the elements together.

2007/04/28 13:30 2007/04/28 13:30
TAGS ,

2007.04.28

2007/04/28 04:27 / My Life/Diary
어디에나 나쁜 놈은 꼭 있다. 비뚤어진 입과 비뚤어진 눈과 왜곡된 나르시시즘의 병자들. 나르시스(나르키소스)는 요정들의 시기를 받아 우물 속에 비친 자기 모습을 사랑하게 됐고, 손을 뻗으면 흩어지는, 잡히지 않는 자신을 열망하다 결국 우물 속에 빠져 죽는다. 그래서 나르시스는 아름답다.

현대에는 똘아이 나르시스가 등장하는데, 이는 거울에 비친 자신을 열망한다. 자신을 잡을 손 치면 언제나 앞을 가로 막는 거울. 더욱이 자신이 열망하는 거울 속의 인물은 열망하면 할 수록 자신을 밀어낸다. 정작 밀어내는 건 본인의 열망, 욕망, 욕구가 전부. 이제 이 똘아이 나르시스는 거울로 달려든다. 나르시스는 죽음으로 완성되지만 똘아이 나르시스는 거울만 깨고 자신은 기어코 살아남는다. 이미 거울 속 자신의 모습에 반한 똘아이는, 단지 살아 있다는 이유만으로, 포기하지 못하고 거울을 다시 쳐다본다.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은, 비뚤어진 입과 비뚤어진 눈과 산산조각난 세계. 이제 똘아이는 자기가 창조한 왜곡된 자기, 곧 세상을 열망한다. 그가 바라보는 세상은 비뚤어졌고 자신 역시 마찬가지다. 하지만 여전히 닿을 수 없는 그 곳. 똘아이는 그저 거울 바깥에서, 살았다는 이유만으로 영원히 독설을 퍼붓는 것 외엔 할 일이 없다. 영원히 결코 만족할 수 없다.

어느 나르시스에게나 세상은 자신이 보는 것이 전부고 진리이며, 자신이 열망하는 것의 전부다. 이것이 나르시스에게 씌워진 저주의 굴레다. 시지프스가 신의 노여움을 사 영원토록 바위를 굴려야 하듯. 그러나 카뮈의 말처럼, 시지프스가 굴러떨어진 바위를 다시 올리러 내려갈 때, 유일하게 그 동안, 자신을 의식할 때, 그 순간 진리는 소멸된다.

다들 어느 정도는 비뚤어졌고 이기적이지만, 자신의 이기심을 채우기 위해 남을 희생물로 삼는 이들. 난세의 간웅이라고, 세상 어디던, 부분적으로라도 난세가 존재하는데, 꼭 거길 텃밭 삼아 영웅 행세하려드는 간웅들이 있다. 난세에는 언제나 간웅이 영웅으로 추앙 받고 반대자는 척결되거나 무시된다. 난세를 뒤엎을 자신이 없다면 그저 피하는 수밖에. 난세를 뒤엎어 평화가 온들 그 속에서 난세는 다시 박테리아처럼 번진다.

세상이나 인간이나 모두 부분적으로 아름답다. 한 병자 시인은 사랑 시만 줄기차게 쓰다가 북한이 핵을 개발하자 분연히 일어나 다 늦은 성토를 문학가의 소명으로 여긴다 운운. 그는 단지 그가 가꿔놓은 텃밭이 위협 받기를 두려워할 뿐이다. 안전한 때에, 안전한 자리에서, 당연한 말을, 대단하다는 듯이 하는, 똘아이에 버금가는 나르시스다. 영웅의 시대에 간웅을 성토하고, 간웅의 시대에 제 모든 것으로 간웅을 추앙하고 텃밭에 안주하는 것이 이런 자들이다. 세상은 그 자체가 시인데, 쓰레기 시와 개쓰레기 시인들이, 더욱이 그들이 추앙 받는 때문에, 부분적으로만 아름답다.


2007/04/28 04:27 2007/04/28 04:27
TAGS

http://www.gobestsite.co.kr/submenu/health.html

당신의 기대 수명은   살입니다.

보험 하나 들어야겠군...
2007/04/24 19:40 2007/04/24 19:40

Parisienne Walkways

2007/04/23 02:14 / My Life/Diary


Parisienne Walkways, Gary Moore

I remember Paris in '49.
The Champs Elysee, Saint Michel,
and old Beaujolais wine.
And I recall that you were mine
in those Parisienne days.

Looking back at the photographs.
Those summer days spent outside corner cafes.
Oh, I could write you paragraphs,
about my old Parisienne days.

항상 취해야 한다.
모든 문제가 거기에 있다.
그것만이 유일한 문제다.
당신의 어깨를 무너지게 하여 땅으로 꼬부라지게 하는
가증스런 시간의 무게를 느끼지 않기 위해서
당신은 쉬지 않고 취해야 한다.
그러나 무엇에 취한다?
술이든, 詩든, 德이든, 그 어느 것이든
당신 마음대로다.
그러나 어쨌든 취하라.
「취하라」中, 보들레르


2007/04/23 02:14 2007/04/23 02:14

고스트스톰자마
수 2006 KOR 흑갈색
전적:(0/0/0) 상금:0
DP:13,15,17,3,0  DI:3.22  CD:0.79
[ 0foals, 0sw AEI ]   [   6 ]
More Than Ready

흑 1997 USA  G1

16전(7,4,1)
1,005,229 USD
DI:1.77 CD:0.59
235 f, 14sw 2.35
Southern Halo
서던할로
갈 1983 USA *{1620} LS

24전(5,7,3)
344,875 USD
1379 f, 140sw 1.90
Halo
할로
흑 1969 USA *+{BC} LSB
724 f, 63sw 2.89
Hail To Reason
흑 1958 USA *{C} LS
Cosmah
갈 1953 USA {*DC} SW
Northern Sea

갈 1974 USA  SW
8 f, 5 w, 0 sw
Northern Dancer
갈 1961 CAN *+{BC} LSB
Sea Saga
밤 1968 USA  SW
Woodman's Girl

갈 1990   w

28전(3,0,0)
69,195 USD
4 f, 4 w, 1 sw
Woodman
우드먼
밤 1983 USA [C 1400] G3
1742 f, 103sw 1.53
Mr. Prospector
갈 1970 USA *+{BC} LSB
Playmate
밤 1975 USA  pl
Becky Be Good

갈 1981 USA  Unr
13 f, 5 w, 2 sw
Naskra
갈 1967 USA [S] SW
Good Landing
1965 USA  w
고스트스톰
GHOST STORM
회 1997 USA  Unr

0전(0,0,0)
0
DI:6.46 CD:0.99
0 f, 0 w, 0 sw
Silver Ghost
실버고스트
회 1982 USA [I] SP

6전(3,1,1)
42,400 USD
588 f, 46sw 1.50
Mr. Prospector
미스터프로스펙터
갈 1970 USA *+{BC} LSB
1195 f, 244sw 4.17
Raise A Native
밤 1961 USA {B} SW
Gold Digger
갈 1962 USA {*} SW
Misty Gallore

회 1976   G2
6 f, 3 w, 0 sw
Halo
흑 1969 USA *+{BC} LSB
Flight Dancer
회 1968 USA  w
Demi Souer

밤 1993 USA 

전(0,0,0)
0
0 f, 0 w, 0 sw
Storm Bird
스톰버드
갈 1978 CAN [I 1400] G1
699 f, 63sw 2.28
Northern Dancer
갈 1961 CAN *+{BC} LSB
South Ocean
갈 1967 CAN {*DC} SW
Sister Dot

갈 1985 USA  SP
9 f, 4 w, 1 sw
Secretariat
밤 1970 USA +{IC} LB
Sword Game
1976 USA  pl
 근친교배 Inbreeding  계통교배  부마계보  모마계보
 3Dx4S 미스터프로스펙터 Mr. Prospector 1970 USA
 3Sx4D 할로 Halo 1969 USA
 4Dx5S 골드디거 Gold Digger 1962 USA
 4Dx5S 레이즈어내티브 Raise A Native 1961 USA
생산자(Breeder) : 해피목장(윤흥열), 제주
마주(Owner) : 윤흥열


Pedigree by exhorse.co.kr
2007/04/22 17:28 2007/04/22 17:28
TAGS ,

Wayne Gretzky

2007/04/21 16:06 / My Life/Diary

사용자 삽입 이미지

You miss 100 percent of the shots you never take.
Wayne Gretzky
Canadian Champion hockey player (1961 - )
2007/04/21 16:06 2007/04/21 16:06
TAGS ,

독립선언자마 (한) 2007

Dosage Profile B I C S P
2 3 7 1 1
Dosage Index : 1.54 Center of Distribution : 0.28
근교계수 : 0.78%

자마인랑퍼

LANGFUHR
{IC}
DANZIG
{BC}
NORTHERN DANCER
NEARCTIC
NATALMA

PAS DE NOM
ADMIRAL′S VOYAGE
PETITIONER

SWEET BRIAR TOO

BRIARTIC
NEARCTIC
SWEET LADY BRIAR

PRIMA BABU
GUMMO
PRINCESS BABU

자마인스타

LUSKIN STAR

KAORU STAR
STAR KINGDOM
KAORU

PROMISING
IDOMENEO
MODERN TOUCH

JAMINE

MONTEVERDI
LYPHARD
JANINA

MADEMOISELLE MOLLY
NASHUA
DEAR APRIL

독립선언

BANKER′S GOLD
{Q}
FORTY NINER
{BC}
MR. PROSPECTOR
RAISE A NATIVE
GOLD DIGGER

FILE
TOM ROLFE
CONTINUE

BANKER′S LADY
{CS}
NIJINSKY
NORTHERN DANCER
FLAMING PAGE

IMPETUOUS GAL
BRIARTIC
IMPETUOUS LADY

MISNAN

NANTEQUOS
{CP}
TOM ROLFE
RIBOT
POCAHONTAS
{R}
MOCCASIN
NANTALLAH
ROUGH SHOD

MISTRESS GAY
{IC}
SIR GAYLORD
TURN-TO
SOMETHINGROYAL

THE BLONDE
WILD RISK
KISAKI
근친교배
  * NORTHERN DANCER 4S X 5D   * BRIARTIC 4S X 5D
   NEARCTIC 5S X 5S    TOM ROLFE 5D X 4D
2007/04/17 22:09 2007/04/17 22:09
TAGS ,

[동서양사상비교] 데리다와 장자의 글쓰기
데리다와 장자의 글쓰기
이승훈 _ 한양대 교수 / 시인  

데리다(J. Derrida)는 1930년 알제리에서 태어난다. 그는 1959년부터 프랑스에서 교육을 받고 파리고등사범학교 교수를 역임한 유대계 학자로 1965년 역사와 글쓰기를 다룬 책에 대한 장문의 서평을 발표하면서 대중의 시선을 끈다.

그는 1967년 세 권의 저서 《문자학(of grammat-ology)》, 《목소리와 현상(speech and phenomena)》, 《글쓰기와 차이(writing and differenc)》를 동시에 출판하면서 소쉬르, 후설, 프로이트에 대한 비판적 읽기를 통해 이른바 해체적 읽기 혹은 해체적 접근을 철학에 도입한다. 특히 1969년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에서 《인문과학 담론에서의 구조, 기호, 놀이》를 발표하면서 미국을 중심으로 이른바 해체주의 선풍을 일으킨다.


말과 글을 초월하는 글쓰기


위의 세 저서 가운데 《문자학》은 글쓰기에 대한 새로운 성찰을 강조하고 그것은 크게 소쉬르의 구조 언어학을 대상으로 한다. 물론 루소, 레비-스트로스, 하이데거, 니체 등도 대상으로 하지만 나는 이 글에서 주로 소쉬르의 언어 개념을 해체하는 그의 글쓰기 개념을 간단히 살피고 그가 강조하는 글쓰기와 장자의 언어 혹은 글쓰기를 비교하기로 한다.

그는 세 가지 수준에서 소쉬르를 비판한다. 첫째는 언어에는 차이만 존재한다는 소쉬르의 명제이고, 둘째는 언어 기호를 구성하는 기표(signifiant)와 기의(signifiie)가 자의적 관계에 있지만 소쉬르의 경우 궁극적으로 기의, 그것도 초월적 기의를 강조함으로써 이성중심주의를 지향한다는 것. 셋째는 문자 체계의 2차성이다. 소쉬르에 의하면 문자 체계의 기능은 언어를 표기하는 2차적 기능이고 언어는 음성 언어를 대상으로 하고 문자 체계는 배제한다. 따라서 소쉬르는 문자 체계, 글쓰기보다 음성 체계를 강조하고 결국 음성중심주의를 지향한다.

첫째로 언어의 본질이 차이에 있다는 소쉬르의 주장. 그에 의하면 언어 속에는 오직 차이만 존재하고 이 차이는 실체적 항목들의 차이가 아니라 이런 항목들이 존재하지 않는 차이이다. 말하자면 기표든 기의든 언어는 언어 체계 이전에 존재하는 관념이나 소리를 소유하는 게 아리나 오직 체계가 환기하는 개념적 차이와 음성적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F. D. Saussure, Course in General Linguistic, trans. w. Baskin, Philosophical Library, New York, 1959, 120).

이런 주장은 요컨대 언어는 체계이고 체계는 요소들의 관계, 곧 차이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 띠라서 기표와 기의가 의미를 소유하는 것도 체계 밖의 사물과는 관계없고 오직 체계에 의해, 그러니까 각 요소들의 차이에 의해 의미를 생산한다. 예컨대 ‘나’라는 낱말은 실체를 지시하거나 그런 실체를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인칭 체계 곧 ‘나/너’의 차이에 의해 의미를 생산한다. ‘나’라는 낱말이 기표의 수준에서 그렇다면 ‘산’이라는 낱말은 기의의 수준에서 ‘산/들’의 차이가 의미를 생산한다.

그러나 데리다에 의하면 이렇게 구조적 차이로만 존재하는 요소들 역시 존재하는 게 아니다. 말하자면 차이에 의해 각 요소가 존재하는 게 아니라 차이에 앞서 존재하는 혹은 차이를 가능케 하는 어떤 것을 전제하기 때문이다.

그의 주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음성적 요소가 감각적인 것은 이 요소에 형식을 부여하는 차이 혹은 대립을 전제로 한다. 쉽게 말하면 차이에 앞서는 순수한 차이, 운동이 있다는 것. 한 요소가 음성적 실체로 환원되는 것은 이런 차이 때문이다. 이런 차이는 기원적 종합을 전제로 하고 이런 종합을 기원적 흔적이라고 할 수 있다. 시간적 경험의 최소 단위 속에는 언제나 과거 파지(retention)가 있고 이렇게 타자를 보유하는 흔적이 없다면 차이도 없고 의미도 나타날 수 없다. 따라서 문제는 구성적 차이가 아니라 오히려 내용이 결정되기 전에 순수한 운동이 차이를 생산한다는 점이다. 요컨대 순수한 흔적이 차연(differance)이다. 차연은 감각과 지성을 초월하며 기호의 분절을 허용하고 기표와 기의, 표현과 내용, 말과 글의 분절을 허용한다. 이런 의미에서 언어는 이미 글쓰기(ecriture)이다. 한 마디로 차연은 형식을 형성한다(J. Derrida, Of Grammatology, trans. G. C. Spibak, The Johns Hopkins Univ. Press, 1974, 62~63).

이런 주장을 통해 데리다가 강조하는 것은 소쉬르가 말하는 언어에는 차이만 있다는 주장을 해체한다. 그는 소쉬르에 기대 소쉬르를 뚫고 새로운 개념/비개념에 도달한다. 소쉬르는 차이를 강조하고 데리다는 이 차이 너머 있는 것, 이런 차이를 형성하는 것, 곧 차연을 주장하기 때문이다. 차연은 순수한 운동이고 순수한 흔적이고 그가 말하는 광의의 글쓰기이다.

결국 그가 말하는 글쓰기는 협의의 글쓰기가 아니고 그가 애용하는 차연, 흔적, 텍스트 등과 비슷한 개념이다. 우리는 흔히 말과 글, 말하기와 글쓰기를 구분한다. 그러나 데리다가 강조하는 것은 이런 구분, 차이, 형식을 가능케 하는 글쓰기이고 그런 점에서 광의의 글쓰기이고 원-글쓰기(arch-ecriture, arch-writing)이다.

이런 글쓰기는 기원적 흔적이고 차연이고 협의의 말과 글을 초월하고 협의의 말과 글 이전에 있다. 차연은 시간/공간의 2항 대립이 해체되는, 그런 점에서 존재·사물·언어는 자기동일성이 없고 있는 건 오직 시간적 지연과 공간적 차이이다. 앞에서 낱말의 의미는 절대적으로 현존하는 게 아니라 언제나 과거의 의미를 파지한다고 했거니와 이제 좀더 자세히 데리다가 말하는 글쓰기, 곧 광의의 글쓰기가 협의의 말/글 속에 어떻게 기원적 흔적으로 드러나는가를 살피기로 한다.


고기를 잡으면 통발을 잊어버려라


일본 철학자 도시히코는 데리다의 에크리튀르를 다음처럼 분석한 바 있다. 요약하면 이렇다. 먼저 협의의 글쓰기, 소쉬르의 용어로는 문자 체계의 경우 공간성은 존재하고 시간성은 완전히 부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a-b-c-d의 순서로 글을 쓰는 경우 공간성은 그대로 존재하고 시간성, 곧 계기적 질서 역기 완전히 소멸하는 게 아니다. 왜냐하면 a를 적고 다음에 b를 적을 때 a는  앞에 존속하고 c를 적을 때도 앞에 b가 존속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협의의 글쓰기는 전통적으로 인식된 것처럼 공간성만을 특성으로 하는 게 아니다.

한편 말, 소쉬르의 용어로는 발화(parole)의 경우 공간성은 소멸하고 시간성의 지배를 받는다. a를 말하고 다음 b를 말할 때 a는 소멸하고 c를 말할 때 다시 b가 소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소멸은 기표의 경우에 해당하고 기의의 경우에는 a를 말하고 다음 b를 말한다고 해서 a의 의미가 완전히 소멸하는 게 아니라 b는 a의 의미의 흔적을 거느리고 c를 말할 때 역시 c는 b의 의미의 흔적을 거느린다. 그러므로 말에도 공간성이 있다. 요컨대 글은 공간적이고 말은 시간적이라는 2항 대립은 해체된다. 왜냐하면 글에는 시간의 흔적(기표)이 남고 말에는 공간의 흔적(기의)이 남기 때문이다.

도시히코가 강조하는 것은 말의 경우 기표의 계열 a-b-c-d는 시간적 순서를 유지하지만 기의 a,b,c,d는 어디로 가는지 모른다는 것. 그것은 고정성이 없고 이런 가동성, 흔적이 데리다의 원-글쓰기에 해당한다(이즈쓰 도시히코[井筒俊彦], 《데리다의 에크리튀르론에 대해》, 의미의 깊이, 이종철 옮김, 민음사, 2004, 128~132).

그런 점에서 원-글쓰기는 협의의 글과 말의 경계를 해체한다. 데리다의 원-글쓰기, 기원적 흔적은 생각하기에 따라서는 말에도 있고 글에도 있다. 그리고 말과 글을 초월한다. 요컨대 원-글쓰기는 말과 글을 가능케 하고 밀과 글을 구분한다. 글의 시간적 흔적(기표)이 차연이고 말의 공간적 흔적(기의) 역시 차연이다. 이런 흔적은 실체가 없지만 실체가 없는 것도 아니고 모든 구분·차이·대립 이전에 있으며 구분·차이·대립을 가능케 하고 생산한다. 그러므로 이런 글쓰기는 글을 생략한 글쓰기이고 따라서 언어뿐만 아니라 존재·세계·사물의 흔적으로 존재한다.

소쉬르는 차이를 강조하고 데리다는 이런 차이를 가능케 하는 차연, 흔적, 말/글의 차이를 가능케 하는 원-글쓰기를 강조한다. 그렇다면 장자는 무엇을 강조하는가? 장자는 외물(外物)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통발(筌)은 고기를 잡는 것으로 고기를 잡으면 그 발은 잊어버리고 토끼올무(蹄)는 토끼를 잡는 것으로 토끼만 잡으면 잊고 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말이란 사람의 생각을 상대편에게 전달하는 것이므로 생각할 줄을 알면 말은 잊어버리고 마는 것이다. 그러나 나는 어찌 저 말을 잊은 사람과 더불어 말을 할 수가 있을까?(《장자》, 이석호 역, 삼성출판사, 1976, 448)


장자에 의하면 말, 언어는 통발에 비유되고 토끼올무에 비유된다. 고기를 잡으면 통발을 잊고 토끼를 잡으면 토끼올무는 잊어야 한다. 말도 생각을 전하는 도구일 뿐이다. 그러므로 생각을 전하면 잊어야 하고 생각할 줄 아는 사람은 말을 잊는다는 것. 부처는 말을 뗏목에 비유하고(‘금강경’) 비트겐슈타인은 말을 사다리에 비유한다(비트겐슈타인, 《논리-철학 논고》, 이영철 옮김, 천지, 1991, 143). 뗏목은 강을 건너면 버려야 하고 사다리도 목표물에 도달하면 버려야 한다. 장자 역시 사용한 다음엔 잊고 버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생각할 줄을 알면 말은 잊어버리고 마는 것(得意而忘言)’이다. 뜻을 알면 말을 잊고 거꾸로 말을 잊으면 뜻을 얻는다. 선불교에서는 이심전심·교외별전·불립문자(以心傳心 敎外別傳 不立文字)를 강조하고 장자가 말하는 것 역시 크게 보면 비슷하다. 요컨대 그의 주장은 말을 잊으라는 것. 말을 잊기 때문에 글도 잊으라는 것. 아니 내가 읽은 바로는 장자의 경우 말과 글에 대해 별도로 말한 바는 별로 없고 따라서 글에 대한 장자의 생각는 말에 대한 그의 사유에서 유추할 수밖에 없다. 이 부분은 “그러나 나는 어찌 저 말을 잊은 사람과 더불어 말을 할 수 있을까?”라는 장자의 질문과 관련되는 바 뒤에 가서 살피기로 한다.


텍스트 바깥엔 아무 것도 없다


중요한 것은 장자가 말하는 잊기, 망각의 의미이다. 앞에서 나는 데리다의 소쉬르 비판을 세 가지로 요약한 바 있고, 그 둘째는 언어 기호를 구성하는 기표와 기의는 자의적 관계에 있지만 암암리에 소쉬르는 기의, 그것도 초월적 기의를 강조한다는 것에 대한 비판이다.

먼저 기표와 기의는 자의성의 원리에 따라 결합된다. 예컨대 ‘산’이라는 기표(말소리)는 ‘산’이라는 기의(개념)와 결합할, 이 개념을 지시할 아무 필연성이 없다. 자의적으로 제멋대로 결합된다. 왜냐하면 같은 ‘산’이라는 기의가 영어에서는 mountain, 불어에서는 mont이라는 기표와 결합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소쉬르는 이런 자의성을 강조하면서도 도형으로는 기의를 위에 놓고 기표를 아래 놓는다(소쉬르, 위의 책, 66). 

이런 도형이 암시하는 것은 기의가 기표보다 우위에 있고 기표를 지배한다는 것. 그렇기 때문에 라캉은 이런 도형을 거꾸로 그려 기표의 우위를 주장한 바 있다. 결국 표면상으로는 기표와 기의가 상호의존적 관계로 나타나지만 그 심층에는 기의가 강조되고 이런 기의는 눈에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기표를 지배하고 기표를 끌고 간다. 결국 그는 암암리에 초월적 기의를 지향하고 이런 기의는 서양 형이상학을 지배한 이성중심주의와 통한다. 

데리다에 의하면 소쉬르는 은연중에 초월적 기의, 이성을 강조하고 따라서 이성중심주의를 지향하고 아무튼 언어에 무슨 중심이 있다는 사유를, 사유의 흔적을 드러낸다. 데리다의 경우 언어는 차연이고 흔적이고 원-글쓰기이고 이런 언어는 시작도 끝도 없고 물론 중심도 없다. 그런 점에서 언어는 텍스트이다. 텍스트는 책이 아니다. 책에는 시작이 있고 끝이 있고 중심이 있지만 흔적, 차연, 원-글쓰기, 텍스트에는 시작도 끝도 중심도 없다.

그의 텍스트 개념을 요약하자. 그에 의하면 흔적은 경험의 시간화(temporalization), 그러니까 경험이 시간을 매개로 형성될 때 나타나고, 그런 점에서 경험은 세계 속에 있는 것도 아니고 빛도 소리도 아니고 시간 속에도 없고 공간 속에도 없다. 이 경험의 시간화에 의해 차이들은 요소들 사이에 나타나고 아니 요소들을 생산하고 요소들을 나타나게 만든다. 이 차이들이 텍스트들, 연쇄들, 흔적의 체계들을 구성하고 이런 연쇄와 체계들은 흔적의 조직 속에서만 그 윤곽을 그릴 수 있다. 나타남(appearing)과 나타난 것(appearance)의 차이, 세계와 경험의 차이는 다른 모든 차이들의 조건이고 다른 모든 흔적들의 조건이고 이미 하나의 흔적이다. 이 흔적이 의미의 절대적 기원이고 다시 말하면 의미의 절대적 기원은 없다(데리다, 위의 책, 65).

데리다의 문장이 난해한 것은 그만큼 그의 주장이 기존의 논리나 사유로는 전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직역을 피하고 가능한 의역을 하면서 다시 요약한 그의 텍스트 개념은 ‘우리는 오직 기호에 의해서만 생각할 수 있다’(데리다, 같은 책, 50)는 그의 명제를 발전시킨 것. 기호를 통해서만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소쉬르가 강조하는 초월적 기의는 존재하지 않고 나아가 객관적 현실, 사물, 지시물, 세계도 존재하지 않는다. 존재하는 건 기호이고 이 기호는 그의 경우 시작도 끝도 없고 중심도 없는 흔적이고 놀이이다. 그런 점에서 그는 서구 형이상학의 전통, 곧 이성중심주의를 부정하고, 존재-신학과 현전의 형이상학을 전복한다.

살아 있는 경험은 세계 속에 있는 게 아니라 시간적 질서 속에 있고, 시간적 질서는 예컨대 1분-2분-3분의 순서로 전개되지만 살아 있는 경험은 이 질서 어디에 있는가? 결국 경험의 시간화에 의해 우리가 알게 되는 것은 1분과 2분의 차이이고 1분, 2분 3분의 차이들이고 이 차이들이 1분, 2분이라는 요소들을 생산하고 텍스트, 연쇄, 흔적들을 구성한다. 이 흔적이 의미의 절대적 기원이고 그런 점에서 의미의 절대적 기원은 존재하지 않는다. 존재하는 것은 텍스트들, 흔적들의 체계이다. 세계 역시 흔적이고 놀이이다.

그러므로 텍스트 바깥엔 아무것도 없다. 텍스트 바깥이 텍스트 안이고 안이 아니다. 텍스트는 언어의 기원이고 기원 없음이고 또한 텍스트는 직물을 의미한다. 그런 점에서 이 세계에 산다는 것은 텍스트 속에 살면서 텍스트를 짠다는 의미이고 존재는 글쓰기이고 글쓰기는 텍스트 짜기이다. 요컨대 텍스트, 세계, 존재, 쓰기, 짜기, 흔적은 등가 관계에 있다. 이런 글쓰기가 원-글쓰기이다. 글을 쓰는 것이 아니라 사는 것이 바로 글쓰기이다.

그렇다면 시작도 끝도 없고 중심도 목표도 없는, 공간적 차이와 시간적 지연만 있는 이런 글쓰기-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객관적 현실, 지시물, 세계가 소멸한 다음의 기호들의 놀이? 기표와 기의의 순수한 놀이? 이 놀이의 의미는 무엇일까?


장자의 꿈인가, 나비의 꿈인가


도시히코는 이 놀이를 마르소(M. Marceau)의 팬터마임에 비유하면서 다음처럼 말한다. 어두운 무대. 마르소의 손이 조명을 받으며 암흑의 저 밑에서 떠오른다. 손가락이 섬세하게 떨리면서 나비가 갑자기 춤을 추며 날아오른다. 마르소의 손가락이 나비의 꿈을 꾼다. 관객은 이 나비가 손가락이라는 것을 알고 있지만 동시에 나비라는 것도 알고 있다. 손가락은 나비를 의미한다. 그러나 나비는 손가락이라는 기호의 지시물이 아니다. 나비는 현전하지 않고 현전하는 나비는 나비의 환상일 뿐이다. 지시물, 현실, 세계가 소멸한 뒤에는 기표와 기의만 남고 현실에서 해방된 기표와 기의의 놀이, 상호 얽힘이 존재라는 이름의 텍스트를 계속 짜고 있다는 것. 중요한 것은 데리다의 경우 나비를 환상이라고 하는 것은 문제가 없지만 마르소의 손가락까지 환상이라고 말하지는 않는다는 것(도시히코, 위의 책, 118~121).

손가락이 나비의 꿈을 꾼다? 데리다 식으로 말하면 손가락은 기호이고 따라서 기호의 꿈이다. 문제는 데리다의 경우 나비는 환상이지만 손가락까지 환상은 아니라는 지적이고, 이런 지적 후에 도시히코는 데리다의 차연, 장자의 꿈, 나가라주나의 공(空), 선불교의 무(無)一물(物)에 대해 간단히 언급한다.

도시히코의 이런 지적은 암시하는 게 많고 내 생각을 말하면 디음과 같다. 데리다의 경우 나비는 환상이지만 손가락은 환상이 아니고 장자의 경우에는 나비도 환상이고 손가락도 환상이라는 것. 데리다가 목적은 없지만 텍스트를 계속 쓰고 짠다면 장자는 이런 행위도 버리라고 말한다. 다 같이 현실, 초월적 기의, 세계를 부정하지만 데리다는 텍스트를 쓰고 짜는 주체, 쓰고 짜면서 태어나는 주체, 곧 텍스트적 주체를 인정하고 장자는 이런 자아마저 잊으라고 말한다(데리다의 텍스트적 주체에 대해서는 이승훈, 《탈근대주체이론-과정으로서의 나》, 푸른 사상, 2003 참고 바람). 다음은 장자의 말.


전에 장주(莊周)는 꿈에 나비가 되었다. 훨훨 나는 것이 분명히 나비였다. 스스로 줄겁고 장주인 줄을 알지 못했다. 그러다가 조금 뒤에 문득 깨어보니 분명히 장주였다. 장주가 꿈에 나비가 된 것인지, 나비가 꿈에 장주가 된 것인지를 알지 못하겠다. 정주와 나비는 반드시 구분이 있을 것이니 이를 물화(物化)라고 한다(장자, 위의 책, 208).


마르소의 팬터마임에서는 손가락과 나비의 경계가 해체된다. 이때 해체란 손가락과 나비, 현실과 환상의 2항 대립이 깨진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손가락은 나비이고 나비가 아니고 나비 역시 손가락이고 손가락이 아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손가락이 나비가 되는 것이지 나비가 손가락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이 점을 강조하자. 물론 손가락은 나비가 되면서 손가락도 아니고 손가락이 아닌 것도 아니다.

그러나 장자의 나비 꿈은 다르다. 무엇보다 장자가 꿈에 나비가 된 것인지 나비가 꿈에 장자가 된 것인지 모르겠다는 말이 중요하다. 과연 이 꿈은 누가 꾸었는가? 물론 장자가 꾸었다. 그러나 장자가 강조하는 것은 꿈의 주체가 누구냐는 문제. 장자의 꿈인가? 나비의 꿈인가? 손가락과 나비의 경우는 주체가 손가락이고 장자의 경우는 이런 주체 문제가 소멸한다. 이른바 물화는 주체를 망각하고 객체를 따라 변화하는 삶을 의미한다.

그런 점에서 물화는 말 그대로 주체, 자아, 나를 잊고 대상, 객체, 사물이 되는 삶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른바 망아(忘我)가 물화이다. 한편 자아를 잊고 사물이 된다는 것은 자아를 망각했기 때문에 사물도 망각하는 경지이다. 왜냐하면 자아, 곧 의식이 없기 때문에 사물이 된 것도 모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화는 물망(物忘)이다. 사물이 되면서 사물을 잊는 경지. 그러므로 장자가 꿈에 나비가 된 것인지 나비가 꿈에 장자가 된 것인지 장자 자신도 모른다. 그런 점에서 물화는 물아양망(物我兩忘)이다.

장자는 언어를 고기 잡는 통발에 비유하면서 통발은 고기를 잡으면 잊어야 한다고 말하고 나는 앞에서 이 잊음, 망각이 문제라고 말한 바 있다. 그가 강조하는 잊음은 망아이고 결국은 물아양망이고 이런 경지는 ‘스스로 즐겁고 뜻대로’인 삶을 지향한다.

요컨대 물아양망은 물아해체이면서 해체 이상이고 망아는 차연이면서 차연 이상이다. 무슨 말인가? 물아해체는 주체와 객체의 2항 대립을 해체하고 이른바 서양 형이상학의 전통인 이성중심주의를 전복한다. 물아양망 역시 이런 2항 대립을 해체하고 이성중심주의를 전복한다. 그러나 물아양망은 해체가 아니라 망각이다. 주체도 객체도 망각하라는 것. 차연은 절대적 자아, 현존을 부정하고 공간적 차이와 시간적 지연만 강조한다. 망아 역시 절대적 자아, 현존을 부정한다. 그러나 망아, 곧 자아를 망각하는 것은 물화, 곧 사물이되는 것이고 이 사물 역시 망각하는 것, 곧 물망과 통한다. 그러므로 차연도 초월하는 경지이다. 이 경지가 유(遊)이고(소요유) 심제좌망(心齊坐忘, 제물론)이다.

데리다가 텍스트, 원-글쓰기를 강조한다면 장자는 텍스트 너머를 추구하고 말, 언어, 문자, 글쓰기를 버리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장자는 어찌 저 말을 잊은 사람과 더불어 말을 할 수 있을까 ?


글쓰기의 모험은 놀이의 모험이다


데리다의 소쉬르 비판 세 항목 가운데 마지막으로 남겨둔 것은 문자체계와 언어의 관계이다. 다음은 소쉬르의 말.


언어와 문자체계(글쓰기)는 구별되는 두 개의 기호체계이며 글쓰기의 유일한 목적은 언어를 재현함에 있다. 언어적 대상은 쓰여진 낱말과 발음된 낱말의 결합이 아니다. 언어적 대상을 구성하는 것은 발음된 낱말이다. 그러나 발음된 낱말은 쓰여진 낱말의 이미지와 밀접히 결합되기 때문에 쓰여진 낱말이 중심 역할을 빼앗고 따라서 우리는 기호 자체보다 음성 기호의 쓰여진 이미지에 더 많은 중요성을 부여한다. 이런 실수는 마치 사람을 직접 보는 것보다 그의 사진을 볼 때 더 많은 것을 안다고 생각하는 것과 같다(소쉬르, 위의 책, 23~24).


요컨대 소쉬르가 강조하는 것은 발음된 낱말과 쓰여진 낱말 가운데 발음된 낱말이 중요하다는 것. 언어는 개별적인 발화의 심층에 존재하는 법칙을 의미하고 따라서 발음, 음성을 토대로 하고 이 발음을 옮겨 적는, 재현하는 문자체계, 글쓰기는 2차적이라는 것. 그러나 데리다의 글쓰기는 이렇게 발음된 낱말을 옮겨 적는 글쓰기가 아니다. 말하자면 데리다의 글쓰기는 언어적 대상이 아니고 언어적 실체가 아니고 문자로 재현되는 그런 글쓰기가 아니고 흔적, 텍스트, 원-글쓰기이고 언어로 생산된 것이 아니라 언어의 생산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그의 글쓰기는 소쉬르가 말하는 문제체계가 아니다. 그의 글쓰기는 소쉬르기 말하는 언어/문자체계, 발음된 낱말/쓰여진 낱말의 경계를 해체하고 나아가 이런 경계가 나올 수 있는 근거로서의 글쓰기를 강조한다. 다음은 데리다의 말.


지각되는 것은 아니지만 간신히 지각된다고 가정하면 글쓰기는 일반적으로 언어의 특수한, 파생적, 보조적 형식(의사소통, 관계, 표현, 의미작용, 사고나 의미의 구성으로 이해되는)을 지시하는 게 아니고, 주요 기표의 비실체적 이중성, 곧 기표의 기표를 지시하는 게 아니고 그것은 언어의 외연을 넘어 발생하기 시작하며 언어를 포괄한다. 글쓰기라는 낱말은 기표의 기표를 지시하며 이상하게 생각되지만 기표의 기표가 우연한 이중성, 전락한 2차성으로 정의되지 않는 상태로 나타난다. 이와 반대로 기표의 기표는 언어의 운동을 기술한다. 그 기원에 있어서 확실히 그렇다. 그러나 우리는 그 구조가 기표의 기표로 표현될 수 있는 기원은 자신을 생산하면서 자신을 은폐하고 지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기의는 언제나 기표로서의 기능들이다. 글쓰기에 의해서만 가능한 것처럼 보이는 2차성은 모든 기의들에 영향을 주고 기의들을 이미 있게 하고 순간적으로 기의들을 놀이에 참여케 한다. 도망가고 다시 잡히는 단일한 기의는 없다. 언어를 구성하는 것은 의미작용의 놀이이다. 따라서 글쓰기의 모험은 놀이의 모험이다(데리다, 위의 책, 6~7).


데리다는 과연 무슨 말을 하고 있는가? 명확한 판단을 보류하면서 계속 망설이면서 계속되는 그의 주장은 명확한 논리, 이성, 개념을 거부하는 논리이고 이성이고 개념이다. 그가 말하는 글쓰기는 언어 너머 있지만 언어를 포괄한다. 그것은 언어의 기원이지만 자신을 은폐하고 지우는 기원이다. 말하자면 글쓰기는 흔적이다. 글쓰기는 기표의 기표로 나타나고 기표의 기표가 언어의 운동이다. 그가 기표의 기표를 강조하는 것은 기표/기의의 관계가 소쉬르처럼 1 대 1로 고정되지 않고 한 기표의 기의는 다시 다른 기표가 되고 이런 기표의 기표가 언어의 운동이라는 것. 그러므로 기표의 기표는 언어의 기원이지만 언제나 흔적, 차이로만 존재/부재한다.

결국 글쓰기는 기표의 기표이고그러므로 단일 기의는 없고 기의들의 놀이가 있고 글쓰기의 모험은 놀이의 모험이다.

예컨대 낱말 놀이를 생각해 보자. 낱말 놀이는 낱말이 지시하는 사물이나 지시물과는 관계없이 이런 지시물이 사라진 상태에서 그러니까 기호 자체만을 강조하면서 수행된다. 어떻게 수행되는가?

‘연못’을 보기로 들면 다음과 같다. ‘연못’이라는 기표(1)의 기의(1)는 ‘연을 심은 못’이다. 그러나 이 기의(1)는 다시 기표(2)가 된다. 왜냐하면 ‘연’의 기의가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기표(1)는 기의(1)를 매개로 기표(2)가 되고 그러므로 기표의 기표가 되고 기표의 기표의 기표로 발전한다. 어디 그뿐인가? 기의(1)는 다시 ‘심다’라는 기표(3), ‘못’이라는 기표(4)로 분열된다. 또한 ‘연못’은 순수한 기표의 수준에서는 ‘날아가는 연이 있는 못’이고 ‘날아가는 연과 벽에 박는 못’이고 이런 기표의 연쇄는 한이 없고 이런 식의 글쓰기가 놀이와 통한다.


말을 잊은 사람과 더불어 말하기 


그렇다면 장자는? 장자는 고기를 잡으면 통발을 버리듯 말도 쓰고 나면 버리라고 했다. 그러나 그는 말한다. 말을 잊은 사람과 더불어 어찌 말을 할 수 있을까? 그가 말을 잊으라는 것은 앞에서 말한 이른바 물아양망(物我兩忘)을 목표로 한다. 이런 경지는 데리다가 말하는 놀이의 경지이면서 그런 놀이를 초월한다. 장자가 말하는 물아양망은 이른바 ‘소요유’의 유(遊)와 통하고 이 유는 놀이이면서 놀이를 초월한다. 물론 유는 놀이를 의미한다. 그러나 데리다가 말하는 놀이(play)와는 다른 의미이다. 아니 같으며 다르고 이런 놀이 개념을 수용하며 초월한다. 다음은 장자의 말.


혜자가 장자에게 말했다. “우리 집에 큰 나무가 있는데 사람들이 가죽 나무라고 부르네. 그 밑둥은 혹투성이라 먹줄을 댈 수 없고, 그 작은 가지들도 꼬불꼬불해서 규구(規矩, 자)에 맞지 않네. 그것이 길가에 서 있으나 목수가 돌아보지도 않네. 지금 그대의 말은 이 나무와 같아 커도 소용이 없네. 따라서 여러 사람들이 돌보지도 않을 것이네.” 장자는 이에 대답했다. “이제 자네는 큰 나무를 가지고 있으면서 그것이 쓸 데가 없는 것이 걱정이지만 왜 그것을 무하유지향(無何有之鄕)인 광막한 들에다 심어 놓고 그 곁을 방황하면서 무위(無爲)로 날을 보내고 소요하다가 그 밑에 드러눕지를 않는가? 그러면 그 나무는 도끼에 베어지지도 않을 것이고 아무에게도 해를 입을 염려가 없네. 쓰일 데가 없으니 또 무슨 괴로움이 있겠는가?”(장자, 위의 책, 192)


그 유명한 무용의 용이라는 명제. 쓸모가 없기 때문에 쓸모가 있다는 이 명제에서 장자가 강조하는 것은 참 쓸모는 세속의 쓸모를 초월하는 것. 세속적 가치를 잊는 것. 참된 유용성은 세속의 가치를 벗어나는 것이고 이렇게 참된 유용성을 발견하여 홀로 즐기고 홀로 소요하라는 것. 무하유지향은 어디에도 없는 고향, 인공을 가하지 않은 낙토(樂土), 말하자면 유토피아이다.

장자가 강조하는 것은 이런 이상향에서의 소요(逍遙), 곧 슬슬 거닐며 한가로이 돌아다니는 것. 이런 소요가 놀이와 통한다. 데리다의 글쓰기가 놀이, 무용성을 강조한다면 장자는 이 놀이, 무용성의 유용성을 강조하고 그런 점에서 데리다가 예술을 강조한다면 장자는 예술과 삶이 하나가 되는 그런 경지를 지향한다. 말을 잊은 사람과 더불어 말한다는 것은 결국 밝힐 수 없는 것은 밝힐 수 없다는 것을 아는 것이고 세속적 가치를 지탱하고 세속적 가치를 생산하는 언어를 버리는 일과 통한다.

요컨대 데리다의 경우 텍스트가 세계이고 산다는 것은 쓰기이고 텍스트 짜기이고 이 텍스트는 시작도 끝도 중심도 없지만 아무튼 우리는 세계라는 텍스트를 쓰고 짜며 산다. 이렇게 글이 생략된 글쓰기, 원-글쓰기가 데리다의 글쓰기라면 장자는 이런 텍스트로서의 세계를 인정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이런 텍스트도 잊으라고 주장한다. 장자의 물아양망은 주체/객체의 2항 대립을 해체한다는 점에서 데리다와 비슷하지만 중요한 것은 장자의 경우 이 망각도 망각하라는 것. 왜냐하면 망각의 망각이 깨달음, 도(道)와 통하기 때문이다. 장자의 말을 인용하면서 이 글도 망각하자.


대저 큰 도(道)는 이름 부를 수가 없고 위대한 변증은 말하지 않으며 위대한 인(仁)은 인자하지 않고 크게 청렴함은 사양하지 않으며 크게 용감함은 남을 해치지 않는다. 도가 밝혀지면 도가 아니고 말로 변증되면 도달하지 못하고 인이 계속되면 이루어지지 못하고 청렴이 결백해지면 미덥지 못하며 용기가 해치면 이루어지지 못한다. 이 다섯 가지는 원래 원만한 것인데 지금은 거의 모난 데 가깝다. 그러므로 앎이 그 알지 못하는 데서 그치면 최고다(장자, 위의 책, 202).




Copyright 월간 넥스트 All right reserved.
2007/04/17 20:46 2007/04/17 20:46
TAGS

알래기디안자마
수 2006 KOR 밤색
전적:(0/0/0) 상금:0
DP:12,5,16,8,0  DI:1.59  CD:0.52
[ 0foals, 0sw AEI ]   [   6 ]
Full Mandate

갈 1999 USA  w

15전(5,3,0)
192,923 USD
DI:1.09 CD:0.23
0 f, 0sw
A. P. Indy
에이피인디
흑 1989 USA *[S] LS

11전(8,0,1)
2,979,815 USD
799 f, 84sw 3.20
Seattle Slew
씨애틀슬루
흑 1974 USA *+{BC} LSB
1067 f, 112sw 3.81
Bold Reasoning
흑 1968 USA {Q} G1
My Charmer
갈 1969 USA {*DC} SW
Weekend Surprise
위크엔드서프라이즈
갈 1980 USA {*} SW
14 f, 9 w, 4 sw
Secretariat
밤 1970 USA +{IC} LB
Lassie Dear
갈 1974 USA {*} SW
Clear Mandate

밤 1992 USA  G2

전(0,0,0)
0
1 f, 0 w, 0 sw
Deputy Minister
데퓨티미니스터
흑 1979 CAN +[C 1300] LB
1039 f, 83sw 2.83
Vice Regent
밤 1967 CAN +[I] LB
Mint Copy
흑 1970 CAN  w
Dream Deal

1986 USA 
5 f, 1 w, 1 sw
Sharpen Up
밤 1969 GB {BC} SW
Likely Exchange
1974 USA 
알래기디안
R RAGGEDY ANN
갈 2000 USA  unpl

11전(0,0,0)
2,005 USD
DI:4.32 CD:1.1
1 f, 0 w, 0 sw
Not For Love
낱포러브
갈 1990 USA {1566} SP

29전(6,7,5)
178,870 USD
226 f, 13sw 2.02
Mr. Prospector
미스터프로스펙터
갈 1970 USA *+{BC} LSB
1195 f, 244sw 4.17
Raise A Native
밤 1961 USA {B} SW
Gold Digger
갈 1962 USA {*} SW
Dance Number
댄스넘버
갈 1979 USA  G1
6 f, 6 w, 2 sw
Northern Dancer
갈 1961 CAN *+{BC} LSB
Numbered Account
갈 1969 USA {*DC} SW
Ragtime

갈 1981  {1200} w

12전(4,0,1)
31,938 USD
10 f, 6 w, 0 sw
Northern Dancer
노던댄서
갈 1961 CAN *+{BC} LSB
635 f, 147sw 5.10
Nearctic
흑 1954 CAN {Q} SW
Natalma
갈 1957 USA {*DC} SP
Mississippi Mud
미시시피머드
갈 1973 USA  G1
11 f, 4 w, 1 sw
Delta Judge
흑 1960 USA  SW
Sand Buggy
회 1963 USA  w
 근친교배 Inbreeding  계통교배  부마계보  모마계보
 4Dx3Dx5S 노던댄서 Northern Dancer 1961 CAN
 4Dx5D 나탈마 Natalma 1957 USA
 4Dx5D 니아크틱 Nearctic 1954 CAN
 5Dx5D Native Dancer 1950 USA
생산자(Breeder) : 태명목장(현태봉), 제주
마주(Owner) : 현태봉


Pedigree by exhorse.co.kr
2007/04/15 20:07 2007/04/15 20:07
TAGS ,

KEENELAND
Saturday April 14, 2007 - Race 9
Toyota Blue Grass S. - Grade: 1
Purse: $750,000
Distance/Restrictions: 1 1/8M, Dirt, 3 Year Olds, STAKES
Winning Time: 1:51.33

Pgm Horse Win Place Show
2 Dominican 18.00 5.60 3.80
4 Street Sense 3.40 2.60
1 Zanjero 3.60

Times in 100ths: :26.12 :51.46 1:16.65 1:39.82 1:51.33

Unplaced horses listed in order of finish.
Also ran: Teuflesberg, Great Hunter, Time Squared and Love Dubai


Video & Result by NTRA.com

DOMINICAN
도미니칸

거 2004 USA 밤색
전적:7(3/0/2)  G1

El Corredor

흑 1997 USA  G1

10전(7,1,0)
727,920 USD
190 f, 5sw 2.11
Mr. Greeley

밤 1992 USA {1360} G3
540 f, 24sw 1.51
Gone West
흑 1984 USA [I 1500] G1
Long Legend
밤 1978 USA  w
Silvery Swan

흑 1994 USA  Unr
5 f, 4 w, 3 sw
Silver Deputy
갈 1985 CAN [I] SW
Sociable Duck
1982 USA  SP
퍼스트바이올린
FIRST VIOLIN
갈 1998 USA {1432} w

전(0,0,0)
0
1 f, 0 w, 0 sw
Dixieland Band
딕시랜드밴드
갈 1980 USA *[I 1500] LS
1060 f, 103sw 2.18
Northern Dancer
갈 1961 CAN *+{BC} LSB
Mississippi Mud
갈 1973 USA  G1
Sunrise Symphony

1990  
1 f, 0 w, 0 sw
Secretariat
밤 1970 USA +{IC} LB
Wimbledon Star
1979  
Pedigree by exhorse.co.kr

2007/04/15 18:33 2007/04/15 18:33

에어쇼자마
수 2006 KOR 갈색
전적:(0/0/0) 상금:0
DP:8,12,9,6,0  DI:2.38  CD:0.65
[ 0foals, 0sw AEI ]   [   6 ]
디디미
DIDYME
갈 1990 USA *{1100} LS

14전(4,3,2)
185,417 USD
DI:6.16 CD:1.04
315 f, 19sw
Dixieland Band
딕시랜드밴드
갈 1980 USA *[I 1500] LS

24전(8,3,4)
441,320 USD
1060 f, 103sw 2.18
Northern Dancer
노던댄서
갈 1961 CAN *+{BC} LSB
635 f, 147sw 5.10
Nearctic
흑 1954 CAN {Q} SW
Natalma
갈 1957 USA {*DC} SP
Mississippi Mud
미시시피머드
갈 1973 USA  G1
11 f, 4 w, 1 sw
Delta Judge
흑 1960 USA  SW
Sand Buggy
회 1963 USA  w
Soundings
사운딩
갈 1983 USA {1300} w

9전(2,3,1)
26,005 USD
11 f, 5 w, 4 sw
Mr. Prospector
미스터프로스펙터
갈 1970 USA *+{BC} LSB
1195 f, 244sw 4.17
Raise A Native
밤 1961 USA {B} SW
Gold Digger
갈 1962 USA {*} SW
Ocean's Answer
오션즈앤서
갈 1976 CAN {*} G3
17 f, 8 w, 1 sw
Northern Answer
갈 1966 CAN  unpl
South Ocean
갈 1967 CAN {*DC} SW
에어쇼
AIR SHOW
회 2001 USA  Unr

무전(0,0,0)
0
DI:1.11 CD:0.29
0 f, 0 w, 0 sw
Skip Away
스킵어웨이
회 1993 USA  G1

38전(18,10,6)
9,616,360 USD
6 f, 2sw $20000
Skip Trial

갈 1982 USA [S] G1
308 f, 22sw 2.51
Bailjumper
갈 1974 USA {1480} G2
Looks Promising
회 1968 USA  W
Ingot Way

회 1981 USA  SW
11 f, 7 w, 1 sw
Diplomat Way
갈 1964 USA  G3
Ingot
회 1971 USA  W
Business Call

갈 1988 USA  Unr

미전(0,0,0)
0
1 f, 0 w, 0 sw
Nijinsky
니진스키
갈 1967 CAN *+{CS} LSB
851 f, 155sw 4.71
Northern Dancer
갈 1961 CAN *+{BC} LSB
Flaming Page
갈 1959 CAN {*DC} G1
Demoniac

갈 1974 USA 
2 f, 0 w, 0 sw
First Landing
갈 1956 USA  G1
Tendentious
1959 GB 
 근친교배 Inbreeding  계통교배  부마계보  모마계보
 3Sx4Dx5S 노던댄서 Northern Dancer 1961 CAN
 4Sx5D 나탈마 Natalma 1957 USA
 4Sx5D 니아크틱 Nearctic 1954 CAN
 5Sx5D Nashua 1952 USA
생산자(Breeder) : 금성목장(조창규), 제주
마주(Owner) : 조창규


Pedigree by exhorse.co.kr
2007/04/15 00:24 2007/04/15 00:24
TAGS ,

2007.04.12

2007/04/12 06:50 / My Life/Diary
내 손, 꽃

피자마자
벚꽃 나린다
떨궈진 것들은
바닥을 보고 눕는다





Silent Good-bye, Ennio Morricone
2007/04/12 06:50 2007/04/12 06:50

2007.04.10

2007/04/10 23:06 / My Life/Diary
닥치고 읽자.
2007/04/10 23:06 2007/04/10 23:06
TAGS

 시조(時調)와 시조 창사(唱詞)


   시조(時調)

 
   시조란 말은 흔히 우리나라 고유의 문학의 한 장르의 이름으로 확고히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시조의 원 뜻은 악곡의 이름이었고 오늘날엔 시조 창사를 시조라고 부르고 있다. 그러나 좀더 엄밀히 따진다면 오늘날에 시조라고 부르는 시조 창사도 정확하지는 않고 가악 시조 이전부터 존재했던 가곡의 창사를 시조라고 하고 있기 때문에 문학에서 시조라고 하는 용어의 정확한 원뜻은 가곡창사가 맞는 말일 것이다. 
   시조란 용어를 처음 사용한 이는 영조대의 가객 이세춘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 전시대에도 시조는 이미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시조의 발생은 먼저 존재하고 있던 가곡 창사를 더 슆게 읊기 위해 발생했던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시조의 발생은 조선 중기 정도로 추정되며, 서유구의 '유예지'와 이규경의 '구라철사금자보'에 악보가 전해진다. 
   시조는 서울 지방에서 불려지다가 점차 각 지방으로 전해져 그 지방의 방언에 맞는 특색을 지닌 향제 시조가 파생되었다. 처음에는 시조의 형식이 하나 뿐이었겠지만 지름시조가 먼저 파생하여 원 시조는 평시조란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고 가곡의 발달에 따라 그 영향으로 엇시조, 중허리시조, 사설시조 등이 파생하였다.
   시조는 황종(黃鐘;Eb), 중려(仲呂;Ab), 임종(林鐘;Bb)의 3음을 기본으로 하지만 몇가지 변음이 나오고 요성과 퇴성을 사용하여 음의 변화를 이끌어낸다. 
 
  시조 창사(時調唱詞)
 
   시조는 곡조에 따라 평시조 혹은 지름시조, 엇시조, 지름시조 등으로 구별하며 각 곡의 특성에 맞게 시조 창사를 얹어 가락에 맞춰 부른다. 
 
[1] 평시조(平時調)
 
   평시조의 평(平)은 낮은 소리라는 뜻으로 지름 시조에 대조되어 쓰이는 명칭이다. 평시조는 시조의 원형으로 경제(京制)와 향제(鄕制)가 있으며 평시조 가락에 얹어 부르는 창사는 시조의 원조답게 매우 다양한데, 널리 알려진 평시조의 창사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청산리 벽계수야 수이감을 자랑마라 (황진이)노래:김월하
2) 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 (남구만)
3) 태산이 높다하되 하늘아래 뫼히로다 (양사언)노래:김월하
4) 국화야 너는 어이 삼월동풍 다 지내고 (이정보)
5) 일각이 삼추라하니 열흘이면 몇삼추요
6) 천자는 만물지역려요 광음은 백대지과객이라
7) 청산은 내뜻이요 녹수는 님의 정이 (황진이)
8) 만경창파 욕모천에 천어환주 유교변을
9) 녹수청산 깊은 골에 청려완보 들어가니
10) 청산은 어찌하여 만고에 푸르르며 (황진이)
11) 청산아 말 물어보자 고금을 네 알리라 (김상옥)
12) 형산에 박옥을 얻어 세상 사람 뵈렸더니 (주의식) 노래:문현
 
[2] 반각시조(半刻時調)
 
   반각시조는 반사설시조라고도 하며 평시조와 사설시조를 섞어서 부른다. 반각시조에는 초장을 평시조로 부르고 중장과 종장을 장형(長型)으로 사설시조로 부르는 선반각(先半刻)과 초장, 중장을 장형으로하여 사설시조로 부르고 종장을 단형(短型)으로하여 평시조로 부르는 후반각(後半刻)이 있다.
   `일년이 열두달인데'와 `귀또리 저 귀또리'는 선반각이고 `송하에 문동자하니'와 `낙양 삼월시에'는 후반각이다. 반각시조의 내용은 여창인 경우는 그리움을 주로하지만 남창인 경우에는 호연지기를 드러내는 내용을 주로 부른다.
 
1) 일년이 열두달인데 윤삭들면 열석달도 일년이라
2) 귀또리 저 귀또리 어여뿔사 저 귀또리
3) 송하에 문동자하니 스승은 영주 봉래 방장 삼신산으로 불사약을 구하러 가셨나이다 노래:김호성
4) 낙양 삼월시에 궁류는 황금지로다 춘복이 기성하거늘 소거에 술을 싣고 도리원 찾아들어 (임의식)
 
[3] 사설시조
 
   사설시조는 가곡의 영향을 받아 파생된 곡이라 할 수 있다. 사설시조는 말 그대로 장형의 가곡 창사를 단순화하여 시초에 얹어 부르던 형태이다. 시조가 발달하고 다양한 감정 표현이 요구되면서 사설 시조의 등장은 필연적 이었다. 그러나 가곡의 어려운 곡조 보다는 비교적 단순한 시조의 가락에 가곡의 `편(編)'이나 `농(弄)', `낙(樂)'에 쓰이는 가사를 옮기다 보니 가사를 부르는 곡조마다 장단과 곡조가 조금씩 달라서 따로 정형화된 사설시조 형식은 없다. 
   사설시조의 내용은 주로 인생의 무상함을 노래하는 가사가 많고 가사가 한문투의 내용이 대부분이다.
 
1) 소년 행락이 다 진커든 와류강산 하오리라 이호상이 자작 
    명정케 취한 후 한단침 도두 베고 장주호접이 잠간되어
2) 일년 삼백 육십일은 춘하추동 사시절이라 꽃피고 앞 푸르면노래:김호성
    화조월석 춘절이요 사월남풍 대맥황은 녹음방초 하절이라
3) 진국명산 만장봉이 청천삭출 금부용이라 거북은 흘립하여 북주 삼각이라 노래:문현
 
[4] 지름시조
 
   지름시조는 가곡의 두거와 같이 첫음을 고음에서 시작하는 곡으로 남창 지름 시조와 여창 지름시조가 있다. 지름시조는 첫 장을 질러 내며 시작하지만 중장과 종장은 평시조와 같다. 남창 지름시조는 내용이 호쾌하고 충절을 나타내는 남자의 기상이 엿보이는 창사를 주로 얹어부르며, 여성(女聲)에 맞게 짜여진 여창 지름시조는 여인의 정한(情恨)을 표현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이 중에서 `학타고 저불고'는 초장과 종장이 길어진 형태인데 특별히 엮음 지름시조라고 부른다.
 
남창지름시조
 
1) 바람아 부지마라 휘어진 정자 나뭇잎이 다 떨어진다노래:이동규
2) 바람도 쉬어 넘고 구름이라도 쉬어 넘는 고개 노래:문현
3) 장검을 빼어들고 백두산에 올라보니 (남이)
4) 한산섬 달 밝은 밤에 수루에 홀로 앉아 (이순신)
5) 삭풍은 나무 끝에 불고 명월은 눈 속에 찬 데 (김종서)
6) 태산에 올라 앉아 사해를 굽어 보니
7) 청천에 떠서 울고 가는 외기러기
8) 가노라 가노라 임아 응영단처 풍월강산으로 가노라 임아 노래:문현
 
여창지름시조
 
1) 청조야 오도고야 반갑도다 님의 소식 노래:김호성
2) 버들은 실이 되고 꾀꼬리는 북이 되어
3) 기러기 산이로 잡아 정들이고 길들여서
4) 달밝고 서리친밤 울고가는 저기럭아
 
[5] 중허리 시조
 
   중허리 시조는 가곡의 창법을 본따서 만들어진 것으로 '중거(中擧)'에서 파생되어 중허리라는 말이 붙여졌다. 초장과 중장의 첫 장단은 평으로로 부르다가 가성과 상청을 쓰고 다시 종장에서는 평시조와 같은 가락으로 끝난다. 
 
1) 방 안에 혔는 촛불 눌과 이별하였관듸 (이개)
2) 산촌에 밤이 드니 먼데서 가이 짖어온다 (천금)
3) 산촌에 눈이 오니 돌 길이 묻혔어라 (신흠)
 
[6] 우조 시조(羽調時調)
 
   우조 시조는 서울의 우대(지금의 누상동 근처)에서 불리워진 시조로 평시조가 계면조인데 반해 우조 음계로 이루어진 시조를 말한다. 그러나 우조 시조라고 이름하지만, 평조(우조)를 바탕으로 하여 계면조를 섞어 부르는데, 전조가 빈번하다. 장단은 평시조와 같지만 고음을 많이 써서 듣기에도 평시조와는 달리 호탕함을 느낄 수 있다. 
   우조시조에 얹어 부르는 시조 창사로는 '월정명(月正明)'이 잘 알려져 있으며 이 곡은 이문언(李文彦)의 전창(傳唱)으로 알려졌다.
 
1) 월정명 월정명커늘 배를 타고 추강에 나니 노래:김호성
2) 백구야 놀라지마라 너 잡을 내 아니로다
 
[7] 우조(羽調) 지름시조
 
   우조 지름 시조는 우조 시조 보다도 더 높은 성음으로 부르는 곡인데, 지름 시조와도 곡조가 사뭇 다르다. 또 다른 시조들이 시조 창사를 부르지만 우조 지름시조는 한시(漢詩)의 칠언율시(七言律詩)를 가사로 사용한다. 우조지름시조는 기악판(妓樂版)이나 시조계(時調系)에선 전혀 부르지 않았고 우조 시조와 마찬가지로 서울의 우대에서 불려지던 곡조였다.
   이 곡도 우조시조와 마찬가지로 완전한 우조는 아니고, 계면조를 바탕으로 하여 우조를 섞어 부른다. 박기준(朴基俊)의 전창으로 <십재를>과 <봉황대상>이 알려졌고, 그 외 <석인이>가 전한다.
 
1) 십재(十載)를 경영 옥수연(屋數椽)하니 
    금강지상(錦江之上)이요 월봉전(月峰前)이로다
2) 봉황대상 봉황유러니 봉거대공강자류라 노래:이양교
3) 석인( 昔人)이 이승백학거(已乘白雲去)하니 차지(此地)에 노래:김월하
    공여황학루(空餘黃鶴樓)로다
 
[8] 사설 지름시조(엇시조)
 
   사설시조의 창사와 같이 초장과 중장에서 장형의 창사를 부르는 곡인데, 가사에 따라 부르는 법이 약간씩 다르다. 보통 엇시조라고도 하며 `푸른 산 중 하에'는 `산행포수'라는 또다른 이름이 붙여져 있고 수잡가라고도 부른다.
 
1) 창 내고자 창 내고자 이 내 가슴에 창 내여고자
2) 백구는 편편 대동강상 비하고 장송은 낙락 청류 벽상 휘라
3) 푸른 산중하에 조총대 둘러메고 설렁설렁 내려오는 저 포수야 노래:이준아
4) 푸른 산중 백발옹이 고요독좌 향남봉을 노래:문현
5) 학 타고 저 불고 호로병 차고 불로초 메고 쌍상투 짜고 노래:문현
색등거리 입고 가는 아희 게 좀 섰거라 네 어디로 가느냐 말물어 보자


http://user.chollian.net/~flumen/
2007/04/09 18:09 2007/04/09 18:09

갑민가

2007/04/08 21:50 / Other Scraps/Arts

갑민가

어져어져 저기가는 저사람아
네행색   보아하니 군사도망 네로고나
요상으로 볼작시면 베적삼이 깃만남고
허리아래 굽어보니 헌잠방이 노닥노닥
곱장할미 앞에가고 전태발이 뒤에간다
십리길을 할레가니 몇리가서 엎쳐지리
내고을의 양반사람 타도타관 옮겨살면
천하되기 상사여든 본토군정 싫다하고
...




갑민가 (http://www.hallym.ac.kr/~korean/)

2007/04/08 21:50 2007/04/08 21:50

SANTA ANITA PARK
Saturday April 07, 2007 - Race 6
Santa Anita Derby - Grade: 1
Purse: $750,000
Distance/Restrictions: 1 1/8M, Dirt, 3 Year Olds, STAKES
Winning Time: 1:49.51

Pgm Horse Win Place Show
9 Tiago 60.60 23.80 10.00
8 King of the Roxy 6.40 4.60
2 Sam P. 3.20

Times in 100ths: :23.10 :46.95 1:11.40 1:36.02 1:49.51

Unplaced horses listed in order of finish.
Also ran: Liquidity, Bwana Bull, Medici Code, Court the King, Black Seventeen, Boutrous and Level Red
Result by NTRA.com



Copyright ⓒ CalRacing.com. All rights reserved.

TIAGO
티아고

수 2004 USA 갈색
전적:4(2/0/1)  

Pleasant Tap
플레즌트탭
갈 1987 USA [C] G1

32전(9,9,5)
2,721,169 USD
437 f, 37sw 1.79
Pleasant Colony
플레즌트콜로니
흑 1978 USA {I} G1
620 f, 77sw 3.52
His Majesty
갈 1968 USA *{C} LS
Sun Colony
갈 1968 USA  SW
Never Knock

흑 1979 USA  w
12 f, 6 w, 2 sw
Stage Door Johnny
밤 1965 USA {SP} G1
Never Hula
흑 1969 USA {*} W
Set Them Free

갈 1990 USA  SW

12전(5,1,0)
173,275 USD
1 f, 1 w, 1 sw
Stop The Music
스탑더뮤직
갈 1970 USA [I] G1
685 f, 46sw 2.57
Hail To Reason
흑 1958 USA *{C} LS
Bebopper
갈 1962 USA {*} w
Valseuse

밤 1973 FR  Unr
2 f, 1 w, 1 sw
Tyrant
갈 1966 USA  SW
Barbarossa
갈 1968 FR  Unr
Pedigree by exhorse.co.kr
2007/04/08 19:26 2007/04/08 19:26

AQUEDUCT, Saturday April 07, 2007 - Race 8
Wood Memorial S. - Grade: 1
Purse: $750,000
Distance/Restrictions: 1 1/8M, Dirt, 3 Year Olds, STAKES
Winning Time:1:49.46

Pgm Horse Jockey Win Place Show
2 Nobiz Like Shobiz Cornelio H. Velasquez 3.40 2.60 2.10
3 Sightseeing Javier Castellano  7.20 3.20
1A Any Given Saturday John R. Velazquez 2.10

Times in 100ths: :23.28 :47.26 1:10.90 1:36.02 1:49.46

Unplaced horses listed in order of finish.
Also ran: Summer Doldrums, Reptilian Smarts and Flashstorm
Scratched: Cowtown Cat

Winning Breeder: Elizabeth Jones Valando
Winning Trainer: Barclay Tagg
Winning Owner: Elizabeth J. Valando


Video & Result by NTRA.com


NOBIZ LIKE SHOBIZ
노비즈라이크쇼비즈

수 2004 USA 갈색
전적:4(3/1/0)  G2

Albert The Great
앨버트더그레이트
갈 1997 USA  G1

20전(8,6,4)
3,012,490 USD
4 f, 0sw
Go For Gin
고포진
갈 1991 USA {1740} G1
125 f, 3sw 2.83
Cormorant
갈 1974 USA [C 1400] G1
Never Knock
흑 1979 USA  w
Bright Feather

갈 1989 CAN 
1 f, 1 w, 1 sw
Fappiano
갈 1977 USA *{IC} LS
In My Cap
밤 1982 CAN 
Nightstorm
나이트스톰
흑 1994 USA 

6전(1,2,2)
0
1 f, 0 w, 0 sw
Storm Cat
스톰캣
흑 1983 USA *[I 1326] LS
1139 f, 141sw 3.62
Storm Bird
갈 1978 CAN [I 1400] G1
Terlingua
밤 1976 USA {DC} G2
Halo's Daughter

갈 1988 USA 
0 f, 0 w, 0 sw
Halo
흑 1969 USA *+{BC} LSB
Lilt
1974 USA 
Pedigree by exhorse.co.kr
2007/04/08 19:07 2007/04/08 19:07

Z에 기고한 촘스키의 글

- 탈근대 철학(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의문을 담은 촘스키의 글



여행을 가서 강연을 마치고 - 제 대부분의 생애를 이것으로 보내지요 - 돌아와보니 "이론"과 "철학" 에 대한 토론과 관련해서 계속 글들이 올라오고 있군요. 제가 보기에는 다소 기묘한 논쟁입니다만 말입니다. 여기 제 반응들을 몇가지 올립니다. 단, 미리 인정하겠지만, 솔직히 지금 무슨 논쟁이 벌어지고 있는지 제가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제가 알고 있기로 이 논쟁은 처음에, 저와 마이크[Michael Albert; "Z"의 편집자],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아무런 "이론"도 가지고 있지 않아서 여러가지 사건들이 왜 일어나는가에 대해 어떠한 설명도 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난에서 촉발되었지요.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이해하고 해결하려는 우리의 노력이 이 점에서 약점을 가지고 있고, 이 약점을 고치기 위해서는 "이론"과 "철학"과 "이론적 구성물들"에 의존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제가 굳이 마이크를 대변할 필요는 없겠지요. 지금까지 저의 응답은 제가 35년전, 그러니까 소위 "포스트모더니즘"이 지성계에서 폭발적인 반응을 보이기 오래 전부터 이미 활자화했던 주장들을 거의 그대로 반복하는 것이었습니다. 저는 다음과 같이 말했지요: "만약에 시사 문제들을 다루거나 국내외의 분쟁들을 해결하는데에 적용할 수 있고, 충분히 시험을 거쳤으며 잘 검증된 이론이 있다면, 누군가가 그런 이론의 존재를 지금까지 비밀리에 잘 감춰왔음이 분명하다. [그런 이론이 있다는] 수많은 사이비 과학적 허세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제가 아는한 이 말은 35년전에도 맞는 말이었고 지금도 여전히 그렇습니다. 더구나, 제가 한 말은 인간사회에서 벌어지는 일들에 대한 모든 연구들에 확장되며, 35년전 이후부터 지금까지 나온 "이론"들에 대해서도 물론 단 하나의 예외없이 적용됩니다. 제가 아는 한 그동안 바뀐 것이라면, 이른바 "이론"과 "철학"을 제안하는 사람들 사이에, 스스로에 대한, 그리고 서로에 대한 존경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는 사실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사이비 과학적 허세"이외에는 거의 아무것도 찾을 수 없지요. 제가 에전에도 썼지만, 조금이나마 찾을 수 있는 것들중 가끔 꽤 흥미있는 것들도 있긴 합니다. 하지만 그것들도 제 시간과 정력을 바치고 있는 실제 세계와 관련된 문제들에 대해서는 별다른 함축을 가지고 있지 않지요. (가령, 예를 들어달라는 구체적인 요구와 관련해서 제가 언급한 것으로, 롤즈(Rawls)의 중요한 작업이 있습니다.)

자기네들끼리에 대한 존경심의 폭발적인 증가라는 현상은 이미 주목받고 있습니다. 가령 상당히 괜찮은 철학자이자 사회이론가 (그리고 또한 활동가이기도 하지요)인 앨런 그라우바드 (Alan Graubard)가 몇년전에 롤즈에 대한 로버트 노직 (Robert Nozick)의 "자유지상주의적"인 응답, 그리고 그 응답에 대한 반응들과 관련해서 흥미있는 논평을 썼었지요. 앨런은, 노직의 응답에 대한 반응들이 아주 열광적이었음을 지적했습니다. 논평을 썼던 사람들마다 노직의 논변들이 가지는 파워 및 그밖의 여러 점들을 극찬했다는 것이지요. 하지만, 누구도 실제 세계와 관련된 노직의 결론들중 그 어느 하나도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물론 이들 중 이미 그런 결론을 받아들인 사람들은 예외로 하고 말이지요). 앨런의 지적이 맞습니다. 더불어 이런 현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그의 논평도 맞구요.

"이론"과 "철학"을 지지하는 이들은, 자신들을 옹호하길 원한다면 아주 쉽게 그럴 수 있습니다. 그냥 저에게, 과거에도 그리고 지금도 "비밀"로 남아있는 그것이 무엇인지를 알려주면 됩니다. 기꺼이 공부하겠습니다. 사실 이전부터 알려달라고 여러번 요구했지요. 그리고 여전히 답변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답변하기 어려운 요구가 아닙니다: 마이크, 저, 그리고 다른 많은 사람들이 (사실, 편협하고 놀랍게도 자족적인 지식인 사회를 제외한 대다수의 인류가) 관심을 갖고 있는 문제들과 사안들에 "적용할 수 있고, 충분히 시험을 거쳤으며, 잘 검증된 이론"의 예를 보여주면 됩니다. 우리가 논의하고 있는, 그리고 글을 쓰고 있는 문제들과 사안들, 또한 이들과 같은 종류의 문제들과 사안들에 대해서 말이지요. 조금 다르게 말해보면, 우리가 공부해야한다고 하고 또 적용해야 한다고 하는 "이론"이나 "철학"의 원리들이, 우리 및 다른 이들이 다른(또는 더 나은) 근거에 의해 이미 다다른 결론들을 타당한 논변을 통해 이끌어낸다는 점을 보여주십시오. 이 "다른 이들"에는, 정식 교육을 받지 못한 이들도 포함됩니다. 왜냐하면 이들 또한 "이론적" 모호함 같은 것이라고는 전혀 없는 상호 관계를 통해, 또는 곧잘 스스로들, 제가 말한 그런 결론들에 다다르니 말입니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위에서 말한 것은 간단한 요구입니다. 이런 요구를 전에도 했습니다. 그리고 아직도 여전히 그 비밀이 무엇인지 모르고 있지요. 저는 이러한 사실로부터 몇가지 결론을 끌어냈습니다.

요즘 진행되고 있는 (그리고 논쟁에서 언급된 바 있는) 이른바 "해체(deconstruction)"과 관련해서는 논평을 할 수가 없군요. 왜냐하면 그 대부분이 저에게는 횡설수설인것처럼 보이니까 말입니다. 하지만 만약에 이것이 심오함을 깨닫지 못하는 저의 능력부족을 보여주는 또 다른 신호라면, 다음으로 여러분이 해야할 일은 분명합니다: 그 결과들을 제가 알아들을 수 있는 쉬운 말들로 다시 서술해주고, 이 결과들이, 세음절 이상 나가는 단어, 비정합적인 문장, (최소한 저에게는) 거의 아무런 의미도 없이 남발되는 수사, 이런 것들 없이도 이미 오래 전부터 다른 사람들이 이해해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인 결과들과 왜 다른지, 또는 왜 더 나은지 보여주십시오. 그러면 제 능력부족이 치료가 되겠지요. - 물론, 치료가 될 수 있는 것이라는 전제하에서 말입니다. 어쩌면 치료가 안될지도 모르지요. 이 가능성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언급하겠습니다.

이건 만족시키기 아주 간단한 요구입니다. 그렇게도 대단한 열정과 분노로 제기되는 주장들에 어떤 근거라도 있다면 말입니다. 하지만 이런 단순한 요구를 만족시키려고 노력하는 대신, 답변들을 보면 잔뜩 화만 내고 있지요: 이런 요구를 제기하는 것은 "엘리트주의", "반지성주의", 또 그밖의 다른 범죄들을 범하는 것이라고 하지요. --- 반면에, 스스로에 대한 존경과 상호간의 존경이 가득한 지식인 사회에 머무르면서 자기네들끼리만 얘기하고 제가 있기를 더 선호하는 종류의 세계에 들어오지 않는 것은 "엘리트주의"가 아니라고 하는 듯 합니다. 제가 더 선호하는 세계에 대해서라면, 제 강연 및 집필일정만 봐도 제가 뭘 의미하는지 예시가 될 겁니다. 물론 이 토론 참가자들이야 다 알고 있거나, 쉽게 알수 있겠지만 말입니다. 그리고 무슨 이유인지 저는 그 세계에서 어떤 "이론가"들도 본적이 없으며, 그들이 하는 회의나 파티에 가본적도 없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저와 그들은 그냥 다른 세계에 살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왜 그들의 세계가 아닌 제 세계가 "엘리트주의"적 세계인지는 알기 힘듭니다. 더 이상 논평하고 싶지 않습니다만, 그 반대가 사실이라는 것은 자명한듯이 보이지요.

또 다른 면을 덧붙이자면, 저에게는 강연 요청들이 너무나 많이 밀려들어와 도저히 제가 원하는만큼 다 수용을 할 수 없는 형편입니다. 그런 경우 저는 다른 사람들을 제안하지요. 하지만 기묘하게도, 저는 "이론"이나 "철학"을 제시하는 사람들은 절대 제안하지 않습니다. 대중 모임과 활동가들의 모임및 단체, 일반 단체, 대학, 교회, 노조, 등등, 또 국내외 청중들, 제3 세계 여성들, 난민들, 등등, 이들과 관련된 제 자신의 (상당히 광범위한) 경험에서, 그런 사람들과 (또는 그들의 이름조차도) 우연히 부딪히거나 한 적도 없습니다. 왜 그럴까요? 궁금합니다.

그래서, 게시판의 이 모든 논쟁이 기묘하다고 하는 것이지요. 한편으로는, 성난 비난과 탄핵을 합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그러한 비난과 탄핵을 지지할만한 증거와 논변을 보여달라는 요구에 대해 더한층 분노로 가득찬 비난으로 응답을 합니다. --- 하지만 놀랍게도, 어떤 증거나 논변도 없습니다. 그래서 다시 한번, 왜 그럴까를 물어보게 되지요.

제가 뭔가를 놓치고 있을지 모른다는 것도 전적으로 가능합니다. 또는 어쩌면 과거 20년동안 [프랑스] 파리의 지식인들과 그 추종자들이 밝혀놓은 심오한 사실들을 이해할만한 지적 능력이 저에게 부족한 것이지도 모르지요. 저는 그런 가능성들에 대해 전적으로 열려있습니다. 비슷한 비난들이 쏟아진 수년간 계속 그래오고 있지요 - 하지만 제 질문들에 대해서는 어떠한 답변도 들을 수 없습니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제 질문들은 간단하고 답변하기 쉬운 것들입니다 - 답변이 있다면 말입니다: 제가 뭔가를 놓치고 있다면, 그게 뭔지 보여주십시오. 제가 알아들을 수 있는 용어들로 말이지요. 물론, 그것들이 완전히 제 이해를 벗어나 있는 것이라면 - 그럴 수도 있습니다 -, 그렇다면 체념해야지요. 그리고 어쩔 수 없이 제가 이해할수 있는 것 같은 일들을 계속해야지요. 또한 이 일들을 이해하고 있는 것 같으며 관심있어하는 것 같은 사람들과 계속 다녀야지요. (물론 저로서는 기꺼이 그러겠습니다. 자기 자족적인 지식인 문화에 대해서는 지금도 그렇고 앞으로도 전혀 관심이 없습니다.)

아무도 제가 뭘 놓치고 있는지 성공적으로 보여준 사람이 없기 때문에, 남은 것은 두번째 가능성인 것 같습니다: 제가 이해를 할 능력이 없다는 것이지요. 그런 가능성이 참일지도 모른다는 점은 기꺼이 인정합니다만, 저로서는 계속 미심쩍어할수밖에 없군요.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말이지요: 제가 이해하지 못하는 많은 것들이 있습니다 - 가령, 중성미자(neutrino)가 질량을 가지고 있는가에 관한 최신 논쟁, 또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최근에 어떤 식으로 증명되었는가에 대한 지식. 하지만 저는 이쪽 동네에 50년간을 있으면서 다음과 같은 두 사실을 배웠지요:

(1) 관련 분야에 있는 친구들에게 내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설명해달라고 부탁할 수 있다. 그리고 그들은 특별한 어려움없이 내 부탁을 들어줄수 있다.

(2) 내가 관심있으면, 좀 더 공부해서 이해할 수도 있다.

자, 이제 데리다(Deridda), 라캉(Lacan), 리오타르(Lyotard), 크리스테바(Kristeva), 등등 - 심지어 푸코(Foucault)도 말이지요. 비록 제가 그를 알고 있고 좋아했으며, 이 부류의 다른 이들과는 조금 다른 사람들이었지만 말입니다 - 은 제가 이해할 수 없는 글들을 쓰지요. 하지만 [이들의 글과 관련해서는] (1)과 (2)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해했다고 하는 어떠한 사람도 저한테 그걸 설명해주지 못했을 뿐 아니라, 사실 그런 저의 이해불능을 어떻게 극복해야할지 조금의 실마리도 찾을 수 없습니다.그렇다면, 다음의 두가지 가능성중 하나가 맞겠지요. (a) 지성계에 무엇인가 새로운 진보가 이루어졌다 (아마도 어떤 종류의 갑작스러운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서이겠지요). 그 결과 그 깊이와 심오함에 있어서 양자역학, 위상수학, 등등을 뛰어넘는 형태의 "이론"이 탄생되었다. 또는 (b) . . . .자세히 얘기하지 않겠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저는 이 지식인 세계라는 데에서 50여년간을 살아왔고, "철학"과 "과학"이라고 불리우는 영역들 및 지성사 분야에서 제 자신의 일을 상당량 해 왔습니다. 아울러 자연과학, 인문학, 사회과학, 그리고 예술 분야에서의 지식인 문화에 대해 상당한 개인적인 경험을 가지고 있지요. 이런 경험을 통해, 저는 지식인들의 생활에 대한 제 자신의 결론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자세히 쓰지는 않겠지만 말입니다. 하지만 여기 다른 사람들을 위해서, 간단히 다음과 같이 제안합니다: 여러분들보고 "이론"과 "철학"의 경이로움에 대해 말하는 이들에게, 자신의 주장을 정당화해줄 것을 요구하십시오. 물리학, 수학, 생물학, 언어학, 그 밖의 다른 분야들에 있는 사람들이라면, 누군가가 그들보고 진지하게 그들 이론의 원리들이 무엇이고, 그 원리들이 어떠한 증거들에 바탕해있고, 그것들이 설명하는 것들이 이미 명백한 것들이 아닌지 등등을 물어볼 때 기꺼이 답해주겠지요. 이건 누구나 해야하는 공평한 요구들입니다. 이 요구들을 만족시킬 수 없다면, 그렇다면 저는 비슷한 상황에서 흄(Hume)이 제시한 충고를 받아들이라고 제안하겠습니다: 그 "이론"과 "철학"을 불속에 던져버리십시오.



이제 몇가지 세부적인 논평을 하겠습니다: 제가 "파리 학파들"(Paris Schools)과 "포스트모더니스트 종파들"(Postmodernist cults)을 말할 때 어떤 사람들을 가리키는 건지 페틀랜드(P.h.e.t.l.a.n.d)가 물어보았지요. 위에 든 사람들이 그 일례들입니다.

그 다음에 페틀랜드가, 당연하게도, 왜 제가 이들을 "무시"하느냐고 물어보았지요. 가령 데리다를 들어볼까요. 우선, 저는 이제부터 제가 하려는 것과 같은 종류의 논평을 아무 증거도 제시하지 않고 하는 것을 싫어한다는 점을 밝힙니다. 하지만 여기 이 게시판에 참가한 사람들이, 가령, 소쉬르에 대한 자세한 분석을 원하는지 의심스럽군요. 그리고 어쨌든 저는 그런 분석을 하지 않을 겁니다. 페틀랜드가 제 견해를 명시적으로 물어보지 않았다면 이제부터 할 얘기를 하지도 않을 겁니다. 그리고 만약 제 견해를 뒷받침하라고 요구받는다면 저는, 그런 일은 시간들여서 할만한 가치가 없다고 답변할 것입니다.

어쨌든 데리다를 보겠습니다. 나이많은 저명한 사람들 중 하나이지요. 저는 최소한 그의 <그라마톨로지(Grammatology)>는 이해할 수 있어야 하지 않은가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그 책을 읽으려고 시도했지요. 조금은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가령 제가 매우 잘 알고 에전에 거기에 관해서 논문도 쓴 적이 있는 고전적 문헌들에 관한 비판적 분석같은 것 말이지요. 우스꽝스런 오독에 근거한, 형편없는 스칼라쉽이었습니다. 아울러 그 논변이라는 것이, 제가 사실상 어린아이였을 때부터 익숙해왔던 정도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이었지요. 글쎄, 아마 제가 뭘 놓쳤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럴 수도 있지요. 하지만 위에서 말한대로 의심은 여전히 남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아무런 근거도 대지 않은 논평에 대해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제 견해를 물어봤으니, 답변을 하는 겁니다.

이 종파들 (제가 보기에는 종파들처럼 보입니다)에 있는 사람들 중 몇몇은 저도 만나보았습니다: 푸코 (우리는 심지어 몇시간씩 토론도 했지요. 활자화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시간동안 매우 즐거운 대화를 했지요. 실질적인 사안들에 대해서 말입니다 - 그는 불어로, 저는 영어로). 라캉 (여러번을 만났고, 재미있는, 그리고 자신도 잘 알고 있는 사기꾼 (charlatan)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비록 종파를 형성하기 이전인 그의 초기 연구는 사리에 맞는 것이었고 이에 대한 제 논의도 활자화되어있지만 말입니다). 크리스테바 (그녀가 열광적인 마오주의자였을 때 잠깐 만난적이 있지요). 그밖에 다른 사람들도 있습니다. 만나보지 않은 사람들이 훨씬 더 많지요. 저는 제 선택에 의해 이들 써클을 멀리 했고, 전혀 다르면서 훨씬 광범위한 써클들을 더 선호했으니까요 - 제가 강연하고, 인터뷰하고, 운동에 참여하고, 매주 몇십장씩 긴 편지들을 쓰고 하는 써클들 말입니다. 저는 호기심에 이끌려 그들의 저술에 손을 댔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말한 이유들 때문에 진도를 많이 나가지는 못했지요: 제가 본 것은, [이들이] 극단적으로 허세를 부리면서도, 검토해보면 그 허세중 대부분은 단순히 그 분야에 대해 기본 소양이 없다는 것을 보여줄 뿐이라는 사실이었습니다. 제가 잘 알고 있는 (때로는 제가 논문을 쓴 적도 있는) 문헌들에 대한 엄청난 오독, 기본적인 자기-비판도 수시로 무시한다는 점에서 지독하게도 형편없는 논변, (복잡다단한 말들로 치장되어있지만) 사소하거나 거짓인 많은 진술들, 이런 것들에 근거한 허세이지요. 더불어 상당부분은 그냥 횡설수설(gibberish)입니다. 제가 이해하지 못하는 다른 분야들에서 중간에 막힐 경우에는, 저는 위에서 말한 (1)과 (2)에 관련된 문제들과 부딪히지요. 어쨌든 위에서 말한 사람들이 제가 애초에 염두에 둔 사람들이고, 또 제가 왜 진도를 많이 나가지 못했는가에 대한 이유입니다. 혹시 불분명하다면 더 많은 이름들을 나열할수도 있습니다. 제가 여기서 말하고 있는 것과 같은 종류의 (하지만 내부인으로서의) 관찰에 대한 문학적 묘사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데이비드 롯지 (David Lodge)의 소설들을 권하겠습니다. 제가 판단할 수 있는 하에서는, 정곡을 찌른 것 같습니다.

페틀랜드는 또한, 제가 "뉴욕 타임즈의 허세와 혹세무민을 드러내는" 데에는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도 이들 지식인 써클들에 대해서는 아주 "간단히 무시"하는 것이 "매우 당혹스럽게" 여겨진다고 썼습니다. "왜 이 사람들에 대해서도 같은 식으로 취급해주지 않는 것이지요?" - 정당한 질문입니다. 마찬가지로, 간단한 답변이 있지요. 제가 논의하는 (뉴욕 타임즈, 여러 저널들, 많은 학술책들) 텍스트들은 이해가능한 글들로 씌어져있고 세상에 커다란 영향을 미칩니다. 우리사회같이 성공적으로 교설적인 (doctrinal) 사회에서, 생각과 표현을 담는 교설의 틀 (doctrinal framework)을 제공하니까 말입니다. 이것은 세계 전역에 걸쳐서 고통받고 있는 사람들에게 일어나는 일들에 어마어마한 영향을 주지요. 저는 이 사람들에게 관심이 있지, 롯지가 (제 생각에는 정확하게) 묘사하고 있는 세계에 사는 사람들에게는 관심이 없습니다. 따라서 만약 일반적인 사람들과 그들의 문제들에 관심이 있다면, 제가 논의하는 텍스트들을 진지하게 다루어야지요. 페틀랜드가 언급한 글들은, 제가 판단하는 한, 전혀 그런 성격의 글들이 아닙니다. 분명히 그 글들은 세계에 아무런 영향도 끼치지 않지요. 왜냐하면 이 글들은 단지 같은 써클들 내에 있는 다른 지식인들에게만 읽혀지니까요. 더구나, 이들 글들을 일반 대중들 (가령, 제가 강연을 하거나, 만나거나, 편지를 쓰거나, 또는 제가 글을 쓸때 염두에 두고 있는 사람들 말입니다. 이 사람들은 별다른 특별한 어려움 없이 제가 말하는 것들을 이해하는 것 같습니다. 비록 일반적으로 볼 때 이들 역시 제가 포스트모던 종파들에 맞닥뜨렸을때 가졌던 것과 같은 종류의 지적 장애를 그 종파들에 대해 가지는 것 같지만 말입니다)에게 이해시켜보려는 시도가 있는지 저는 알지 못합니다. 또한 저는 그런 글들을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적용해보려는 시도가 있는지 알지 못합니다. 제가 앞에서 언급한 의미에서, 이미 명백한 것이 아닌 뭔가 새로운 결론들을 뒷받침해주는 역할로서의 적용을 해보려는 시도 말이지요. 저는 지식인들이 어떻게 자신들의 명성을 부풀리고, 특권과 존경을 얻고, 일반일들의 투쟁에 동참하는 것을 점점 멀리하는가, 이런 것들에 대해 큰 관심이 없기 때문에 거기에 시간을 투자하지 않는 것이지요.

페틀랜드는 푸코에서부터 시작해 볼 것을 제안하는군요. 반복하지만, 푸코는 다른 이들과 두가지 이유에서 조금 틀리지요: [첫번쩨로] 최소한 푸코가 쓴 글들중 몇몇은, 비록 그렇게 흥미롭지는 않습니다만, 저도 이해를 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 푸코는 개인적으로 [대중들의 투쟁에] 멀리 떨어져있지 않았고, 같은 부류의 특권 엘리트 써클들안의 다른 이들과만 상호 교류하지도 않았지요. 이어서 페틀랜드는 정확히 제가 요구했던 것을 답하려고 합니다: 페틀랜드는 왜 자신이 푸코의 저술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서 쓰고 있지요. 이것이 토론을 하는 제대로 된 방식입니다. 그리고 제 생각에는 여기에 대한 제 답변을 통해 왜 제가 이런 부류의 저술들에 대해 그렇게도 "무시하는" 태도를 취하는지 이해가 되리라 봅니다 - 사실, 전혀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지요.

페틀랜드가 서술하고 있는 푸코의 "이론" - 올바른 서술이라고 확신하건데 - 은 제가 보기에는 별로 중요하지 않은 "이론"인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누구나 알고 있었던 것이니까요 - 사회사 및 지성사와 관련된 세부 사항들을 제외하고는 말입니다. 사실 이 세부사항들에 대해서도, 저라면 상당히 주의하겠습니다: 이 영역들 중 몇몇은 제 자신이 우연히도 꽤 광범위하게 연구를 했습니다. 그래서 그 영역들과 관련해서는 푸코의 스칼라쉽이 별로 신뢰할만한게 못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지요. 그 결과 제가 모르는 영역들에 대해서도, 별다른 조사는 하지 않았습니다만, 그의 작업을 별로 신뢰하지 않습니다. 1972년 이래로 활자화된 논의들을 보면, 이런 문제점들이 조금씩 불거지기 시작하지요. 17세기와 18세기에 관련해서 [푸코보다] 훨씬 더 나은 스칼라쉽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이것들과, 제 자신의 조사결과를 참고하지요. 하지만 다른 역사 관련 저술들은 제쳐놓고, "이론적 구성물들"과 설명들로 넘어가봅시다: "가혹한 억압 메커니즘으로부터, 사람들이 권력이 원하는 것들을 (심지어 자발적으로) 하게 되는 보다 교묘한 형태의 메커니즘으로의 커다란 변화"가 있었다는 것이지요. 이 설명은 진실입니다. 사실, 당연한 말이지요. 만약 이런 게 "이론"이라면, 저에 대한 모든 비판은 틀렸습니다. 왜냐하면 저도 그런 "이론"은 있으니까요. 저는 정확하게 푸코가 지적하고 있는 바로 그 점을 지속적으로 주장해왔습니다. 뿐만 아니라 그 이유와 역사적 배경도 제시했지요. 하지만 저는 제 견해를 "이론"이라고 묘사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이론"이라는 용어를 붙일만한 것이 아니니까요). 그리고 헷갈리게 만드는 수사도 쓰지 않았지요 (왜냐하면 제 주장은 아주 단순한 것이니까요). 아울러 제 견해가 새로운 것이라고 주장하지도 않았지요 (왜냐하면 당연한 사실이니까요). 통제와 억압을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권력이 쇠락해감에 따라 20세기초 PR 산업 종사자들이 "대중들의 마음을 조종하기"라고 부른 것들에 점점 의존해야 될 필요성이 생겼다는 것은 오랫동안 인지되어온 사실입니다. 18세기에 흄이 말했듯이, 그 이유는, "사람들이 자신의 느낌과 욕구를 통치자들의 느낌과 욕구에 굴복하여 암묵적으로 맡겨버리는 것"이 궁극적으로는 통치자들이 사람들의 견해와 태도를 조종하는데에 근거해있기 때문입니다. 왜 이런 당연한 사실이 갑자기 "이론"이나 "철학"이 되어야하는지는, 다른 사람들이 설명해주어야지요. 흄이라면 웃었을 겁니다.

푸코의 특정한 예들 중 몇몇 (가령 18세기의 형벌 방식)은 흥미있어 보이고, 그 정확성에 대해 조사해볼 가치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의 "이론"은 단순히, 남들이 별다르게 심오한 것이 있다는 허세없이도 간단하게 지적해놓은 것을 엄청나게 복잡하게 만들고 부풀려서 다시 진술한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페틀랜드가 서술한 것 중 그 어느 것도 제가 35년간 써왔고 많은 자료들을 통해서 보여왔던 것들 - 이것들 모두가 명백하고 당연한 사실들이지요 -에서 벗어나는 것이 없습니다. 이런 사소한 사실들에서 흥미있는 것은 어떤 원리가 아니라 - 그 원리가 무엇인지는 명백하지요 - 어떻게 이 원리가 사람들에게 중요한 일들에 구체적으로 적용되는가 하는 점을 보이는 것입니다: 국가개입, 칩략, 착취, 테러, "자유시장"이라는 사기, 등등에서 말입니다. 이것들과 관련된 작업은 푸코의 저술에서 찾아볼 수 없습니다. 반면에 제가 이해할 수 있는 문장들을 쓸 수 있고 지성계에서 "이론가들"이라고 여겨지지 않는 사람들의 많은 저술들에서는 그런 작업을 찾아볼 수 있지요.

제 논지를 분명히 하겠습니다. 페틀랜드는 정확히 옳은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자신이 보기에 푸코가 발견한 "중요한 통찰들과 이론적인 구성물들"을 제시하고 있으니까요. 제 문제는, 그 소위 "통찰들"이라는 것이 이미 익숙한 것들이며, 더구나, 단순하고 익숙한 아이디어들이 복잡하고 허세에 가득찬 수사들로 치장되었다는 점을 뺀다면 어떠한 "이론적인 구성물들"도 발견할 수 없다는 사실에 있습니다. 페틀란트는 제가 푸코의 작업을 "틀렸는지, 쓸모없는지, 또는 허세인지", 어떻게 생각하는지 묻고 있습니다. 아닙니다. 역사와 관련된 그의 작업은 때때로 흥미롭습니다. 비록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고, 하나하나 검증을 해보아야 할 필요가 있겠지만 말이지요. 오랫동안 명백한 사실이었고 훨씬 더 간단하게 말할 수 있는 점들을 재진술한 부분은 "쓸모없지" 않습니다. 사실 매우 쓸모있고, 그게 바로 저와 다른 활동가들이 늘 같은 점들을 지적하는 이유이지요. "허세"와 관련해서는, 물론 제 견해로는 푸코가 쓴 많은 것들이 허세입니다. 하지만 특별히 그것 때문에 푸코를 비난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그런 허세는 프랑스 파리의 썩어빠진 지식인 문화에 아주 뿌리깊숙히 박혀있는 것이고, 푸코는 그냥 거기에 자연스럽게 빨려들어간 것이니까요. 오히려 높이 사야 할 점은, 그가 그 문화에 거리를 두었다는 사실이지요. 파리 지식인 문화의 "부패"(특히 2차 세계대전 이후)에 대해서는, 이건 다른 이슈이고 제가 다른 곳에서 논의한 적이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말하지 않겠습니다. 솔직히 말해서 저는 여기 게시판의 사람들이 이 이슈에 대해 관심있어 해야할 필요가 있는지 잘 모르겠어요. 저는 별로 관심없습니다. 제 견해로는, 그들 자신들만의 편협하고 (최소한 저에게는) 별로 흥미롭지도 않은 써클들에서 엘리트 지식인들이 어떤 방식으로 자신들의 경력을 쌓았고 또 다른 것들을 추구했는지에 대해 검토하는 것보다 훨씬 더 중요한 일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게 매우 성근 주장이라는 걸 압니다. 그리고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아무런 증명없이 이런 논평을 한다는 것은 공정하지 않지요. 하지만 저에게 질문들을 제기해왔고, 저는 여러분들이 제기한 특정 이슈들만을 답했습니다. 제 일반적인 견해를 물어보면, 저로서는 그냥 제 견해를 말하는 방법밖에 없지요. 그리고 보다 특정한 이슈들에 대해서는 그것들 하나하나에 대해서만 답할 수 밖에요. 저는 제가 관심이 없는 주제들에 대해 책을 쓰고 싶지는 않습니다.

"이론"과 "철학"에 관련된 주장들이 제기될때 어떠한 합리적인 사람들이라도 곧바로 마음속에 떠올릴 단순한 문제들에 대해 누군가가 대답해줄수 없는한, 저는 제가 보기에 합당하고 계몽적인 작업들을 지속해나아갈 것이고, 또한 세계를 실질적으로 이해하고 변화시키는 데에 관심있는 사람들을 지속적으로 만날 것입니다.

존 (Johnb)은 "듣는 이가 준거틀 (frame of reference)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평이한 언어로 말하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을 해주었습니다. 옳고 중요한 지적입니다. 하지만 그럴 때 올바른 반응은, 있지도 않은 "이론"과 관련된 애매모호하고 불필요하게 복잡한 말과 허세에 호소하는 것이 아니지요. 올바른 반응은, 듣는 이로 하여금 자신이 받아들이고 있는 준거틀을 의문시해보라고 요청하고, 그것 대신 고려해 볼 수 있는 다른 대안을 평이한 언어로 제시하는 것입니다. 저는 정식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혹은 어떤 경우에는 전혀 받지 못한 사람들과 늘 얘기하지만,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단 교육 수준이 점점 올라가서 지배 이데올로기에 단단히 세뇌되어 있고 알아서 복종하는 것 (엘리트 교육의 상당 부분은 이런 걸 가르치는 것이지요)을 스스로 선택한 사람들일수록 이해시키기가 점점 어려워지는 것은 사실입니다. 존은 말하기를, 여기 게시판과 같은 써클을 제외한 "우리나라[미국]의 나머지 사람들에게 그("그"는 저를 의미하지요)는 이해불가능한 사람이다"라고 했지요. 이건 제 많은 경험들에 완전히 위배되는 말입니다. 모든 종류의 청중들과 관련해서 말이지요. 오히려, 제 경험은 제가 방금 서술한 그대로입니다. 가령, 라디오 대담을 보지요. 저는 라디오 대담에 상당히 많이 나갔는데, 억양등을 들어보면 청취자가 어떤 종류의 사람인지를 상당히 쉽게 추측할 수 있습니다. 제가 끊임없이 발견하는 것은, 청취자가 가난하고 덜 교육받은 사람일수록 많은 배경지식이나 "준거틀" 문제같은 것을 제가 그냥 건너뛸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왜냐하면 제가 말하는 것들은 상당히 자명하고 모든 사람들이 상식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저는 그냥 우리 모두가 관심을 갖고 있는 문제들로 곧장 옮겨나아갈 수 있습니다. 좀더 교육받은 청취자일수록 이게 훨씬 더 힘이 듭니다. 수많은 이데올로기적 구성물들을 부숴버리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지요.

제가 쓴 책들을 많은 사람들이 읽을 수 없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그건 그 안의 아이디어들이나 언어가 복잡해서 그런것이 아니지요. 강연장에서 자유토론을 할 때는, 정확히 같은 사안들에 대해, 심지어 정확히 같은 단어들을 써도,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요. 아마도 부분적으로는 제 문체 때문일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상당히 방대한 자료를 제시해야 될 필요 (최소한 저는 그렇게 느낍니다) 때문에 그 결과 읽기가 어려워지지 않나 싶습니다. 이런 이유들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제 책에서 특정 부분을 (어떤 때는 거의 그대로) 팜플렛 형태나 그 비슷한 것으로 만들어 배포하지요. 아무도 [이해하는데] 별 문제를 느끼는 것 같지 않더군요. 물론, 다시 한번 말하지만, 오히려 Times Literary Supplement나 전문적인 학술 저널들은 도대체 제가 뭘 말하고 있는 것인지 모르는 경우가 자주 벌어집니다만 말입니다. 어떤 경우에 보면, 정말 희극적이지요.

마지막 지적입니다. 이미 다른 데서도 썼습니다만 (Z에서의 토론, <501년: 정복은 계속된다>의 마지막 장등), 최근 지식인 계급의 행동에서 놀라운 변화가 있었지요. 60년전이라면 노동 계급 학교들에서 가르치거나 <백만인을 위한 수학> (제목 그대로, 수백만의 사람들에게 수학을 이해가능하게끔 해주었지요)과 같은 책들을 쓰고 대중 조직들에 참여 및 강연을 했었을 좌파 지식인들이, 지금은 그러한 활동들을 거의 도외시하고 있습니다. 이건 조그만 문제가 아니지요. 지금 이 나라[미국]는 매우 이상하고 불길한 조짐을 보이는 상황에 놓여있습니다. 사람들은 두려워하고, 분노하고, 환상에서 깨어나고, 회의적이 되고, 혼란스러워합니다. 마이크가 말한 것처럼, 이런 상황이야말로 활동가들이 꿈꾸어오던 것이지요. 그러나 동시에 이런 상황은 선동정치가들과 광신자들에게 비옥한 토양이 되기도 합니다. 그들은 비슷한 상황에서 그들의 선배들이 뿌려왔던 메시지들을 뿌려대면서 상당수의 대중적 지지를 즐길 수 있을 (그리고 실제로 벌써 즐기고 있는) 것이니까요. 우리는 과거에 이러한 상황이 어떠한 식으로 발전했는지 알고 있습니다. 그런 일이 다시 일어날 수도 있지요. 과거에는 일반 대중들과 그들의 문제를 기꺼이 공유하고자 한 좌파 지식인들이 메어왔던 간극이, 현재는 엄청난 틈으로 존재하고 있지요. 제가 보기에 이러한 상황은, 불길한 함축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답변을 끝냅니다. 그리고 (솔직히 말하자면) 앞에서 말한 명백한 질문들에 대한 답변을 받지 못할 경우, 이 문제에 대한 저의 개인적 관심도 이것으로 끝을 내려고 합니다.

http://theology.co.kr/wwwb/CrazyWWWBoard.cgi?db=study&mode=read&num=259&page=1&ftype=6&fval=&backdepth=1
2007/04/07 11:49 2007/04/07 11:49

[21세기 새로운 이론과 사상]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학
욕망이란 이름의 인간을 사유하기
이정우 _ 철학아카데미원장  

프랑스의 정신분석학자이자 철학자인 자크 라캉(1901~1981)은 사르트르·메를로-퐁티·레비-스트로스·바슐라르 등과 더불어 20세기 중엽에 활동했다. ‘구조주의 정신분석학’의 대표자로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구조주의적 맥락에서 새롭게 재창조했으며, 거기에 인간존재에 대한 중요한 철학적 성찰을 가미함으로써 현대 사상의 핵심 인물들 중 한 사람이 되었다.

주체를 지배하는 무의식


라캉의 사유는 깡길렘·푸코가 그렇듯이 ‘정상과 비정상’에 관심을 가진다. 그러나 푸코와 깡길렘이 한 사회·한 시대가 비정상을 어떻게 규정하는가, 어떤 논리·개념·장치들·배경들을 깔고서 그런 구분을 행하는가에 관심이 있다면(인식론적-과학사적 관점), 라캉은 처음부터 모든 인간은 비정상이라고, 더 정확히 말해 정상과 비정상이란 이분법은 성립하지 않는다고 본다. 모든 인간은 기본적으로 ‘아픈 존재’(헤겔)인 것이다.

이 점에서 통상적으로 함께 ‘구조주의자’로 분류되지만, 그리고 라캉 자신이 말년에 자신의 담론을 수학화하려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지만, 라캉은 레비-스트로스의 투명한 합리주의와 대조된다. 그러나 라캉은 그 아픔이 일정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본 점에서 역시 구조주의자이다.

라캉 사유의 성과는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을 이으면서도 거기에 구조주의 언어학의 성과를 도입해 무의식에 대한 새로운 개념화를 시도한 점에 있다.

정신분석학은 ‘무의식’ 개념을 기본으로 한다. 우리가 의식하는 세계, 의식으로 행하는 경험 아래에는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세계가 놓여 있다(그러나 ‘무의식’이라는 실체는 없다. 의식의 공백으로서, 의식의 배면으로서 발견되는 어떤 차원일 뿐이다).

라캉에게서 무의식은 어린 아기가 상징의 세계, 표상의 세계에 진입하면서 형성된다. 그러한 진입 이전, 즉 아기와 엄마만이 존재하는 세계가 그 후의 상징과 표상의 세계에 억눌리면서 무의식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우리는 의식의 세계 속에서 살아가지만, 그 아래에는 어린 시절에 발생했던 그러한 진입과 더불어 그 후에도 사라지지 않고 오히려 실질적으로 주체를 지배하는 무의식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의식 세계가 상징의 세계, 표상의 세계라면 그 세계는 필연적으로 기표(記表)의 세계일 수밖에 없다. 그리고 기표는 기의(記意)와 맞물린다. 그러나 라캉에게서는 소쉬르에게서처럼 기표와 기의가 일대일 대응 관계를 형성하지 않는다. 이 점에서 ‘존재와 사유의 일치’라는 고전적인 전제 위에서 활동했던 소쉬르와 기표와 기의의 ‘미끄러짐’에 대해 이야기한 라캉 사이에는 거대한 담론사적 심연이 가로놓여 있다. 더 정확히 말해, 소쉬르나 레비-스트로스에게는 기표-기의의 대응관계가 성립하며 때로 그 관계를 일탈하는 경우들이 존재한다면(예컨대 레비-스트로스가 말한 ‘떠다니는 기표’) 반대로 라캉의 경우 기표와 기의는 애초부터 일치하지 않으며 다만 경우에 따라 기표가 기의에 “닻을 내리는” 곳, 즉 이른바 ‘누빔점’이 존재한다.

기표는 그 안에 어떤 경험 내용을 담고 있다. “눈이 내린다”라는 기표는 눈이 내리는 현상(지시대상) 및 그 현상에 대한 경험 내용(기의)을 담고 있다. 그러나 라캉은 기표와 기의가 흔히 일치하지 않음을 말한다. 정치가가 “저는 대권 욕심이 없습니다”라고 극구 강조하는 것은 사실 은근히 대권 욕심이 있기 때문이다(조심할 것은 이 정치가가 지금 의식적으로 거짓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실제 그 사람은 자신이 욕심이 없다고 믿고 있지만, 그럼에도 무의식 속에서는 다른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 요점이다). 즉 기표와 기의가 일치하지 않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일치하지 않는가? 바로 무의식 때문이다. 기표는 대권 주자에 나가고 싶지 않다는 그 정치가의 마음을 표현하고 있지만, 대권 주자의 무의식의 움직임은 그렇지 않은 것이다. 라캉에게 인간이란 병자든 아니든 기본적으로 이런 이중 구조를 가지고 있는 존재이다. 의식과 기표, 그리고 그 기표가 명시적으로 가리키는 기의의 세계가 있는 반면, 또한 무의식에서의 움직임이 존재하는 것이다.

무의식은 ‘그것(Es)’이다. 나는 내가 생각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상 ‘그것’이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라캉은 데카르트의 유명한 명제를 뒤집는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에서 “나는 내가 존재하지 않는 곳에서 생각한다, 고로 나는 내가 생각하지 않는 곳에서 존재한다”로. 라캉은 근대 철학의 대전제인 주체의 투명성, 주체가 “주어졌다”는 생각을 거부하고, 주체의 밑에는 ‘그것’이, 무의식이 존재하며 주체는 주어진 것이 아니라 “형성되는”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그렇다면 주체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거울 단계’, 상상과 상징 사이


어린 아기의 주체 형성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가 6개월에서 18개월 사이라고 한다. 어린 아기는 아직 신체적으로 통일되어 있지 않다. 이를 ‘조각난 몸’의 환상이라 한다. 이는 생물학적으로는 환상이지만 심리학적으로는 환상이 아니며, 누구나 겪게 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이 환상은 후에 ‘정신분열증’이 생길 수 있는 잠재적 바탕을 이룬다고 한다).

이 조각난 몸의 환상은 ‘거울 단계’에서 극복된다. 거울 단계에서 아기는 거울에 비친 영상을 보고서(또는 어머니나 다른 아기들에게 비친 자신을 보고서) ‘동일화(identification)’의 과정을 겪는다. 아기는 동일화를 통해서 조각난 몸의 단계를 극복한다. 이 단계가 ‘거울 단계/국면’이다.

그러나 아직 본격적인 주체가 형성되지 않은 단계이다. 아기는 아직 이자(二者) 관계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즉 이때에 아기는 아직 상징의 세계에 들어간 것이 아니며, 엄마와 자기를, 다른 아기와 자기를 혼동하는 전이성(transitivity)의 단계이다. 이 단계는 아기가 자신과 세계를 연속적으로 이해하는 지점이며, 라캉은 ‘상상적’ 단계라 부른다.

이 단계는 나르시스의 그것이기도 하다. 물 속의 자기 영상에 반했던 나르시스처럼 이 단계의 인간에게는 아직 타인이나 상징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매우 행복한 단계이다. 그러나 그 행복은 자신이 통일된 어떤 존재라는 일정한 ‘오인(誤認)’에 근거하고 있다. 라캉에게 주체란 기본적으로 오인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아기는 이제 이런 상상계로부터 상징계로 건너가게 되며, 이 과정을 통해서 본격적인 한 ‘인간’ 혹은 ‘주체’가 형성된다.

아기는 타인의 세계, 사회 세계에 들어간다. 그 결정적인 측면은 곧 언어를 배운다는 것이다. 라캉은 이 차원을 상징계라고 부른다. 이것은 달리 말해 아기가 이제 기표들의 세계로 진입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인간이 기표를 만들어내기보다는 오히려 그것들의 장 속에서 주체가 형성된다는 사실을 함축한다. 주체의 형성은 곧 상징계로의 진입을 떠나서 생각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런데 언어란 타인과의 관계 하에서 성립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징계로의 진입은 자기소외의 과정이기도 하다. 이제 아기는 상징계라는 타자, 사회라는 타자 속에 들어가면 동일시의 환상에서 깨어나 차가운 자기소외(自己疏外)의 장으로 들어선다(이 단계에서 아이는 타인의 욕망을 욕망하게 된다. 즉 타인의 시선을 매개해 스스로를 이해한다). 나르시즘의 단계, 거울 단계는 곧 상상적인 것과 상징적인 것 사이에 존재하며, 그 단계를 통과함으로써 아기는 이제 자기와 타자를 뚜렷이 구분하면서 하나의 주체로서 정립된다. 그러나 이 구분은 자신을 독립적인 존재로서 세운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징계에서 어떤 자리를 잡는다는 것을 뜻한다.

레비-스트로스는 근친혼의 금지야말로 인간을 자연으로부터 문화로 이행하게 한다고 말했다. 연속적 자연으로부터 불연속적 규범으로 넘어옴으로써 혈연과 결혼이 구분된다. 라캉에게서는 바로 거울 단계가 이 ‘자연과 문화의 돌쩌귀’ 역할을 한다. 아기는 거울 단계를 거치면서 유기체에서 인간으로 화한다. 이 점에서 라캉의 정신분석학은 프로이트와는 달리 모든 형태의 생물학주의를 물리친다.

라캉의 사상은 철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함축을 띤다. 주체가 자기동일적 투명성의 존재가 아니라 자기 안에 이미 들어와 있는 타자 즉 상징계를 통해 형성된다는 것은 근대적 주체 개념과는 판이한 주체 개념을 제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코기토가 해체된 것이다.


아버지의 이름 ‘안돼(non)’


아기는 이자 관계에서 삼자 관계로 넘어간다. 이때 아버지가 출현한다. 그러나 이 아버지는 상징계의 은유이다. 따라서 아버지가 없는 고아의 경우라도 상관없다. 아버지는 곧 법(法)의 세계이며 달콤한 상상계와 대비되는 차가운 상징계를 상징한다. 아버지가 등장한다는 것은 곧 아기가 상징계로 진입한다는 것을 뜻한다.

상상계에서 상징계로 건너가면서 ‘균열(die Spaltung)’이 생긴다. 그 과정을 통해서 무의식이 구조화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이름’이다. 이름이 주체를 결정한다.

이 과정에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작용한다. 즉 인간의 원초적 욕망인 리비도/성욕이 규범에 종속된다. 오이디푸스가 아버지 라이오스를 죽이고, 어머니 이오카스테와 결혼했듯이, 아기는 어머니를 사랑하고 아버지를 증오한다. 말할 필요도 없이 이 과정은 의식적 과정이 아니라 무의식적 과정이다.

아기에게 어머니는 하나의 결핍으로서 나타난다. 즉 어머니에게는 남근(phallus)이 결핍되어 있다. 이때의 남근은 생리학적인 남근이 아니라 아버지의 상징, 법의 상징, 상징계의 상징이다. 어머니가 욕망하는 것이 바로 이 팔루스이다. 아기는 바로 어머니의 팔루스가 되고자 한다. 즉 자신을 팔루스에 동일화한다. 아기는 어머니의 결핍을 채움으로써 어머니와 더불어 충족한 하나가 되고자 하는 것이다. 물론 이것은 남자아이 중심의 설명이다.

아버지의 이름(nom)/기표는 곧 아버지의 “안돼(non)”이다. 즉 아버지/상징계는 금지로서 등장한다. 무엇의 금지인가? 바로 근친상간의 금지이다. 그것은 곧 연속성에 대한 갈망을 불연속으로 떼어놓는 과정이다. 연속의 자연에서 불연속의 문화로(이 점에서 레비-스트로스와 통한다).

그런 분리를 거부할 때 아버지/법은 제재를 가하게 되며, 이 때문에 아기는 ‘거세(castration)’ 공포를 느낀다. 그 공포를 극복하기 위해 아기는 상징계로 진입하게 되며 ‘자아의 이상(the ideal of me)’을 가지게 된다. 이것은 상상계에서의 ‘이상적 자아(the ideal I)’와 다른 것이다. 이상적 나는 상상계 속에서 행복을 느끼는 나이지만, 나의 이상은 상징계 속에서 타인의 눈길을 통해 형성되는 나의 모습인 것이다.

이 나의 이상을 가지게 되는 것은 곧 프로이트가 말한 ‘초자아(super-ego)’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비로소 주체가 성립한다. 그러나 이 주체는 상징계에 자리를 잡은 주체이지 상식적 의미에서의 주체가 아니다.

상징계로 진입하면서 언표하는 주체(말하는 주체)와 언표되는 주체(말의 주체) 사이에서 갈등이 발생한다. 자아가 억압되고 소외되기 때문이다. 이를 ‘원억압(原抑壓)’이라 부른다. 이것은 의식적 억압과 구분된다. 이러한 억압은 필연적으로 ‘욕구불만(frustration)’을 불러일으킨다(이 욕구불만도 의식 차원에서의 욕구불만과는 구분된다). 상징과 도덕이 욕구불만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불일치’라 하는 것이 나을 듯이 보이는) ‘부정(negation)’의 개념이 등장한다. 이렇게 도덕과 윤리는 균열·틈·입벌림으로부터 발생하는 것이다.

신경증과 정신병은 바로 이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때 성립한다. 즉 상징계에 대한 ‘거부’로부터 발생한다. 여성이 잘 걸리는 히스테리는 자신이 거세되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고 어머니의 사랑을 듬뿍 받지 못했다고 생각하는 데에서 발생한다. 남성에게서 잘 발견되는 강박증은 반대로 어머니의 사랑에 대한 지나친 기대 때문에, 즉 스스로를 계속 팔루스로 생각하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한다. 그러므로 이런 병들에 대한 치료는 기본적으로 상징계에로의 정상적인 진입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기표에 숨은 기의 그리고 ‘그것(Es)’


주체는 상징계에 들어감으로써 그리고 기표들의 장에 들어감으로써, 비로소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극복하게 되며, 하나의 ‘인간’이, ‘주체’가 된다. 물론 인간·주체라는 말이 풍기는 뉘앙스는 근대 주체철학의 그것과 정반대이지만. 요컨대 기표의 상징적 질서가 주체를 구성한다. 이것이 라캉의 기본적인 ‘구조주의적 사유 양식’이며 그를 레비-스트로스에 이어준다. 그러나 이 상징계의 구체적인 내용은 레비-스트로스와 현저하게 다르다.

인간은 언제나 타인이 욕망하는 것을 욕망한다. 타인이 자신에게 ‘똑똑한 사람’이기를 요구하면, 자신은 타인의 욕망하는 그것을 욕망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욕망이 지향하는 것은 곧 기표이다. ‘훌륭한 사람’이라는 기표가 지배하는 것이다. 그래서 같은 상징계, 같은 구조라 해도 레비-스트로스의 경우와 라캉의 경우는 현저히 다르다. 레비-스트로스의 구조가 욕망이라는 기름기가 제거된 수학적이고 명징한 구조라면, 라캉의 구조를 가득 채우고 있는 것은 욕망 이외의 것이 아니다. 라캉에 이르러 이제 욕망이란 특수한 의미, 부정적인 의미를 넘어 인간 존재의 근원적 본성으로, 세계의 성격 그 자체로 대두된다.

요컨대 의식으로부터 기의가 생기고 기의를 나타내기 위해 기표가 존재하는 것(현상학의 입장)이 아니다. 기표들의 장이 존재하고, 그 기표들의 장에 의해 주체―의식적 주체 이전에 무의식적 주체―가 구성되고, 그로부터 의식이 형성되는 것이다. 언어의 법칙이 먼저 존재하고 각 개인의 무의식이 그 언어법칙에 따라 작동하는 것이다.

무의식이 언어적 규칙성에 의해 지배된다고 했다. 그리고 그 언어적 규칙성은 기표와 기의의 일대일 대응이 무너진 상황에서의 규칙성이라 했다. 그렇다면 그 규칙성은 무엇일까?

한 가지 조심할 것은 기표가 떠다닌다고 말했다 해서, 기표와 기의 사이의 어떤 일정한 관계도 부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럴 경우 정신분석학을 ‘과학’으로 정립하려 한 라캉의 시도는 좌절될 것이다. 라캉은 구조주의자인 한에서 합리주의자이며, 따라서 구조를 좀더 역동적으로 파악하려 한 것이지 합리적 파악 자체를 거부한 것이 아니다. 그럴 경우 ‘구조’라는 말 자체가 무의미해질 것이다. ‘구조’라는 말을 쓰는 한 문자 그대로 어떤 구조를 드러내야 하는 것이다.

라캉에게서 기표와 기의는 일정 지점(‘누빔점’)에서 만난다. 그 지점을 잡아내는 것이 라캉 사유에서 합리주의적 측면이다. 그러나 기표는 궁극적 기의에 끝내 닻을 내리지 못한다. 영원히 알 수 없는 기의의 심연이 놓여 있는 것이다. 이 부분이 라캉이 합리주의에서의 한계를 긋는 부분이다.

라캉은 이 언어학적 구조들 중 가장 기본적인 것이 은유와 환유라고 생각한다. 은유는 압축이다. “불타다”와 “사랑하다”는 “뜨겁다”라는 공통 요소를 함께-중첩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압축(condensation)이다. 또한 은유는 치환을 특징으로 한다. “부자가 되다”가 ‘돼지’로 치환되는 것이다. 프로이트는 꿈이란 바로 이런 은유의 언어로 되어 있다고 했다. 은유는 동시성을 기반으로 한다. “불타다”와 “사랑하다” 그리고 “부자가 되다”와 ‘돼지’ 사이에는 어떤 시간적 선후도 없기 때문이다.

환유는 다르다. 환유는 이행이다. “잔을 들다”는 “술을 마시다”의 환유이다. “잔을 들다”와 “술을 마시다” 사이에는 이행/이동의 관계가 성립한다. 환유에서 두 항은 치환되기보다는 조합된다. 그리고 환유에는 시간적 요인이 개입한다. “잔을 들다”는 “술을 마시다”의 앞에 오며, 또 그래야만 환유로서 기능할 수 있는 것이다(참고로 제유는 부분으로서 전체를 나타내는 경우이다. 사각모는 대학을 나타낸다).

정신분석학자는 기표들(예컨대 환자의 말)을 분석함으로써(즉 그 언어적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기의들(그런 말들이 뜻하는 환자의 ‘인생’)을 밝혀내고자 한다. 그런데 기표들과 기의들의 관계가 매끈한 일대일 대응을 이루지 않기 때문에 여러 가지 난점들이 발생한다. 라캉은 모든 열쇠는 결국 기표들이 쥐고 있으며, 우리는 기표들의 무의식적 구조를 분석함으로써만 기의들에 접근할 수 있다고 말한다.

기의는 기표에 잡히지 않고 계속 미끄러진다. 물론 분석가는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면서 기의를 찾아낼 수밖에 없다. 분석가는 기표들이라는 낚시 바늘을 던져 기의들을 낚아낸다. 기표들과 기의들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그것이 성공한다. 그러나 기의는 끝내 그 온전한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칸트의 물자체처럼, 메이에르송의 ‘탈합리적인 것’처럼 저편에 머무른다. 이곳을 라캉은 ‘실재계’라고 한다. 그것은 언어에 완전히 포획되지 않는 세계 자체, 인생 자체일 것이다. 라캉의 사유는 상상계에서 출발해 상징계로 가지만 결국 실재계에서 끝난다. 아마 인생의 ‘의미’는 영원히 기호로 포착되지 않는 그 무엇인가 보다.


욕망과 운명


프로이트는 “그것이 있던 곳에서 나는 생성하리라(Wo es war, soll ich werden)”고 했다. 나의 생성을 좌우하는 것은 무의식이다. 그것도 어릴 때 형성된 무의식이다. “어린이는 어른의 아버지”(워즈워스)라는 말은 정신분석학에서 또 다른 뉘앙스를 획득한다.

그것은 나=자아에게 타자이다. 다른 것이다. 그러나 그 타자=다름은 나의 바깥이 아니라 내 안에 있다. 나는 내 안에 나의 타자=무의식을 가지고 있다. 이것이 정신분석학이 던져주는 가장 충격적인 메시지이다.

타자란 무엇인가? 타자는 언어, 기표의 장소, 상징계이다. 이 상징계는 어린아이가 상상계에서 그곳으로 옮겨갈 때 어린아이의 무의식에 자리 잡는다. 어린아이는 상상계의 달콤함과 환상을 포기하는 대신 상징계 안에서 ‘인간’으로서, ‘주체’로서 선다. 또 타자란 상호주체성의 장이다. 상호주체성은 개별적인 주체들 사이에서 추후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상호주체성의 장 내에서만 주체들은 주체들일 수가 있다. 상징계에 들어서는 동시에 개인들의 무의식에는 상호주체성이 각인된다.

헤겔에게서 한 인간의 주체성은 타자를 통해서만, ‘자아 속의 이상한 자아’로서의 타인을 통해서만 형성된다(인정투쟁). 라캉에서도 자아는 자신 속의 이상한 자신으로서의 타자=무의식을 통해서만 형성된다. 상징계는 팔루스이며 상징계를 채우고 있는 욕망은 팔루스에의 욕망이다. 팔루스는 욕망의 기표이다. 욕망은 팔루스라는 기표를 통해서 형성된다. 그런데 욕망(desire)은 욕구(need), 요구(demand)와 다르다. 욕구는 생리학적 필요이지만, 요구는 타인에 대한 간청이다. 어린 아기는 사탕을 욕구하지만 엄마의 사랑을 요구한다. 욕구는 사물들을 향하지만 요구는 사람들을 향한다.

이에 비해 욕망은 보다 근원적인 것이다. 욕망은 어떤 구체적인 맥락에서의 부재가 아니라 인간의 근원적인 결핍에서 온다. 결핍은 어린 아기가 어머니의 몸에서 분리되어 나올 때 이미 형성되는 인간의 원초적 조건이다. 인간은 그 최초의 사건을 기억하지 못하며 따라서 그 기억은 인간의 무의식 속에 자리 잡는다. 그 원초적 결핍으로부터 욕망이 나온다.

욕망의 근원적 기의는 무엇인가? 인간은 무엇을 욕망하는가? 이미 상징계로 들어선 인간은 타인의 욕망을 욕망한다. 그래서 욕망의 기표는 팔루스이다. 그러나 욕망 자체는 어디에서 오는가? 팔루스를 욕망하는 것은 주체가 되기 위한 것, ‘인간’이 되기 위한 것, 일종의 타협이다. 그렇지 않으면 어떤 형태로든 정신병을 앓기 때문에 거치는 통과의례이다. 그러나 도대체 욕망이 근원적으로 지향하는 곳은 어디인가? 실재계를 영원히 알 수 없듯이 이 또한 알 수 없다. 라캉은 이곳을 ‘신화의 세계’라 부른다. 인간은 어떤 쪼개짐으로써, 갈라짐으로써 인간이 된다. 로고스의 세계에 들어서는 것이 동시에 분열의 경험이라는 것이 인간의 얄궂은 상황이다. 따라서 욕망의 근원적 기의는 그 어떤 쪼개짐도, 갈라짐도 없는 그 어디일 것이다. 이런 욕망을 가지고서 살아가야 한다는 것, 그것이 라캉적인 의미에서의 ‘운명’이다.

라캉은 욕망과 욕구 사이에 ‘충동(pulsion)’을 넣는다. 충동은 한편으로 욕구와 유사하지만 어떤 형태로든 “성애적(性愛的)” 측면을 띤다는 점에서 욕구와는 다르다. 충동은 생리학의 영역에서 정신분석학의 영역으로 넘어가는 중간에 존재한다.

인간이 욕망의 존재인 한, 인간은 번뇌의 존재이다. 도덕이나 윤리는 상징계를 받아들임으로써 성립하며, 따라서 인간의 영원한 번뇌를 해결해 주지 못한다. 라캉에게 번뇌를 해결하는 길은 우리가 왜 그렇게 번뇌의 존재일 수밖에 없는지를 명확히 인식하는 것이다. 그때 비로소 우리는 삶의 번뇌의 실체를 알게 되며 그로부터의 공허한 몸부림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이 지점에서 라캉의 사유는 불교와 접맥된다.


라캉 사유의 의미


자크 라캉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받아들여 그것을 보다 넓은 지평에서 참신하게 재창조했다. 라캉이 프로이트와 구분되는 점은 프로이트와는 달리 극히 철학적인 성격의 담론을 전개했다는 점이다. 라캉을 통해서 정신분석학과 철학은 교차하게 되며, 그로써 주체·자기·욕망…을 비롯한 숱한 문제들이 새로운 지평에서 논의되게 되었다. 이 점에서 라캉이 현대 사상에 끼친 영향은 지대하다 하겠다.

라캉의 사유는 오늘날 슬라보예 지젝을 필두로 하는 ‘슬로베니아 학파’에 의해 계승되어 계속 확장되고 있다. 또 라캉의 사유는 문화예술 분야에 두드러진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현대 사상을 수놓고 있다.

Copyright 월간 넥스트 All right reserved. 2005년 07월

2007/04/07 11:00 2007/04/07 11:00
TAGS

[문화 프리즘] 한국문학에 나타난 동성애
병리성 혹은 낭만적 이상화의 클리세
김은하 _ 중앙대 강사 / 문예창작  

기괴한 남색가로든, 속 깊고 다정한 동성친구로든 간에 한국문학(문화)에 동성애자나 동성애가 등장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적어도 해방 이후부터 1990년대 이전까지 게이·레즈비언들은 문학 동네에서 유령으로도 떠돌지 못한 채 ‘부재’했다. 물론 그들은 드물게 서사의 장으로 불려나오기도 했지만, 늘 병리성의 상징이거나 인간의 추악한 심연의 대리표상이었을 뿐이다.

이상화된 동성애자와 가부장제의 회한


최근 영화 <왕의 남자>(이준익, 2005)나 <브로크백 마운틴 Brokeback Mountain>(이안, 2005)의 대중적 성공이 가히 ‘어메이징’한 변화로 여겨지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 영화들은 동성애자가 주인공이고 동성애가 소재였음에도 불구하고, ‘정상’ 가족과 이성애자를 불러 모으고 심지어 가슴 바닥에서부터 차오르는, 맑은 눈물을 흘리게 했다.

이는 분명 동성애를 ‘구역질나는 비역질’이나 유년기의 성적 트라우마와 연관짓던 관행, 즉 동성애자에 대한 이성애자의 폭력적인 상상력과는 다르다. 특히 이 영화의 주인공들은 부정적인 스테레오 타입을 벗어나는 정도가 아니라 이상적인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동성애에 대한 악의에 찬 재현과 구분되는 이상화된 이미지가 등장한 것이다.

두 작품은 잘 만들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다소 촌스러운 인상을 남기는데, 무엇보다 거기에는 낭만적 사랑의 신화가 훼손되지 않은 채 살아있기 때문이다. 이 작품의 게이 주인공들은 사랑을 위해 죽음을 불사하고, 연인의 죽음을 알아차리는 순간 자신도 이미 죽어버렸음을 감지한다. 우리 시대에 사랑의 탈낭만화가 가속화되고 있음을 고려해 본다면 관객들이 흘린 눈물은 되돌아갈 수 없는 시절에 대한 회한이자, 희미한 옛사랑에 대한 애도인지도 모른다.

그만큼 이 영화들은 게임으로서의 연애와 섹스가 넘쳐나는 시대의 얄팍한 표면을 비추고 과거로의 퇴행과 향수의 욕망을 자극한다. 물론 이 눈물은 들춰봐도 그러한 사랑의 기억을 찾을 수 없는 허전함일 수도 있다. 과거란 실상 적당히 조작된 것이고, 향수는 무지와 은폐에서 비롯되는 속성이 있지 않은가? 어쨌든, 이 작품들의 배경은 상당히 고전적인데, 그곳은 역사책 속의 한 페이지 같은 조선이거나, 로데오 경기가 펼쳐지고 굵다란 시가를 문 ‘싸나이’들이 있는 옛날의 서부다.

이렇듯 고전적 시대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숭고한 사랑은 남성성과 여성성의 경계를 뚜렷하게 부각시키며 이성애 제도를 재생산한다. <왕의 남자>의 공길은 예쁘고 감성적이며, 늘 위기에 처해 남성들의 구출 환타지를 완성시켜주는,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여성이다. 장생은 비록 천한 광대지만 강인한 육체와 지력 그리고 연인에 대한 순도 높은 열정을 갖춘 신사의 전형이다.

다른 한편으로 <브로크백 마운틴>은 남성들의, 여성적 문명 이전으로 돌아가고 싶은 소망을 보여준다. ‘조잘대는’ 아내들이 주도하는 부부 모임에서 남자들이 주고받는 거의 유일한 대화는 집을 벗어나 낚시를 가고 싶다는 것이다. 이 영화는 우회적으로 남성을 밥벌이꾼으로 추락시킨 산업화에 대한 염증, 양육을 비롯한 급증하는 가정적 의무, 남성의 공적 지위를 위협해오는 여성들의 약진 등 거세 위협에 직면한 현대 남성들의 고뇌와 공포를 표현한다.

이렇듯 이 두 편의 영화가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요인 중의 하나는 이성애적 제도에 대한 퀴어적 냉소의 참신함보다는 이성애 문화에 대한 향수와 여자들의 시대에 대한 환멸 때문은 아니었을까? 영화는 동성애자라는 미지의 캐릭터를 통해 남자다운 남자와 여자다운 여자가 있었던 과거에 대한 그리움 혹은 회한을 드러낸다.

이성애제도는 기괴한 드래그 퀸(drag queen:여성복장을 즐기는 남성)의 퀴어 공동체가 아니라 꽃보다 예쁘거나 터프한 게이의 절절한 사랑이야기를 통해 차이의 목소리가 드높아진 시대와 손해 보지 않을 타협을 했다. 그러한 타협과 양보(?)는 미덕인가? 동성애/동성애자를 이상화하는 것은 그것에 대한 사회적 억압을 은폐하는 일이다.

최근 영화나 소설은 동성 관계에 대한 낭만적 환타지를 엿보인다. 예를 들어 동성애 영화는 아니지만 자매애적 연대를 그리고 있는 <싱글즈>에서 돈 없고 혼기 찬 처녀들이 비록 고물차를 탔지만 전도양양한 왕자를 버리고 동성 친구를 선택하거나, 미혼모가 되기 결심하기까지의 과정은 조금도 지난하지 않다. 이들이 이성애 제도에도 흔들리지 않은 우정을 간직할 수 있었던 것은 겨우 서른이어서 그런 게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모든 것을 소비하는 후기 자본주의 사회에서 동성애 역시 스펙터클한 상품일 수 있다. 동성애 영화에 대한 열광이 반드시 성소수자로서의 이들의 인권에 대한 윤리적 의식을 고양시키거나, 가부장적 이성애 제도에 대한 반성으로 귀결되지는 않는 것이다.


거세공포의 문학과 ‘열정’의 시기 그리고 동성애


앞서도 말했지만, 해방 이후부터 1980년대까지의 소설에서 동성애자 찾기란 ‘윌리를 찾기’보다 훨씬 어려운 일이다(필자는 이른바 제도권 밖의 게이, 레즈비언 문학에 대한 별다른 정보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 이 글은 문학이라는 제도가 인준해 준 작품들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편협하다. 참고로, 동성애/동성애자가 언급되는 정도도 있지만 꽤 비중 있게 그려진 작품 중 필자가 이 글에서 거론하지 않은 작품을 밝혀둔다. <나는 너무 멀리왔을까>(강석경), <마짠 방향으로>(배수아), 《내가 사랑한 캔디》(백민석), 《그녀의 여자》(서영은), <송어와 은어>(송경아), 《꽃을 던지고 싶다》(이명랑), <남자의 기원>, <다섯 번째 질서와 여섯 번째 질서 사이에 세워진 목조마네킹 헥토르와 안드로마케>(전경린), <푸른 수염의 세 번째 아내>(하성란)).

한국 현대소설은 일제 식민지, 미군정기, 분단, 반(半)식민 근대화, 전체주의적 근대화를 겪으며 일정한 서사적 관습을 형성하는데, 이때 한국 소설이 발견해 낸 문제적 인물은 오욕에 찬 역사로 인해 주체성이 훼손당하고, 이를 복구하고자 하는 남자였다. 그는 어머니나 누이가 이국 병사에게 겁탈당한 기억 때문에 수치스러워 하거나, 미군의 원조 덕분에 이룩한 산업화의 부정성을 고뇌하며, 분단과 이후 전체주의적 근대화 과정에서 사상의 자유를 억눌린 남자였다. 그들은 한편으로는 개발과 독재의 정치와 격렬하게 투쟁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수치스러운 식민의 기억을 지워버릴 만한 민족 국가에 대한 국가의 열망을 내면화하며 가부장권을 강화하거나 좀더 남자다워져야 할 필요가 있는 남성들이었다. 

국가에 협력하든 저항하든 남성다움은 이들의 열망의 대상이었다. 한국 현대문학은 보수와 진보, 자유와 실천의 대립구도가 무색하리만큼 여성·섹슈얼리티·무의식·자연·사적 영역 등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한국문학은 이성애적 제도 위에 스스로를 구축했을 뿐만 아니라 그것을 재생산해 냈다. 특히 근대적 민족 국가 건설을 향한 집단적 소망은 섹슈얼리티를 엄격한 규제 대상으로 만들었다. 《별들의 고향》(최인호, 1972)의 문호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섹스와 소비를 상징하는 경아가 죽어야만 했다. 문호의 입사식(入社式)은 자신이 근대적 생산에 협력하지 않고 섹스에 탐닉했다는 반성과 함께 이루어진다.

또한 <壯士의 꿈>(황석영, 1974)에서 산업화와 욕망의 부정성을 상징하는 ‘따루마 감독’은 “알록달록한 홈스펀 저고리” “빨간 구두” “희고 보드라운 살결” 긴 머리의, “불알이 없는” 남자로 묘사된다. 이 작품은 도시(산업화)의 부정성을 거구의 장사인 일봉이 도시로 와 포르노 배우와 남창을 전전하다 급기야 성기능 상실자가 되는 과정을 통해 비판한다.

소설은 그가 귀향을 서두르면서 순간적으로 성적 기능을 회복하는 장면으로 마무리되는데, 이러한 성적 비유들은 한국현대문학의 근저에 거세 콤플렉스가 자리잡고 있음을 암시한다. 남성성은 이성애제도의 산물이자 그것을 보완하는 구실을 한다는 점에서 이 시기의 문학은 매우 가부장적이다. 이는 문학 작품 속의 여성의 주변화나 동성애자의 부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국문학이 다양한 차이들에 주목하지 못했다는 점은 여성 캐릭터는 ‘창녀’ 아니면 어머니 밖에 없고, 동성애자는 전무한 데서 증명된다. 

그러나 한국문학사에는 동성애자가 반드시 병리성의 징후이지 않은 때도 있었다. 이광수의 초기 소설 <윤광호>(《춘추》 1918년 4월)는 동경 K대학 경제과 학생인 윤광호가 동성의 P에게 사랑을 고백하지만 거부당하고 자살하는 스토리를 담고 있다. 또한 한국 최초의 근대적 장편 소설인 《무정》(이광수, 1917년)에는 기생 영채와 그녀가 형님처럼 따르는 명기 월화가 육욕에만 눈 먼 호색한들에 대한 혐오와 원치 않는 삶을 사는 데서 오는 슬픔으로 서로를 끌어안는 장면이 버젓이 등장한다.

이들의 성애는 암시적이기보다는 제법 노골적이다. 그러나 서술자는 윤광호나, 스스럼없이 서로의 육체를 어루만지는 여성들을 향해 비난의 시선을 던지지 않는다. 이들이 눈 뜬 관능은 오히려 사람다운 자각으로 조명된다. 사춘기에 접어든 윤광호가 어느 날 발견한 것은 자기 속의 “크고 깊은 공동(空洞)”(289면)으로 비유된 깊은 고독과 그것이 불러일으키는 열정으로서의 사랑이다. 열정을 가진 개인의 발견은 근대의 부르주아지가 형식과 의무에 매인 삶을 산 봉건적 세대와 스스로를 구별 짓는 지점이었다.

최정희의 《녹색의 문》은 비록 발간된 시기는 1953년이지만, 식민지 근대화기를 소설의 배경으로 취하고 있는데, 이 작품에서도 여성 간의 제법 진한 성애 장면이 등장한다.  개인의 열정은 공적이거나 이타적인 욕망으로 전환되지 못해 비판받기는 해도, 소설 속 인물들은 이성이 아닌 동성을 사랑했다고 반성하지는 않는다.

언론은 1931년 명문가의 딸인 홍과 부호의 며느리인 김이 동반 철도자살을 하자 이를 “과도기에 처해 잇는 조선 여성 중의 애매한 타입을 가지고 엄벙하니 떠도는 여성 중의 한 사람의 파국”이라고 해석한다. 이는 기혼녀인 김의 자살이 부모에 의한 강제 결혼 생활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한 것이다. 백면아의 이 글은 이들의 죽음에서 봉건적 조선의 폐해를 통찰해내지만, 두 사람의 관계를 동성애 관계로 적극적으로 읽어내지 않는다. 이는 동성애를 이성애제도에 대한 갈등과 전복으로 해석하지 않고 있음을 의미한다.

당시는 식민지 시기 최초로 근대적 여학교가 세워지고 여학생들이 가족을 벗어나 동성과의 관계라는 최초의 사교관계를 경험하면서 여학생 동성애가 문젯거리로 등장하던 시기였다. 그러나 당대의 담론들은 여성 동성 관계가 여성들의 이성애적 탈선을 막아줄 것이며, 얼마 되지 않아 없어질 일시적 풍조라고 해석한다. 동성애에 대한 관대한 시선은 이성애 제도가 그만큼 강고했음을 의미한다. 어쨌든 저 혼란스럽고 전복적이며 열정적인 시대를 거쳐 해방과 전쟁으로 이어지는 역사적 과정 속에서 동성애자는 실종되어 버린다. 식민지 근대화를 주도한, 스스로를 봉건적 아비와 구별 짓고자 한 오빠의 시대가 가고, 국가 재건과 근대화라는 총력전에 앞장 선 아버지들의 시대가 온 것이다. 오빠와 아버지의 거리가 그리 먼 것은 아니지만 말이다.


페미니즘의 레즈비어니즘 끌어안기


동성애가 문학 작품을 통해 적극적으로 수용되기 시작한 것은 1990년 이후 여성 작가들에 의해서였다. 90년대 문학은 문학사의 연속성이라는 측면에 주목해 볼 때 매우 이질적인 시대라 할 만하다. 이 시기의 문학의 주류를 형성한 이들은 30대의 여성 작가였고, 성·사랑·가족은 이들의 주된 서사의 장이었다.

이는 이전 시기 문학을 주도한 남성 작가들이 주목해 온 전쟁·분단·노동·이념·변혁·산업화·전통 붕괴·농촌 해체 등과 같은 비교적 큰 이야기와는 다른 것이었다. 여성 작가들은 동성애/동성애자라는 제재를 전략적으로 활용해 가부장제의 억압성을 환기하거나 그것에 대한 반격을 시도했다.

페미니스트 문학은 가부장제에 의해 훼손된 여여 관계를 회복함으로써 여성적 주체성을 되찾기 위한 시도로서 레즈비어니즘을 수용했다. 가부장제 사회 속에서 여성의 존재는 남성과의 관계를 통해 결정된다. 이를 테면 여성들은 거주, 가사, 경제적 조건, 사회적 지위 등의 장치를 통해 아버지나 남편과 유착 관계를 맺고 모든 정치적·사회적·경제적 지위를 구비한 남성들로부터 물질적 보호를 받기 위해 그 남성과의 관계 속에서 타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창조성의 상실은 여성되기의 절차이며 무력함은 여성적 미덕으로 미화된다. ‘아버지의 법’을 수행하는 정상적인 여성이 되는 과정에서 여성들은 연대와 상호이해보다는 서로에 대한 적대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그녀들은 아버지의 사랑을 차지하기 위해 경쟁하는 자매이다. 또한 서로 한 몸으로 살았던 시절을 잊고 서로를 수치스러워 하며 유기하는 어머니와 딸이다. 

레즈비어니즘은 단지 동성 간의 육체의 교류가 아닌 서로를 동반자로 받아들임으로써 남성의 피보호자-타자라는 여성의 무력한 위치를 벗어나는 계기로 조명된다. <하나코는 없다>(최윤, 1994년)는 삶의 심연 앞에 직면한 남성들이 어떻게 여성을 타자화함으로써 그 위기를 피해 가는지 보여준다. 이니셜로 표기된 동창생들은 자신들의 이너서클이 지루해졌을 때, 사귀던 여자와의 심리전에 지쳤을 때, 삶의 무의미성에 직면 할 때 ‘하나코’를 불러낸다.

그들 각자는 그녀에게 구애의 편지를 보내기도 하고, 은밀한 비밀을 털어놓기도 하지만 서클의 결속을 해치지 않기 위해서 그녀를 각각 한 발짝만큼의 거리를 둔 채 공유한다. 그들은 동창이면서 동시에 사업적 파트너이기도 하다. 하나코는 지나치게 똑똑하지 않으면서도 지혜롭고, 대단한 미인은 아니지만 매력이 있으며, 친구이면서 연인 같아서 곁에 두는 것만으로도 기분 전환이 되는, 남자에게 아무 것도 청구할 권리가 없는 첩이다. 하나코라는 별칭은 남성중심 사회에서 훼손되는 여성의 주체성을 암시한다. 소설은 오랜 시간이 지난 후 디자이너로 성공한 하나코의 곁에 사업적 파트너이자 동반자인 동성 친구가 있음을 밝힘으로써 레즈비어니즘을 페미니즘과 결합시킨다.    

이렇듯 <하나코는 없다>가 레즈비어니즘을 여성 간의 육체적 접촉으로만 규정하는 포르노적 시선을 차단하며 여성들을 서로의 감정과 내면생활을 공유하는 동반자로 제시하는 데 비해 근친상간 못지않은 금기인 동성의 육체를 끌어안는 위반을 범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여성들의 에로틱한 성적 행위는 모성의 몸으로 규정당하면서 억눌린 여성의 성적 욕망을 되찾고 거울과 저울 사이에서 사물화된 여성의 몸을 자유롭게 하는 제의가 된다.

<밤의 수영장>(강영숙, 2002년)에서 한때 수영선수였던 여자는 지금은 비대한 육체를 향한 타인의 경멸적 시선 탓에 손님이 빠져 나간 수영장에서 코르셋에 갇힌 몸을 풀어놓는 수영장 직원이다. 여자는 자신과 마찬가지로 한때는 인어같이 날렵했지만 지금은 빈곤과 양육 노동에 짓눌린 뚱뚱한 여자를 만나 서로의 육체를 끌어안음으로써 “오랜 세월 짓눌린 살들”을 물 밖의 세상에 부드럽게 풀어놓는다.

<세번째 유방>(천운영, 2004년)은 세 번째 유방을 가진 여성들의 동성애를 통해 여성의 몸의 주권을 탈환하려는 판타스틱한 상상력을 펼쳐 보인다. 여성의 유방은 아기·연인·법원·의학·포르노 작가·예술가·정신분석학자들에 의해 그 의미가 확정되어왔다. 그것은 아기에게 생명을 주는 좋은 것으로 칭송받는 동시에 유혹의 미끼로 비난받는다. 남성 사회가 소유할 수 없는 여성의 주체성을 상징하는 세 번째 유방과 서로의 육체를 매개로 자신의 육체를 나르시스틱하게 향유하는 여성동성애자들의 섹슈얼리티는 여자의 유방을 소유함으로써 수컷다움을 회복하려는 남성의 기획에 부딪힌다. 비록 여자는 남자의 칼에 찔려 죽지만, 남성이 끝내 차지하지 못한 세 번째 유방과 여성동성애는 남성지배가 관철되는 몸을 여성주체성을 재구축하는 장소로 재전유한다.

<무궁화>(정이현, 2003년) 역시 여성의 성기와, 국가를 상징하는 무궁화를 병치시킴으로써 개인의 사생활을 감시하고 특히 동성애/레즈비언의 서로를 향한 욕망을 질시함으로써 처벌해온 가부장적 국가에 대한 반격을 시도한다. 주인공은 기혼녀인 연인이 끝내 사회적 시선의 폭력이 두려워 떠나버리자 동성의 사랑을 허용하지 않는 세상을 향한 도발을 감행하듯 자신의 성기를 카메라 렌즈에 담아 사랑하는 너의 사진 옆에 붙여둔다.   


지배적 관습에 대한 반란


페미니스트 작가에 의해 의도적으로 차용된 레즈비어니즘은 “정치적으로 올바른” 데 비해 스토리의 작위성과 관념성이 두드러지기도 한다. <플라스틱 섹스>, <여자가 여자일 때-플라스틱 섹스 Ⅱ>, <어두운 열정―플라스틱 섹스 Ⅲ>(이남희, 1997년)는 성·사랑·가족 등 미시적 영역의 변화를 발빠르게 읽어내면서 새로운 시대의 전망을 찾으려는 열망이 진지하게 드러난 작품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이 작품은 페미니스트의 계몽적 의도가 앞설 때 그것이 역설적으로 레즈비어니즘을 신비화하는 우를 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소설의 줄거리는 초록이 자신들의 사랑을 부인하는 은명에게 분노해 그녀의 소설이 담긴 노트북을 가지고 달아나자, 은명이 초록이를 찾아다니면서 자신의 몸과 정신의 괴리를 엿보고, 이를 화해시키려는 관념적 사색으로 채워져 있다. 사실 이 작품은, 몸은 이미 개종되었지만 머리가 몸의 해방을 가로막는 족쇄이기는커녕, 머리는 이미 레즈비언 페미니즘을 정치적으로 올바른 대안으로 선택했으나 몸이 따라주지 않는 80년 세대의 자화상을 보여준다. 은명의, 신세대 언더그라운드 문화와 90년 이후 성정치 운동의 포문을 연 신세대 레즈비언을 향한 호기심과 이에 대한 지적 성찰은 전망이 사라진 시대 앞에 선 80년 세대의 절망과 고뇌를 보여주기에 충분하다.

문제는 성급하게 레즈비어니즘이 대안으로 호출되면서 페미니스트의 마술지팡이로 수단화된다는 것이다. 이십대의 레즈인 초록이는 은명의 젊음에 대한 선망과 뒤섞여 지독히 매력적이고 개성적인 인물로 진술된다. 그러나 그녀를 사랑한 여성들의 애절한 회고에도 불구하고  독자 스스로가 그것을 판단하고 동의할만한 객관적 근거는 허약하기만 하다. 집 나와 뚜렷한 직업 없이 세상을 떠도는 어린 레즈비언이 자유롭다고 할 수 있을까? 그녀는 조금만 더 나이 들면 쓸쓸히 동사할 수 있다는 공포로 영혼을 잠식당할지도 모른다. 동성애자를 질시하는 것만큼이나 대안적 삶을 요구하는 것 역시 혹독한 강요일 수 있다.

위에서 거론한 <무궁화> <밤의 수영장> <세번째 유방> 역시 작위성을 면하지 못한 측면도 있다. 선명히 드러나는 이론적 구도, 다소 생뚱맞거나 뻔한 결말, 정치적으로는 올바르지만 정서적 울림을 주지 못하는 등의 한계가 엿보이는 것이다. 동성애자의 경험과 감수성을 의도적으로 내세운다고 해서 이성애 제도에 기반한 관습적 상상력에 균열이 일어나리라고 보장할 수도 없다. 본격적인 동성애 소설이 더 짙은 작위성의 함정에 빠질 수도 있는 것이다.

비록 성소수자나 페미니스트로서의 자의식은 덜 두드러진다 할지라도, 이성애 제도의 관습적 상상력과 충돌하는 동성애/동성애자 캐릭터나 그들의 경험은 남성성/여성성의 젠더 도식에 혼선을 가져와 가부장 제도를 잠식할 수 있다.

오정희의 <완구점 여인>(1968년)은 소녀가, 휠체어 여인과의 동성애적 관계를 통해 성에 대한 관능과 혐오, 죽은 동생에 대한 죄책감과 그리움, 깨어진 가족을 대한 애절한 상실감을 경험하며 세계와 존재에 대해 어렴풋이 자각해 내는 과정을 담아낸다. 도벽에 시달리고 청결한 학교 복도에 뻣뻣이 선 채 오줌을 누고 싶은 충동에 시달리는 소녀의 성장 담화는 관습적인 소녀의 성장담과 충돌하며, 여성되기의 통과의례를 겪는 사춘기 소녀의 지난한 성장통을 여실히 보여준다.

소녀의 계모에 대한 혐오의 시선이 연민의 감정과 복잡하게 뒤섞이는 과정은 여성의 정체성이 모성으로만 규정될 수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走者>(주자, 1969년)는 비록 성소수자로서의 확고한 정체성과는 거리가 먼 작품이지만 동성 연인의 자살에 대한 죄책감에 시달리는 한편으로 자신의 게이 정체성을 부인하는 남성의 갈등을 통해 역설적으로 성소수자들의 허약한 관계와 불안한 내면을 여실히 드러낸다. 인간 주체를 섹슈얼리티를 통해 낙인 찍고 인격화하는 이성애제도로부터 탈주하듯 질주하는 남자에게서 사회적 타자들이 겪는 소외와 억압을 읽을 수 있다.

<절규>(윤이형,문학사상 4월호) 역시 가족과 세상이 받아들여주지 않는 사랑을 하는 레즈비언과 가부장적 아버지와 가족으로부터 상처 입은 이성애자 여성의 소외를 절규의 모티프 위에 겹쳐 놓음으로써 사회적 타자들의 연대와 공감의 상상력을 확대해 나간다. 이는 동성애 모티프가 이성애 문화에 기반한 한국문학의 외연을 확장하고 내연을 새롭게 하는 해체의 일환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성애, 이성관계에 대해 이미 쓰라린 실망을 맛 본 우리 시대는 동성애나 동성 관계에 대한 판타지를 부여함으로써 또 다시 그들을 타자화하는 딜레마에 빠져있다. 이렇듯 우리 시대에 동성애가 소환되는 방식은 실상 그다지 새로운 것도 아니다. 과도한 단순화일 수 있지만, 한때 정치적 세대들은 역사와 자기 세대들에 대한 환멸을 페미니즘이나 에콜로지 같은 새로운 요술램프에 기대어 극복하고자 했다. 문제는 전망에 대한 강박적이거나 야단스러운 기대는 결국 조만간에 또 다른 환멸과 혐오로 화할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것이다. 한국문학의 관습이 동성애라는 하위담론과 만나 어떻게 소통하고 변신을 모색할 지를 신중하게 지켜 볼 일이다.


Copyright 월간 넥스트 All right reserved. 2006년 06월

2007/04/07 10:56 2007/04/07 10:56
TAGS

[21세기 새로운 이론과 사상]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정신분석 이론
분리의 경계선 가로지르는 어머니 몸
박주영 _ 순천향대 교수 / 영문학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는 현대 사상과 이론을 매우 다양하게 섭렵하여 자신의 정신분석 이론을 전개한다. 크리스테바는 헤겔과 마르크스의 이론, 러시아 형식주의와 바흐친의 대화 이론을 심도 있게 연구했으며, 롤랑 바르트(구조주의)·루시앙 골드만(문학이론)·레비-스트로스(사회 문화 인류학)·자크 라캉(정신분석 이론)의 영향을 받았다. 다양한 사상적 영향 속에서 크리스테바의 정신분석 이론이 갖는 특징은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조명될 수 있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프로이트와 라캉의 이론이 가부장적인 관점에 토대를 두고 있다면, 크리스테바의 이론은 정신분석의 기본틀을 수용하면서 모성의 의미와 중요성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아버지 대 어머니


프로이트와 라캉의 정신분석 이론은 전(前)오이디푸스적 어머니와 가부장적 상징계의 아버지, 그리고 아이가 이루는 삼각구조를 토대로 한다. 전통적인 정신분석 담론이 그려내는 아버지는 엄격한 이미지를 지니며 법의 세계를 상징하고, 상대적으로 어머니는 수동적이고 침묵하는 이미지 안에서 몸을 표상한다.

프로이트와 라캉에 따르면 전오이디프스적 어머니는 주체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반드시 분리해야 하는 존재이며, 아이는 전오이디프스적 어머니와의 분리 이후 아버지의 상징질서에 진입하여 주체가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프로이트는 문명을 공격적인 욕구충동(drive)의 억압으로 규정하는데, 이때 욕구충동이란 아이가 어머니의 몸과 맺은 전오이디푸스적 관계에 내재하는 본능적인 충동을 의미한다. 아이가 문명화되는 과정은 초자아를 형성하여 사회적 주체가 되는 것으로, 이때 어머니의 몸에서 분리되어야 하는 것은 필연적이다. 프로이트의 관점에서 볼 때 아이는 아버지의 중재를 통해서만 어머니의 몸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날 수 있다. 상징적인 법을 대변하는 아버지는 아이가 어머니와 분리되지 않는다면 거세하겠다는 위협을 가한다. 남아는 이러한 위협을 심각하게 받아들여 어머니와의 최초의 동일시를 포기하고 어머니에 대한 욕망을 억압한다.

한편 여아는 이미 거세되었기 때문에 아버지의 거세 위협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고, 이는 여아가 남아와 달리 초자아를 충분히 발달시킬 수 없음을 의미한다. 여아는 페니스를 소유하지 않은 어머니에 대한 분노와 페니스를 소유한 아버지에 대한 선망을 통해서 주체성을 획득하고자 하지만, 여성은 아버지의 거세 위협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온전한 의미에서의 주체성을 획득할 수 없다는 것이 프로이트의 성차에 따른 주체에 관한 기본적인 해석이다.

프로이트가 생물학적 차이에 기초하여 성차에 따른 주체를 해석하는 반면, 라캉은 생물학적 차이를 강조하지 않는다. 하지만 라캉 역시 주체가 상징질서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어머니와 분리되어야 한다는 점에 초점을 둔다. 라캉은 어머니를 생물학적 욕구(need)의 영역에 한정시켜 놓고, 아이가 언어영역에 들어가기 위해서 거부되어야 하는 존재로 어머니를 설정한다.

라캉에 따르면 아이에게 어머니는 본질적으로 자신의 욕구를 만족시켜 주는 존재이다. 그러나 점차로 아이가 욕구를 채우지 못하고 결핍(lack)을 경험하게 될 때 어머니의 존재는 명확해진다. 거세(결핍)의 위협―라캉은 프로이트의 거세의 위협을 욕구충족의 결핍으로 전환시켜 설명한다―속에서 아이는 결핍을 요구(demand), 즉 언어로 대체한다.

궁극적으로 아이의 욕구는 요구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충족되어야 함을 의미하기 때문에, 욕구에 언어가 개입하게 됨에 따라 ‘욕구’와 ‘욕구를 표현하는 요구’ 사이에는 간극이 발생한다. 따라서 언어의 획득과 함께 아이는 더 이상 자신이 원하는 욕구를 충족할 수 없다. 욕구와 요구 사이의 이러한 괴리를 라캉은 ‘욕망’(desire)이라고 명명한다. 욕망은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것이다. 아이는 아버지의 위협과 금지를 통해 결코 충족될 수 없는 욕망의 세계로 들어선다. 어머니의 몸은 아이에게서 멀어져 심연으로 떨어지고 그 자리에 아버지의 법이 지배하는 상징계가 들어선다. 아이가 언어를 획득한다는 것은 어머니의 몸과 분리된다는 것을 뜻한다.

크리스테바의 정신분석 이론은 침묵하는 어머니를 복원하여 모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크리스테바의 주된 관심은 프로이트와 라캉이 간과한 어머니의 위상과 의미, 다시 말해 주체가 상징질서에 진입하기 이전의 어머니의 몸과 이후의 어머니의 몸에 관한 논의에 놓여 있다.

프로이트와 라캉의 이론에서 어머니의 몸은 주체가 분리를 체험하는 근원적인 공간이다. 하지만 크리스테바가 역설하는 전오이디푸스적 어머니의 몸은 상징계에 진입한 후 사라지거나 상징계 밖에 존재하는 몸이 아니다. 전오이디푸스적 어머니의 몸은 주체와 분리된 후에도 주체의 무의식 속에 흔적으로 남아, 상징계 질서가 수립한 ‘분리의 경계선’에 침범하여 그 선을 순간적으로 와해시키는 전복적인 힘으로 남아 있다. 다시 말해 크리스테바의 이론에서 어머니의 몸은 전오이디푸스적 영역에 한정되어 있지 않고 상징계의 경계를 가로지르며 상징질서를 위협하는 공포의 힘으로 존재한다. 


‘입과 항문과 성기’를 넘어서기


《공포의 힘들 : 애브젝션에 관한 에세이》에서 크리스테바는 억압된 어머니의 몸이 결코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채 주체가 상징계에 진입한 후에도 상징계를 분열시키는 파괴적인 힘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예리하게 지적한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크리스테바는 ‘애브젝트’(abject)와 ‘애브젝션’(abjection)이라는 흥미로운 개념을 통해 적합한 주체와 주체성이 형성되기 위해 어떻게 부적합하고 더럽고 무질서한 것들이 배제되어 왔는가를 분석한다.

애브젝트가 더럽고 천하며 역겨운 대상을 의미한다면, 애브젝션은 애브젝트에 대한 주체의 반응을 의미한다. 보통 우리가 역겹다고 생각하는 것으로는 오줌·똥·토사물·침·신체의 털 등이 있다. 이러한 것들은 우리가 청결하다고 생각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고, 보거나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얼굴을 찡그리고 눈살을 찌푸리거나 토할 것 같은 메스꺼운 느낌을 주는 대상들이다. 애브젝트가 더럽고 역겨운 대상이라면, 애브젝션은 주체가 그 대상에 대해 갖는 육체적이면서 상징적인 어떤 느낌이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빈번히 애브젝션을 경험한다. 예를 들어, 식사 중에 누군가 배설물에 관한 이야기를 하면 갑자기 식욕이 저하되면서 구토증상과 함께 비위가 상하는 경우가 좋은 예이다.

그렇다면 애브젝트와 대면한 주체가 애브젝션을 체험하면서 애브젝트에 저항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더러움과 청결함의 구분은 문명형성의 기본틀로서, 프로이트는 《토템과 터부》에서 문명은 불순한 근친상간적 요소들을 추방(expulsion)하는 것에 기초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따라서 문명화과정에서 배제된 애브젝트는 원초적 억압의 대상을 상징하며, 따라서 원시와 문명의 경계를 표상한다. 프로이트가 가부장적 상징질서에 주체가 진입하는 것을 문명화과정으로 설명한다면, 라캉은 주체의 상징질서에로의 진입과정을 언어획득과정으로 설명한다. 라캉에 따르면 주체가 아버지의 법(역할)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하고 전오이디푸스적 어머니와의 관계에만 머무른다면 심리적·언어적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프로이트와 라캉 이론의 공통점은 분리의 논리에 입각하여 원시와 문명 또는 어머니의 몸과 아버지의 법에 대한 분명한 경계설정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크리스테바는 명확한 경계를 설정한다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역설한다. 왜냐하면 억압되고 경계에서 제외된 ‘애브젝트’는 결코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고 무의식 속에 계속 남아 있으면서 끊임없이 주체를 위협하며 체제와 정체성을 어지럽히는 전복적인 요소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상징질서가 요구하는 주체와 대상 간의 명확한 경계가 애브젝션에 의해서 흐려지고 모호해지는 것이다. 경계가 흐려진다는 것은 분리를 갈망하지만 동시에 분리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애브젝션을 유발하는 애브젝트는 단순히 청결함이 결여된 것이 아니라 정체성·체제·질서를 어지럽히는 요소를 의미한다. 왜냐하면 애브젝트는 그 자체가 애매모호하고 간극에 위치한 경계나 영역을 인정하지 않는 복합적인 혼합물이기 때문이다. 애브젝트는 상징계에서 요구하는 적합한 것과 부적합한 것, 질서와 무질서, 청결한 것과 불결한 것의 명확한 구분과 구별이 불가능함을 보여준다.

애브젝트는 애매모호하고 안과 밖의 구별이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쉽게 분류될 수 없다. 예를 들어 우유의 표면에 생성된 얇은 막, 삶을 감염시키는 죽음을 상징하는 시체, 자생적으로 생겨나며 다른 생명체를 흡수해 버리는 감염과 오염 등은 안과 밖이 구별되지 않는 애브젝트의 좋은 예이다. 이 밖에 썩은 고기, 추방되어야 하는 금기나 부정물(不淨物), 법을 위반하는 범죄, 기독교에서 죄라고 부르는 도덕적 위반행위도 애브젝트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애브젝트는 도덕과 윤리의 확고부동함을 뒤흔들고 적합한 것과 부적합한 것의 경계를 허물며 혼돈을 자아내는, 애매모호한 대상 아닌 대상을 암시한다. 또한 애브젝트는 특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경계에 대한 관계를 뜻하며, 경계 또는 주변부에서 제외되어 ‘내던져진 대상’(jettisoned object)을 뜻한다. 하지만 내던져진 상태에서도 애브젝트는 상징질서를, 즉 주체와 사회의 정체성을 위협할 수 있으며, 이미 수립된 경계에도 의문을 제기한다.

이런 점에서 애브젝션은 억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배제이자 추방을 뜻한다. 애브젝션이 ‘추방하는 것’ 또는 ‘배제함’과 연관이 있다는 것은 자연을 상징하는 육체의 영역과 당혹·수치·죄책감·욕구 등이 작용하는 사회적·상징적 영역 간의 대립구도를 암시한다. 보편적으로 역겨움에서 나오는 구역질·토사·경련·질식 등은 이성적 사고가 수용할 수 없는 육체적 과정과 영역을 보여준다. 부패한 음식물이나 더러움·찌꺼기·오물에 대한 혐오감이 생길 때 주체가 경험하는 근육의 경련이나 구토증상은 오물이나 시궁창 같은 더러운 것들을 멀리하고 피해갈 수 있게 만드는 일종의 보호막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애브젝션은 사회의 규범과 규율에 따라 단일화되고 통제되는 몸의 영역과 감각들을 가로지르는 부산물이다. 애브젝션이 몸 전체를 ‘가로지르는’ 효과를 갖고 있다는 것은 경계를 설정하기 모호하고 경계를 흐린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애브젝션은 심리적이면서 생리적인 것으로, 그 안과 밖을 구별하기 어려운 흡수와 배설의 순환구조에 토대를 둔 아이의 구조화된 육체적 경계이다. 흡수되고 배설된 대상―음식물·오줌·똥·토사물·눈물·침―은 나중에 성감대(입·항문·눈·귀·생식기)로 전화되는 다양한 육체의 영역과 관련을 맺는다.

크리스테바는 애브젝션을 세 가지 형태로 분류한다. 음식물과 관계 있는 구강, 배설물과 연관되는 항문, 그리고 성차(性差)와 관계가 있으며 성욕을 의미하는 생식기가 그것이다. 구강 혐오감은 애브젝션의 가장 고전적인 형태라 할 수 있다. 이는 음식물에 대한 혐오감과 관계가 있는데, 우유 표면에 생긴 얇은 막에 대한 역겨움은 구강 혐오감의 좋은 예이다.


부정(不淨)한 어머니의 몸


크리스테바는 오염된 것과 성스러운 것 사이의 경계형성과 구별짓기를 파악하기 위해서 성서 ‘레위기’에서 묘사하는 혐오감의 논리에 주목한다. 이것은 메리 더글라스(Mary Douglas)가 《순수와 위험》에서 이미 지적한 바 있는데, 크리스테바는 더글라스의 인류학적 고찰을 토대로 구강과 항문 애브젝션이 더러운 음식, 부정한 것에 대한 사회적 금기와 관계 있음을 밝힌다.

더글라스는 ‘레위기’에서 다양한 음식에 연관된 혐오감과 금기는 명백히 분류할 수 없는 동물들에 대한 금지에 기초한다고 설명한다. ‘고유하고 적절한’ 환경에서 자란 동물들만이 깨끗한 음식으로 분류되어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날아다니는 새, 아가미와 비늘이 있는 물고기, 네 다리로 걷고, 새김질하고, 굽이 두 쪽으로 갈라진 동물들은 ‘깨끗한’ 것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다른 동물 서식처의 경계를 넘나드는 동물들과 이동의 형태가 다양한 동물들은 섭취해서는 안 되는 ‘불결한’ 것으로 분류된다. 이를테면 뱀은 땅이나 물속에서 미끄러지듯 기어다니기 때문에 깨끗한 것으로 분류될 수 없다. ‘깨끗한’ 것은 논리적 질서 또는 분류의 기준에 부합하는 것이고, ‘불결한’ 것은 질서를 벗어나는 것, 혼합과 무질서에 연결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불결한 것과 깨끗한 것의 분류가 문화에 따라 서로 다르게 정의되기는 하지만, 먹을 수 있는 것과 먹어서는 안 되는 것의 구분은 비교적 보편적으로 나타난다.

더글라스는 육체의 주변부에 내재하는 위험이 각 문화마다 상대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육체의 주변부는 모든 문화에서 체계의 외연(外緣)을 이루는 경계로 작용되어 왔다고 지적한다. 크리스테바는 이러한 더글라스의 고찰이 ‘개인의 통합’과 ‘분리’의 구조로 ‘레위기’에 묘사된 혐오감의 논리를 제대로 파악하고 있다고 본다.

크리스테바는 특히 경계를 가로지르는 동물을 불순하게 여긴다는 사실이, 경계의 침범에 대한 사회적 공포를 반영함과 동시에 그에 대한 심리적 불안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즉 배설물에 관련된 개인적인 혐오감과 사회적 금기들은 경계와 영역을 가로지르는 것에 대한 심리적·사회적 공포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똥·침·정액 등 몸에 흐르는 유동체이자 배설물은 유한성에 대한 주체의 공포감을 일으키는 육체적 부산물의 좋은 예이다. 왜냐하면 자신의 몸이 물질적인 유기체임을 인정하기 어려운 주체에게 자신이 물질로부터 나왔다는 사실은 죽음의 필연성을 상기시키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똥은 몸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경계를 만들면서 줄곧 불결한 것과 깨끗한 것의 대립을 나타낸다. 몸의 내부에 있을 때는 존재의 조건이지만, 일단 외부로 배설되면 불결한 것과 오물을 상징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 각각의 주체는 배설물의 상징 속에 함축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배설물은 단지 주체 외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완전하게 외적인 것으로 치부될 수 없다. 피고름으로 엉겨 붙은 상처, 땀이나 썩은 것에서 풍기는 달콤하고도 자극적인 부패의 냄새들이 곧바로 죽음을 의미하지는 않지만, 이러한 고름과 오물과 배설물들은 주체가 힘겹게 죽음을 떠받치고 삶을 유지해 나가도록 하는 삶의 조건을 함축적으로 보여준다. 그러므로 몸을 가로지르는 오물과 배설물은 주체의 삶의 조건이기도 한 경계를 표상한다. 삶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생산되는 배설물들은 더 이상 아무것도 남지 않을 때까지, 주체의 몸이 경계 저 너머로 완전히 나가떨어져 시체가 될 때가지 배출되는 것이다.

크리스테바는 배설물에 대한 애브젝션의 극단적인 형태로서 죽은 시체를 직면하는 것을 좋은 예로 든다. 시체는 주체의 필연적인 미래를 가장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삶과 죽음 사이의 경계를 나타내면서 죽음의 영역을 삶의 중심으로 옮겨놓기 때문에 시체는 참을 수 없는 것이다.

크리스테바는 시체가 자아를 외부로부터 위협한다면, 여성의 생리혈은 자아를 내부에서 공격한다고 밝힌다. 생리혈은 사회적 금기의 결과 개인적 공포의 대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본질적인 애브젝트이다. 여기서 크리스테바는 더글라스와 같은 인류학자들의 사회·문화적 고찰을 정신분석 관점에서 해석하여 모성의 위상에 대한 논의로 발전시킨다. 말하자면 생리혈은 여성과 남성 간의 구별이 아니라 남성과 어머니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강조하는 것이다. 생리혈은 생명의 요소를 지닌 것으로 여성에게는 다산성과 풍요로움을 상징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 어휘는 현실에서 이러한 생산적이고 매혹적인 측면보다는 심리적 공포를 조장하는 혐오감을 지닌 것으로 더 부각되는 경향이 있다.

생리혈에 대한 공포는 어머니와 태아의 연결, 즉 각각의 존재로 분리되지 않고 그렇다고 동일하지도 않은 두 존재의 연결을 거부하고자 하는 반응이다. 크리스테바는 ‘레위기’에서 여인의 분만과 분만에 따른 피를 ‘부정’(不淨)한 것으로 묘사하는 것에 주목하면서, 남아의 할례의식은 모성의 불결함과 오염으로부터 분리되고자 하는 의식이라고 지적한다. 할례의식은 다산성을 보유한 풍요로운 어머니의 ‘몸’이 모성적인 세속적 권력을 이루어 상징체계의 질서를 위협할지도 모른다는 데 대한 가부장적 권위의 불안감과 강박증을 드러낸다.

크리스테바의 말을 빌리면 이처럼 더럽혀진 어머니의 몸을 상기하고 그것과의 분리를 꾀함으로써 여성과 남성, 즉 개개인이 ‘깨끗하고 적합한’ 사회조직의 토대를 만들면서 점차로 법과 도덕에 종속되어가는 ‘말하는 주체’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의미를 창조하는 공간


생리혈을 배출하고 출산의 경험을 지닌 어머니의 몸이 오염된 육체를 표상한다면, 어머니 몸의 내부 역시 불순물로 가득 찬 곳이다. 어머니의 몸과 출산은 어머니 몸 내부의 물질들이 그 안의 육체를 분리시키는 난폭한 밀어내기라는 이미지를 통해 상기된다. 혐오감을 주는 어머니의 몸은 더 이상 영양을 공급하지 않는 태반으로부터 태어난 육체가 갖게 되는 환상이라고 크리스테바는 강조한다. 이제 어머니의 몸은 오염된 것이므로 아이는 전오이디푸스적 어머니와의 최초의 동일시를 참을 수 없게 되며, 따라서 어머니의 몸을 밀쳐내고자 시도한다. 자율적인 인간주체가 되기 위해서 아이는 어머니를 거부함으로써 어머니와의 동일시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를 하지만, 어머니와 분리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이때 아이는 어머니를 애브젝트로 만들어놓음으로써―더욱 정확히는 애브젝트로 여기도록 교육됨으로써―분리를 용이하게 만든다.

주체가 되기 위해서 상징계의 경계선상에 있는 어머니의 몸은 반드시 애브젝트가 되어야만 한다. 이처럼 모성을 애브젝트화하며 위협으로 간주하게 된 것은 상징계에 의해서 금지되었던 것, 또는 상징질서로 들어가기 위해서 배제시켜야 하는 것으로서의 모성설정에서 유래된 것이다.

프로이트 이론이 주장하듯 근친상간에 반대하는 오이디푸스적 금지이건, 라캉이 해석하듯이 어머니의 욕망 또는 주이상스(jouissance)에 대한 금지이건, 크리스테바에게 사회를 구성하는 금지는 결국 어머니의 몸에 대한 금지이다. 어머니의 몸은 출입금지구역을 의미한다.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기 위해 배설물을 배출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애브젝트도 건전한 사회를 위해 추방되어야 한다.

크리스테바는 주체에게 어머니의 몸은 공포의 ‘대상’이라고 강조한다. 경계가 불분명한 어머니의 몸은 주체가 출생한 공간이면서 동시에 분리 불가능성을 상징하며, 이때 아이는 어머니의 몸이 ‘집어삼키는, 무시무시한 공포감을 가져다주는 육체’라는 환상을 갖게 된다. 주체는 어머니의 몸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워질 수 없기 때문에 어머니의 몸을 증오한다. 안과 밖의 경계가 불분명하고 아이와 어머니의 분리가 모호한 어머니의 몸은 아이에게 분노와 두려움을 자극하는 육체를 암시한다.

정신분석 담론에서 일반적으로 묘사하는 모성은 결코 자애롭고 온화한 어머니의 이미지가 아니다. 오히려 주체가 상징질서에 진입하기 위해서 반드시 버려야 하는 더럽고 혐오스러운 몸이며 주체를 끊임없이 위협하는 무서운 몸이다.

크리스테바의 정신분석적 페미니즘 이론은 경계선상에 있는 전오이디프스적 어머니가 상징질서를 균열시키면서 주체의 안정성을 불안하게 만든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무한한 사랑으로 아이를 양육하는 모성의 신비화나 어머니와 아이의 낭만적인 전오이디푸스적 관계는 크리스테바의 모성 담론에서 발견하기 어렵다. 크리스테바가 그려내는 전오이디푸스적 어머니는 주체의 무의식 안에서 공포를 일으키는 고딕 어머니이다.

따라서 그녀의 모성 담론은 전오이디푸스 단계에서 강조되는 어머니와 아이의 공생적인 의존(symbiotic dependence)에 대한 신비화나 이상화에 감추어진 허구성을 폭로한다. 상징계의 안도 아니고 밖도 아닌 경계선에 모호하게 놓인 어머니의 몸은 상징계의 분리영역을 가로지르는 공포의 몸이다. 어머니의 몸이 가부장적 상징질서에 공포감을 일으키는 것은 단일성을 추구하는 상징계의 분리논리로는 통제 불가능한 저항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징질서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애브젝트 모성은 부정하고 오염된 몸으로 단일성을 위협하는 ‘이질성’(heterogeneity)을 암시한다.

전오이디푸스적 어머니의 몸이 표상하는 이질성은 크리스테바의 정신분석 담론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궁극적으로 크리스테바는 재현될 수 없는 것이나 무의식, 의미영역 밖에 있는 것들이 어떻게 문화 안에서 재현되는가에 관심이 있는 듯하다. 프로이트와 라캉에게 전오이디푸스적 어머니의 몸은 상징계의 단일성 논리에서 배제된 몸으로서 의미의 영역 밖에 존재한다. 그러나 크리스테바의 전오이디푸스적 어머니는 상징계 영역을 가로지르며, 단일성과 유사성을 거부하고 상징질서를 교란시키는 이질적인 몸이다.

《공포의 힘들》을 비롯하여, 이후에 발표된 《검은 태양》과 《사랑의 이야기》에서도 크리스테바는 어머니의 몸이 상징질서를 교란하기는 하지만 결코 의미영역 밖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가 의미를 창조하는 공간임을 강조한다. 주체의 무의식 속에 지울 수 없는 흔적으로 남아 어머니의 몸이 예술작품 안에서 재현되기 때문이다.


Copyright 월간 넥스트 All right reserved. 2005년 08월

2007/04/07 10:52 2007/04/07 10:52
TAGS



http://jkl123.com/index.html
서울대 경제학부 이준구 교수
2007/04/06 18:56 2007/04/06 18:56

2007.04.05

2007/04/05 06:16 / My Life/Diary

때 밀고 싶다.

2007/04/05 06:16 2007/04/05 06:16
TAGS

일찍이 나는/최승자  


일찍이 나는 아무것도 아니었다.
마른 빵에 핀 곰팡이
벽에다 누고 또 눈 지린 오줌 자국
아직도 구더기에 뒤덮인 천년 전에 죽은 시체.

아무 부모도 나를 키워 주지 않았다
쥐구멍에서 잠들고 벼룩의 간을 내먹고
아무 데서나 하염없이 죽어 가면서
일찍이 나는 아무것도 아니었다.

떨어지는 유성처럼 우리가
잠시 스쳐갈 때 그러므로,
나를 안다고 말하지 말라.
나는너를모른다 나는너를모른다,
너당신그대, 행복
너, 당신, 그대, 사랑

내가 살아 있다는 것,
그것은 영원한 루머에 지나지 않는다.

2007/04/03 23:42 2007/04/03 23:42
TAGS ,

Top 250 movies as voted by our users

For this top 250, only votes from regular voters are considered.

Rank Rating Title Votes
1. 9.1 The Godfather (1972) 204,392
2. 9.1 The Shawshank Redemption (1994) 244,856
3. 8.9 The Godfather: Part II (1974) 115,586
4. 8.8 Buono, il brutto, il cattivo, Il (1966) 59,485
5. 8.8 The Lord of the Rings: The Return of the King (2003) 186,774
6. 8.8 Pulp Fiction (1994) 208,013
7. 8.8 Casablanca (1942) 96,983
8. 8.8 Schindler's List (1993) 144,357
9. 8.8 Star Wars: Episode V - The Empire Strikes Back (1980) 153,449
10. 8.7 Shichinin no samurai (1954) 52,727
11. 8.7 One Flew Over the Cuckoo's Nest (1975) 105,255
12. 8.7 Star Wars (1977) 190,838
13. 8.7 Rear Window (1954) 61,660
14. 8.7 12 Angry Men (1957) 47,343
15. 8.7 The Lord of the Rings: The Fellowship of the Ring (2001) 225,988
16. 8.6 Raiders of the Lost Ark (1981) 131,840
17. 8.6 Cidade de Deus (2002) 62,411
18. 8.6 The Usual Suspects (1995) 150,792
19. 8.6 Goodfellas (1990) 109,445
20. 8.6 Dr. Strangelove or: How I Learned to Stop Worrying and Love the Bomb (1964) 92,159
21. 8.6 C'era una volta il West (1968) 31,493
22. 8.6 Psycho (1960) 77,471
23. 8.6 The Lord of the Rings: The Two Towers (2002) 180,499
24. 8.6 Citizen Kane (1941) 85,040
25. 8.6 North by Northwest (1959) 51,966
26. 8.6 Memento (2000) 139,523
27. 8.6 The Silence of the Lambs (1991) 131,948
28. 8.5 Lawrence of Arabia (1962) 45,342
29. 8.5 It's a Wonderful Life (1946) 58,774
30. 8.5 Sunset Blvd. (1950) 26,313
31. 8.5 Fight Club (1999) 181,465
32. 8.5 Fabuleux destin d'Amelie Poulain, Le (2001) 95,934
33. 8.5 American Beauty (1999) 159,489
34. 8.5 The Matrix (1999) 207,413
35. 8.5 Vertigo (1958) 49,619
36. 8.5 Apocalypse Now (1979) 95,840
37. 8.5 Taxi Driver (1976) 75,118
38. 8.4 Se7en (1995) 136,893
39. 8.4 Leon (1994) 88,747
40. 8.4 Eternal Sunshine of the Spotless Mind (2004) 99,931
41. 8.4 Paths of Glory (1957) 22,569
42. 8.4 American History X (1998) 100,260
43. 8.4 To Kill a Mockingbird (1962) 45,567
44. 8.4 Chinatown (1974) 39,653
45. 8.4 The Third Man (1949) 27,878
46. 8.4 Untergang, Der (2004) 32,579
47. 8.4 M (1931) 19,634
48. 8.4 The Pianist (2002) 56,920
49. 8.4 Monty Python and the Holy Grail (1975) 90,267
50. 8.4 Laberinto del fauno, El (2006) 36,475
51. 8.4 The Treasure of the Sierra Madre (1948) 16,182
52. 8.3 A Clockwork Orange (1971) 98,856
53. 8.3 Alien (1979) 92,898
54. 8.3 The Bridge on the River Kwai (1957) 32,522
55. 8.3 Sen to Chihiro no kamikakushi (2001) 46,528
56. 8.3 L.A. Confidential (1997) 97,271
57. 8.3 Boot, Das (1981) 41,496
58. 8.3 The Maltese Falcon (1941) 28,695
59. 8.3 Requiem for a Dream (2000) 84,578
60. 8.3 The Shining (1980) 80,994
61. 8.3 Double Indemnity (1944) 18,080
62. 8.3 Hotel Rwanda (2004) 36,709
63. 8.3 Reservoir Dogs (1992) 106,545
64. 8.3 Saving Private Ryan (1998) 146,233
65. 8.3 Metropolis (1927) 19,322
66. 8.3 The Departed (2006) 84,948
67. 8.3 Rashomon (1950) 19,165
68. 8.3 Raging Bull (1980) 43,816
69. 8.3 Sin City (2005) 110,659
70. 8.3 Aliens (1986) 91,361
71. 8.3 Singin' in the Rain (1952) 30,255
72. 8.3 Modern Times (1936) 16,616
73. 8.3 Rebecca (1940) 17,735
74. 8.3 The Great Escape (1963) 31,172
75. 8.3 The Manchurian Candidate (1962) 20,654
76. 8.3 2001: A Space Odyssey (1968) 90,927
77. 8.2 Some Like It Hot (1959) 37,047
78. 8.2 All About Eve (1950) 19,256
79. 8.2 Forrest Gump (1994) 141,143
80. 8.2 Amadeus (1984) 53,283
81. 8.2 Touch of Evil (1958) 17,271
82. 8.2 Vita e bella, La (1997) 56,355
83. 8.2 Sjunde inseglet, Det (1957) 16,389
84. 8.2 Terminator 2: Judgment Day (1991) 113,686
85. 8.2 Jaws (1975) 71,424
86. 8.2 The Sting (1973) 35,013
87. 8.2 Million Dollar Baby (2004) 60,981
88. 8.2 Strangers on a Train (1951) 16,759
89. 8.2 On the Waterfront (1954) 20,519
90. 8.2 Batman Begins (2005) 109,888
91. 8.2 The Elephant Man (1980) 26,581
92. 8.2 Full Metal Jacket (1987) 73,428
93. 8.2 Braveheart (1995) 133,756
94. 8.2 Nuovo cinema Paradiso (1988) 22,221
95. 8.2 Mr. Smith Goes to Washington (1939) 17,670
96. 8.2 The Apartment (1960) 17,245
97. 8.2 Blade Runner (1982) 103,166
98. 8.2 The Wizard of Oz (1939) 55,583
99. 8.2 Leben der Anderen, Das (2006) 8,632
100. 8.2 City Lights (1931) 12,242

Copyright ⓒ 1990-2007 Internet Movie Database Inc.

2007/04/03 03:32 2007/04/03 03:32
TAGS

아이리스 (Iris)

2007/04/03 03:21 / My Life/Diary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7/04/03 03:21 2007/04/03 03:21
TAGS

실화 영화

2007/04/03 00:30 / My Life/Diary

gisant (2004-12-14 23:11 작성)

실화를 다룬 영화들이 너무 많아서...시간관계상... 작품성이 좋은 영화들로만 몇개 추려보았습니다. 목록은 대충, 대륙별로 나열했습니다.



*프랑스

<잔 다르크의 수난 (La Passion De Jeanne D'Are / The Passion Of Joan Of Arc, 1928)>
덴마크 출신의 감독 칼 드라이어가 프랑스를 구하고 화형에 처해진 소녀 잔 다르크의 이야기의 재판 과정에 초점을 맞춘 무성영화.

<마틴 기어의 귀향 Return Of Martin Guerre, The (1982)>
16세기 프랑스에서 전개되었던 실화를 다룬 작품.

<여왕 마고 (La Reine Margot / Queen Margot)>
1572년 성바르톨로메오의 학살사건을 배경으로...

<당통 (Danton, 1982)>
당통이라는 프랑스 혁명의 주요 인물을 그린 영화.

<1850 길로틴 트래지디 La Veuve de Saint-Pierre / The Widow of Saint-Pier (2000)>
1850프랑스 작은 섬에서 일어난 일을 배경으로..(사형수와 그를 돌보던 부부의 일화를 다룬 영화)

<푸른 수염 (Landru / Bluebeard, 1962)>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여성들에게 접근하여 사기행각을 벌이다 결국 10여명의 여성들을 살해한 연쇄살인범 앙리 데지르 랑드뤼의 이야기를 토대로 한 영화.

<올리비에 올리비에 (Olivier, Olivier, 1991)>
실화를 바탕으로 한 미아 실종 사건을 다룬 영화

<아델 H 이야기 L' Histoire d'Adele H. / The Story of Adele H (1975)>
1863년, 프랑스의 대문호 빅토르 위고의 딸인 아델 H의 일화를 소재로....




*영국

<조지 왕의 광기 (The Madness Of King George, 1994)>
정신병자였던 영국 국왕 조지 3세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

<엘리자베스 (Elizabeth, 1998)>
영국의 절대 왕정의 전성기를 갖게 했던 여왕 엘리자베스의 전기 영화

<겨울의 라이온 Lion In Winter, The (1968)>
헨리 2세와 엘리노 여왕의 충돌을 그린 영화

<사계의 사나이 (A Man For All Seasons, 1966)>
토머스 모어와 헨리 8세의 갈등을 그린 영화

<천일의 앤 (Anne Of The Thousand Days, 1969)>
헨리 8세의 아내가 되었다가, 후에 딸 엘리자베스를 여왕으로 남기고 끝내 비운의 죽음을 당한 앤 왕비의 이야기를 그린 시대극.

<미세스 브라운 Mrs. Brown (1997)>
무려 64년간이나 영국을 통치했던 빅토리아 여왕의 일대기

<바운티호의 반란 (Mutiny On The Bounty, 1962)>
1787년 영국을 배경으로 바운티호에서 벌어진 실화를 영화화(리메이크). 원작(35년 버젼)이 작품성이 훨 좋지만 구하기 힘들 듯해서....

<도어즈 (The Doors, 1991)>
록그룹 도어즈의 리더 짐 모리슨(Jim Morrison)의 일대기를 담은 올리버 스톤의 전기 영화.

<시드와 낸시 (Sid And Nancy, 1986)>
섹스 피스톨즈라는 펑크 그룹에서 활동했던 록가수 시드 비셔스(Sid Vicious)와 그의 연인 낸시의 이야기

<백비트 (Backbeat, 1993)>
대중 음악계 최고의 뮤지션들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는 비틀즈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

<겜블 (Rogue Trader, 1999)>
95년 당시 28세의 청년 닉 리슨(Nick Leeson)이 출중한 투자 수완으로 출세 가도를 달렸지만, 불법 투자로 영국의 유서깊은 민간은행 베링스를 파산시킨 실화를 그린 작품.



*기타 유럽

<1492 콜럼버스 (1492: The Conquest Of Paradise, 1992)>
-리들리 스코트감독의 작품치곤 좀 재미가 떨어지는 영화이긴 하지만...

<브레이브하트 (Braveheart, 1995)>
13세기 말엽, 스코틀랜드의 전설적인 기사 윌리엄 월레스의 사랑과 투쟁을 그린 영화.

<롭 로이 (Rob Roy, 1995)>
18세기 초 스코틀랜드의 실존 인물 롭 로이의 실화를 그린 시대극

<마이클 콜린스 (Michael Collins, 1996)>
20세기 초 아일랜드 독립을 위해 헌신했던, IRA의 창시자 마이클 콜린스의 이야기를 그린 전기 영화.

<아버지의 이름으로 (In The Name Of The Father, 1993)>
1975년, 아일랜드에서 실제 발생했던 이른바 '제리 콘론 사건'을 영화화.

<전함 포템킨 The Battleship Potyomkin (1925)>
1905년, 제정 러시아 시대. 전함 포템킨의 선상반란을 영화화

<스팔타커스 Spartacus (1960)>
로마 제국 시대. 검투사 스팔타커스의 혁명을 소재로 영화화.

<로자 룩셈부르크 Rosa Luxemburg (1986)>
독일 사회주의 건설 당시 실존했던 여성인 로자 룩셈부르크의 실화를 다룬 영화

<베른의 기적/Das Wunder von Bern / The Miracle of Bern (2003)>
1954년 베른에서 결승전이 벌어진 스위스 월드컵을 배경

<불의 전차/Chariots of fire (1981)>
1978년 제8회 파리 올림픽대회를 배경으로..

<아버지의 이름으로(In The Name Of The Father, 1993)>
1975년, 아일랜드와 영국을 배경으로 실제 발생했던 이른바 '제리 콘론 사건'을 영화화...

<샤인 (Shine, 1996)>
천재 피아니스트로 유명했던 데이빗 헬프갓의 일대기를 다룬...

<나의 왼발 (My Left Foot: The Story Of Christy Brown, 1989)>
아일랜드인 크리스티 브라운(Christy Brown)의 자전적 생애를 그린 인간 승리의 감동적인 휴머니즘 영화.

<에블린 (Evelyn, 2002)>
실화를 바탕으로 1950년대 말 아일랜드에서 있었던 아동보호법(1941년 제정)을 둘러싼 헌법 소원을 다룬 법정 드라마.

<블러디 선데이 (Bloody Sunday, 2002)>
1972년 1월, 시민권을 요구하는 북아일랜드의 민간 시위대에 영국군이 발포한 '피의 일요일' 사건을 그린 영화.

<베로니카 게린 (Veronica Guerin, 2003)>
1996년 아일랜드 더블린의 마약조직에 대한 폭로 기사를 다루었던 기자 베로니카 게린의 피살 사건을 다룬 실화극.

<에너미 앳 더 게이트 (Enemy At The Gates, 2001)>
제2차 세계대전이 벌어지던 1942년 스탈린그라드 전투를 배경으로 독일군 장교를 암살하는 러시아 저격수의 실화를 그린 전쟁 서사극.

<글루미 선데이 (Gloomy Sunday: Ein Lied Von Liebe Und Tod, 1999)>
전세계 수 백명의 사람들을 자살하게 한 전설적인 노래 "글루미 썬데이"에 관한 실화를 바탕으로 한 로맨스 드라마.





*남미


<프리다 (Frida, 2002)>
1922년 멕시코. 남미, 프리다 칼로(Frida Kahlo)가 세상을 뜨기까지의 일대기를 그리고 있는 영화.

<에비타 (Evita, 1996)>
아르헨티나의 국모로 추앙받는 에바 페론의 이야기

<미션 (The Mission, 1986)>
1750년 아르헨티나, 파라과이와 브라질 국경 지역에서 일어난 역사적 실화.

<혁명아 자파타 (Viva Zapata!, 1952)>
실존했던 멕시코 농부들의 우상 자파타의 일대기를 다룬 전기 영화

<오피셜 스토리 (La Historia Oficial / The Official Story, 1985)>
1983년, 아르헨티나 어두웠던 현실을 한 여성의 삶을 통해 군사정권을 고발한...

<로메로 (Romero, 1989)>
1977년 엘 살바도르(El Salvador)의 로메로 대주교(Archbishop Romero)의 실화.

<계엄령 (Etat De Siege / State Of Siege, 1973)>
1970년 우루과이에서 실제로 발생했던 미국인 댄 마트리언 납치 사건을 바탕으로..

<살바도르 (Salvador, 1985)>
종군 사진기자 리차드 보일(Richard Boyle)이 쓴 엘사바도르에 관한 다큐멘타리 '화산 아래서'를 영화화.

<칠레전투 Batalla De Chile, La (1977)>
현대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필름 중에서 가장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되는 작품으로, 역사적 사건들을 기록하고 있을 뿐 아니라, 마르크시스트의 시각에서 기록된 사건들을 분석한 영화.

<비포 나잇 폴스 (Before Night Falls, 2000)>
격변기의 쿠바를 배경으로 쿠바의 시인이자 소설가인 레이날도 아레나스의 일대기를 그린 작품.

<미싱 (Missing, 1982)>
토마스 호저(Thomas Hauser)가 쓴 실화 소설을 바탕으로, 칠레의 어두운 정치을 보여준 영화.

<모터싸이클 다이어리 (The Motorcycle Diaries, 2004)>
아르헨티나 출신으로, 카스트로 정권의 반미 친공 노선 열렬히 옹호하여 쿠바 혁명의 상징이 되었으나 결국 CIA에 의해 피살된 혁명가 '체 게바라(1928-1967)'의 정치적 자각과정을 다룬 로드무비

<얼라이브 (Alive: The Miracle Of The Andes, 1993)>
1972년에 안데스 산맥에서 실제로 있었던 비행기 사고를 감동적으로 영화화...




*미국


<영광의 깃발 (Glory, 1989)>
남북전쟁을 배경으로 노예폐지론자 로버트 굴드쇼장군을 중심으로 영화화...

<레즈 Reds (1981)>
미국인 공산주의자이며 저널리스트이자 행동가인 존 리드의 전기를 영화화

<언터쳐블 (The Untouchables, 1987)>
갱단의 극성으로 무법 천지가 된 미 공황시대의 시카고를 배경.

<말콤 X (Malcolm X, 1992)>
마틴 루터 킹 목사와 더불어 대표적인 미국 흑인 인권 운동가 말콤 X의 전기 영화

<모두가 대통령의 사람들 (All The President's Men, 1976)>
워터게이트사건을 배경으로 영화화

<아폴로 13 (Apollo 13, 1995)>
1970년 전미국인들을 가슴 졸이게 했던 아폴로 13호의 우주 사고 실화를 다룬 영화

<비공개 (Guilty by Suspicion, 1991)>
1950년대에 헐리우드에 몰아닥쳤던 최악의 사상 재판인 매카시 선풍에 희생되는 한 유능한 영화 감독의 이야기.

<스트레이트 스토리(The Straight Story (1999)>
노년의 주인공 스트레이트(리차드 판스워스)가 잔디깍기를 개조한 트랙터를 몰고 병든 형을 찾아 300마일의 기나긴 여행을 떠나는 로드 무비.

<씨비스킷(Seabiscuit, 2003)>
감독 : 게리 로스
출연 : 토비 맥과이어, 제프 브리지스, 크리스 쿠퍼
미국의 경제 대공황기를 배경..

<관계의 종말 (Pat Garrett And Billy The Kid, 1973)>
빌리더 키드와 팻 가렛의 실화를 다룬...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 (Bonnie And Clyde, 1967)>
30년대 유명한 갱 보니와 클라이드의 실화를 다룬...

<오케이 목장의 결투 Gunfight At The O.K. Corral (1957)>
실제 있었던 보안관 와이어트 어프와 그의 단짝으로 활동하던 닥 헐리데이의 이야기

<형사 서피코 (Serpico, 1973)>
뉴욕 경찰에 실제로 근무했던 위장 침투 전문 형사 프랭크 서피코(Frank Serpico)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피터 마스의 원작을 영화화한 작품.

<몬스터 (Monster, 2003)>
밑바닥 인생을 전전하다가 무려 일곱 명을 살해하고 체포되어 결국 사형에 처해진 어느 창녀의 충격적인 실화를 그린 영화.

<라디오 (Radio, 2003)>
실화를 바탕으로 게리 스미스(Gary Smith)가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트 지에 쓴 사실 기사에 바탕을 둔 이 영화

<바탈리언 (The Lost Battalion, 2001)>
제1차 세계대전 말기 고립된 한 대대의 치열하고도 처참한 전투기를 그린 전쟁 액션물. 1918년 10월, 1차세계대전 당시 500여 명의 미국군이 실제 겪었던 실화를 바탕으로 했다.

<뷰티풀 마인드 (A Beautiful Mind, 2001)>
정신분열증세를 나타내는 한 수학천재가 이러한 자신의 병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노벨상을 수상하기까지의 실화를 그린 휴먼 드라마.

<리멤버 타이탄 (Remember The Titans, 2000)>
60년대의 시민권 운동이 막 끝나고 흑백 고교가 통합되던 71년의 버지니아주를 배경으로, 인종 차별을 극복한 고교 풋볼팀의 실화를 그린 감동의 풋볼 영화

<엘리펀트 (Elephant, 2003)>
미국의 콜룸바인고등학교의 총기난사 사건을 토대로 만든....

<에린 브로코비치 (Erin Brockovich, 2000)>
줄리아 로버츠가 수질 오염을 초래한 대기업과 법정 소송을 벌이는 영웅적인 여성으로 분한 드라마.

<인사이더 (The Insider, 1999)>
미국 추적 보도물의 대명사인 CBS 방송의 <60분>과 진행자 마이크 월러스(Mike Wallace)의 치부를 들춰낸 영화로, 월러스의 콤비였던 <60분>의 프로듀서 로웰 버그먼의 폭로를 토대로 재구성한 드라마.

<도니 브래스코 (Donnie Brasco, 1997)>
1970년대 말 뉴욕의 거대 범죄 조직에 잠입하여 거물 레프티 루지에로와 기묘한 우정을 형성했던 FBI 요원 존 피스톤의 회고록을 바탕으로 한 영화

<데드 맨 워킹 (Dead Man Walking, 1995)>
사형수 매튜 폰세렛(Matthew Poncelet)의 처형 과정을 지켜봤던 수녀 헬렌 프레진(Helen Prejean)의 동명 원작을 바탕으로 한 실화극

<나는 앤디 워홀을 쏘았다 (I Shot Andy Warhol, 1996)>
1968년, '영혼의 살인자'라고 외치며 팝 아트의 거장 앤디 워홀을 저격한 여성 발레리 솔라나스의 실화를 그린...

<래리 플린트 (The People Vs. Larry Flynt, 1996)>
저속한 잡지 '허슬러'의 창간인 래리 플린트의 일대기.

<열정의 록콘롤 (Great Balls Of Fire!, 1989)>
전설적인 록뮤지션 제리 리 루이스의 황금기를 묘사한 전기 영화.

<베이브 (The Babe, 1992)>
714개의 홈런을 친 미국 프로 야구의 전설적인 홈런왕 베이브 루스의 전기 영화.

<로렌조 오일 (Lorenzo's Oil, 1992)>
의사에게 사형 선고를 받은 불치병의 아들을 위해 부부가 치료법을 찾아내는 감동의 실화극.

<바스키아 (Basquiat, 1996)>
27세에 요절한 미국 화가 장 미셀 바스키아(Jean Michel Basquiat)의 파란만장한 삶을 그린 전기 영화.

<제이 에프 케이J.F.K (1991)>
미국의 제35대 대통령 존 F. 케네디의 암살을 그린....

<미시시피 버닝 Mississippi Burning (1988)>
1964년, 미시시피주의 어느 마을에서 민권 운동가 세 명이 실종되는 사건을 토대로...

<데드 링거 Dead Ringers (1988)>
1975년 존경받는 부인과 의사인 쌍둥이 마커스 형제가 아파트에서 죽은 채로 발견되었다. 그들의 사인은 약물중독이었고 죽기 전 실제로 그들은 환각상태에서 환자들을 수술한 사실이 드러났다. 이 실화는 <쌍둥이>라는 소설과 이 영화로 만들어졌다.

<정글 속의 고릴라 Gorillas In The Mist (1988)>
아프리카 고릴라의 권위자이자 동물보호자인 다이안 포세이의 실화를 영화화.

<로즈 The Rose (1979)>
1960년. 반전과 히피를 부르짖던 미국에, 'three J'로 일컬어 지는 록 뮤지션들이 있다. '도어즈'의 짐 모리슨, 기타의 신 지미 핸드릭스, 그리고 미국 포크 음악계를 풍미했던 젊고 재능있는 록큰롤 가수 제니스 조플린이 그들이다. 그중 제니스 조플린의 짧지만 파란 만장했던 일생을 모델로 한 영화이다.




*아시아


<카게무샤 (影武者: Kagemusha / Shadow Warrior, 1980)>
16세기 중엽의 일본을 배경으로, 중앙 막부가 약한 틈을 타서 전국의 세 영주가 세력 다툼을 벌이던 전국시대를 소재로 한 역사물.

<스파이 조르게(スパイ ゾルゲ, 2002)>
1940년대 일본, 세나라의 역사를 바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실존인물 리처드 조르게에 관한 이야기.

<마지막 황제 (The Last Emperor, 1987)>
중국의 마지막 황제 푸이가 쓴 자서전 <황제에서 시민으로>를 토대로 만든...

<간디 (Gandhi, 1982)>
인도의 독립운동 지도자이자 금세기 최고의 성자, 마하트마 간디(Mahatma Gandhi)의 파란만장한 생애를 그린 영화.

<아라비아의 로렌스 (Lawrence Of Arabia, 1962)>
아라비아 독립의 영웅인 영국인 T.E. 로렌스의 일생을 장대한 스케일로 영화화

<아편 전쟁 (鴉片戰爭: The Opium War, 1997)>
실존 인물인 도광황제, 임칙서 등 30여 명의 자료를 토대로 150년 전 상황을 고증, 영화화...

<칸다하르 (Safar E Ghandehar / Kandahar, 2001)>
닐로우파 파지라는 실제 아프가니스탄 망명자 출신의 캐나다 저널리스트의 이야기,

<아무도 모른다 (誰も知らない: Nobody Knows, 2004)>
일본에서 실제 있었던 사건(부모없이 6개월간 방치된 사남매들의 이야기)을 토대로 만든 영화.

<하치 이야기 (八チ公物語 / Hachi-ko Monogatari, 1987)>
실화에 기초하여, 시부야 역에서 10년의 시간동안 꼼짝도 않고 주인을 기다린 충견 하치의 이야기.

<완전한 사육 2 - 사랑의 40일 (完全なる飼育 愛の40日: Perfect Education 2: 40 Days Of Love, 2001)>
실화를 바탕으로 마츠다 미치코의 원작 '여자고교생유괴사육사건'을 영화화.

<이재수의 난 (이재수의 亂 / Lee Jae-sueui nan, 1999)>
1901년 제주도에서 실제 일어난 천주교인과 주민들간의 충돌 사건을 다룬 시대극.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1995)>
30년 전, 노동법 준수를 부르짖으며 분신 자살한 노동자의 죽음을 통해 노동계 현실을 다룬 작품.

<사의 찬미 (死의 讚美, 1991)>
일제하 1920년대의 신여성의 대표적 인물, 여가수 윤심덕의 일대기를 조명한 영화.

<역도산 (力道山, 2004)>

<살인의 추억 (Memories Of Murder, 2003)>
경기도 '화성 부녀자 연쇄 강간 살인사건'을 소재

<취화선 (취화선: 醉畵仙 / Chihwaseon, 2002)>
구한말 천재 화가 오원 장승업의 삶을 영화화.

<실미도 (Silmido, 2003)>
북파공작원으로 보내지기 위해 실미도에서 훈련 중이던 군특공대원들의 서울 잠입사건을 소재로...





*기타

<자유의 절규 (Cry Freedom, 1987)>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의분을 느낀 한 백인 기자가 진실을 보도하고, 언론 본연의 사명을 지키기 위해 겪었던 일을 영화화한 실화 다큐극

<카슘 공방전 (Khartoum, 1966)>
영국의 지배하에 있었던 1821년 이집트와 수단을 배경으로...

<토끼 울타리 (Rabbit-Proof Fence, 2002)>
1930년대 호주의 비인간적인 원주민 정책에서 벌어진 실화를 소재로...

<네드 켈리 (Ned Kelly, 2003)>
호주가 영국 식민지였던 1800년대에 생존하였던 인물, '네드 켈리'에 관한 실화를 다룬....괜찮은 작품인지 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지만, 호주관련이 몇개 안되서...

<쿨 러닝(Cool Runnings (1993)>
캘거리 동계 올림픽에 참가했던 자메이카의 봅슬레이 팀의 실화를 다룬 영화...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3&dir_id=301&eid=sk7nWSmEoNKsrE8n4DXhnEzlgPFdb+Cg&qb=vcfIrSC/tcitIL3DwM4=


로카 (Death In Granada, Lorca, 1997) 
스페인, 푸에르토리코  |  드라마  |  142 분  |  

비포 나잇 폴스 (Before Night Falls, 2000) 
미국  |  드라마  |  125 분  |  개봉 2002.06.21

미션 (The Mission, 1986) 
영국  |  드라마  |  125 분  |  개봉 1986.12.24

아이리스 (Iris, 2001) 
영국, 미국  |  드라마  |  90 분  |  개봉 2002.03.08

2007/04/03 00:30 2007/04/03 00:30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