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時調)와 시조 창사(唱詞)


   시조(時調)

 
   시조란 말은 흔히 우리나라 고유의 문학의 한 장르의 이름으로 확고히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시조의 원 뜻은 악곡의 이름이었고 오늘날엔 시조 창사를 시조라고 부르고 있다. 그러나 좀더 엄밀히 따진다면 오늘날에 시조라고 부르는 시조 창사도 정확하지는 않고 가악 시조 이전부터 존재했던 가곡의 창사를 시조라고 하고 있기 때문에 문학에서 시조라고 하는 용어의 정확한 원뜻은 가곡창사가 맞는 말일 것이다. 
   시조란 용어를 처음 사용한 이는 영조대의 가객 이세춘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 전시대에도 시조는 이미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시조의 발생은 먼저 존재하고 있던 가곡 창사를 더 슆게 읊기 위해 발생했던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시조의 발생은 조선 중기 정도로 추정되며, 서유구의 '유예지'와 이규경의 '구라철사금자보'에 악보가 전해진다. 
   시조는 서울 지방에서 불려지다가 점차 각 지방으로 전해져 그 지방의 방언에 맞는 특색을 지닌 향제 시조가 파생되었다. 처음에는 시조의 형식이 하나 뿐이었겠지만 지름시조가 먼저 파생하여 원 시조는 평시조란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고 가곡의 발달에 따라 그 영향으로 엇시조, 중허리시조, 사설시조 등이 파생하였다.
   시조는 황종(黃鐘;Eb), 중려(仲呂;Ab), 임종(林鐘;Bb)의 3음을 기본으로 하지만 몇가지 변음이 나오고 요성과 퇴성을 사용하여 음의 변화를 이끌어낸다. 
 
  시조 창사(時調唱詞)
 
   시조는 곡조에 따라 평시조 혹은 지름시조, 엇시조, 지름시조 등으로 구별하며 각 곡의 특성에 맞게 시조 창사를 얹어 가락에 맞춰 부른다. 
 
[1] 평시조(平時調)
 
   평시조의 평(平)은 낮은 소리라는 뜻으로 지름 시조에 대조되어 쓰이는 명칭이다. 평시조는 시조의 원형으로 경제(京制)와 향제(鄕制)가 있으며 평시조 가락에 얹어 부르는 창사는 시조의 원조답게 매우 다양한데, 널리 알려진 평시조의 창사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청산리 벽계수야 수이감을 자랑마라 (황진이)노래:김월하
2) 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 (남구만)
3) 태산이 높다하되 하늘아래 뫼히로다 (양사언)노래:김월하
4) 국화야 너는 어이 삼월동풍 다 지내고 (이정보)
5) 일각이 삼추라하니 열흘이면 몇삼추요
6) 천자는 만물지역려요 광음은 백대지과객이라
7) 청산은 내뜻이요 녹수는 님의 정이 (황진이)
8) 만경창파 욕모천에 천어환주 유교변을
9) 녹수청산 깊은 골에 청려완보 들어가니
10) 청산은 어찌하여 만고에 푸르르며 (황진이)
11) 청산아 말 물어보자 고금을 네 알리라 (김상옥)
12) 형산에 박옥을 얻어 세상 사람 뵈렸더니 (주의식) 노래:문현
 
[2] 반각시조(半刻時調)
 
   반각시조는 반사설시조라고도 하며 평시조와 사설시조를 섞어서 부른다. 반각시조에는 초장을 평시조로 부르고 중장과 종장을 장형(長型)으로 사설시조로 부르는 선반각(先半刻)과 초장, 중장을 장형으로하여 사설시조로 부르고 종장을 단형(短型)으로하여 평시조로 부르는 후반각(後半刻)이 있다.
   `일년이 열두달인데'와 `귀또리 저 귀또리'는 선반각이고 `송하에 문동자하니'와 `낙양 삼월시에'는 후반각이다. 반각시조의 내용은 여창인 경우는 그리움을 주로하지만 남창인 경우에는 호연지기를 드러내는 내용을 주로 부른다.
 
1) 일년이 열두달인데 윤삭들면 열석달도 일년이라
2) 귀또리 저 귀또리 어여뿔사 저 귀또리
3) 송하에 문동자하니 스승은 영주 봉래 방장 삼신산으로 불사약을 구하러 가셨나이다 노래:김호성
4) 낙양 삼월시에 궁류는 황금지로다 춘복이 기성하거늘 소거에 술을 싣고 도리원 찾아들어 (임의식)
 
[3] 사설시조
 
   사설시조는 가곡의 영향을 받아 파생된 곡이라 할 수 있다. 사설시조는 말 그대로 장형의 가곡 창사를 단순화하여 시초에 얹어 부르던 형태이다. 시조가 발달하고 다양한 감정 표현이 요구되면서 사설 시조의 등장은 필연적 이었다. 그러나 가곡의 어려운 곡조 보다는 비교적 단순한 시조의 가락에 가곡의 `편(編)'이나 `농(弄)', `낙(樂)'에 쓰이는 가사를 옮기다 보니 가사를 부르는 곡조마다 장단과 곡조가 조금씩 달라서 따로 정형화된 사설시조 형식은 없다. 
   사설시조의 내용은 주로 인생의 무상함을 노래하는 가사가 많고 가사가 한문투의 내용이 대부분이다.
 
1) 소년 행락이 다 진커든 와류강산 하오리라 이호상이 자작 
    명정케 취한 후 한단침 도두 베고 장주호접이 잠간되어
2) 일년 삼백 육십일은 춘하추동 사시절이라 꽃피고 앞 푸르면노래:김호성
    화조월석 춘절이요 사월남풍 대맥황은 녹음방초 하절이라
3) 진국명산 만장봉이 청천삭출 금부용이라 거북은 흘립하여 북주 삼각이라 노래:문현
 
[4] 지름시조
 
   지름시조는 가곡의 두거와 같이 첫음을 고음에서 시작하는 곡으로 남창 지름 시조와 여창 지름시조가 있다. 지름시조는 첫 장을 질러 내며 시작하지만 중장과 종장은 평시조와 같다. 남창 지름시조는 내용이 호쾌하고 충절을 나타내는 남자의 기상이 엿보이는 창사를 주로 얹어부르며, 여성(女聲)에 맞게 짜여진 여창 지름시조는 여인의 정한(情恨)을 표현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이 중에서 `학타고 저불고'는 초장과 종장이 길어진 형태인데 특별히 엮음 지름시조라고 부른다.
 
남창지름시조
 
1) 바람아 부지마라 휘어진 정자 나뭇잎이 다 떨어진다노래:이동규
2) 바람도 쉬어 넘고 구름이라도 쉬어 넘는 고개 노래:문현
3) 장검을 빼어들고 백두산에 올라보니 (남이)
4) 한산섬 달 밝은 밤에 수루에 홀로 앉아 (이순신)
5) 삭풍은 나무 끝에 불고 명월은 눈 속에 찬 데 (김종서)
6) 태산에 올라 앉아 사해를 굽어 보니
7) 청천에 떠서 울고 가는 외기러기
8) 가노라 가노라 임아 응영단처 풍월강산으로 가노라 임아 노래:문현
 
여창지름시조
 
1) 청조야 오도고야 반갑도다 님의 소식 노래:김호성
2) 버들은 실이 되고 꾀꼬리는 북이 되어
3) 기러기 산이로 잡아 정들이고 길들여서
4) 달밝고 서리친밤 울고가는 저기럭아
 
[5] 중허리 시조
 
   중허리 시조는 가곡의 창법을 본따서 만들어진 것으로 '중거(中擧)'에서 파생되어 중허리라는 말이 붙여졌다. 초장과 중장의 첫 장단은 평으로로 부르다가 가성과 상청을 쓰고 다시 종장에서는 평시조와 같은 가락으로 끝난다. 
 
1) 방 안에 혔는 촛불 눌과 이별하였관듸 (이개)
2) 산촌에 밤이 드니 먼데서 가이 짖어온다 (천금)
3) 산촌에 눈이 오니 돌 길이 묻혔어라 (신흠)
 
[6] 우조 시조(羽調時調)
 
   우조 시조는 서울의 우대(지금의 누상동 근처)에서 불리워진 시조로 평시조가 계면조인데 반해 우조 음계로 이루어진 시조를 말한다. 그러나 우조 시조라고 이름하지만, 평조(우조)를 바탕으로 하여 계면조를 섞어 부르는데, 전조가 빈번하다. 장단은 평시조와 같지만 고음을 많이 써서 듣기에도 평시조와는 달리 호탕함을 느낄 수 있다. 
   우조시조에 얹어 부르는 시조 창사로는 '월정명(月正明)'이 잘 알려져 있으며 이 곡은 이문언(李文彦)의 전창(傳唱)으로 알려졌다.
 
1) 월정명 월정명커늘 배를 타고 추강에 나니 노래:김호성
2) 백구야 놀라지마라 너 잡을 내 아니로다
 
[7] 우조(羽調) 지름시조
 
   우조 지름 시조는 우조 시조 보다도 더 높은 성음으로 부르는 곡인데, 지름 시조와도 곡조가 사뭇 다르다. 또 다른 시조들이 시조 창사를 부르지만 우조 지름시조는 한시(漢詩)의 칠언율시(七言律詩)를 가사로 사용한다. 우조지름시조는 기악판(妓樂版)이나 시조계(時調系)에선 전혀 부르지 않았고 우조 시조와 마찬가지로 서울의 우대에서 불려지던 곡조였다.
   이 곡도 우조시조와 마찬가지로 완전한 우조는 아니고, 계면조를 바탕으로 하여 우조를 섞어 부른다. 박기준(朴基俊)의 전창으로 <십재를>과 <봉황대상>이 알려졌고, 그 외 <석인이>가 전한다.
 
1) 십재(十載)를 경영 옥수연(屋數椽)하니 
    금강지상(錦江之上)이요 월봉전(月峰前)이로다
2) 봉황대상 봉황유러니 봉거대공강자류라 노래:이양교
3) 석인( 昔人)이 이승백학거(已乘白雲去)하니 차지(此地)에 노래:김월하
    공여황학루(空餘黃鶴樓)로다
 
[8] 사설 지름시조(엇시조)
 
   사설시조의 창사와 같이 초장과 중장에서 장형의 창사를 부르는 곡인데, 가사에 따라 부르는 법이 약간씩 다르다. 보통 엇시조라고도 하며 `푸른 산 중 하에'는 `산행포수'라는 또다른 이름이 붙여져 있고 수잡가라고도 부른다.
 
1) 창 내고자 창 내고자 이 내 가슴에 창 내여고자
2) 백구는 편편 대동강상 비하고 장송은 낙락 청류 벽상 휘라
3) 푸른 산중하에 조총대 둘러메고 설렁설렁 내려오는 저 포수야 노래:이준아
4) 푸른 산중 백발옹이 고요독좌 향남봉을 노래:문현
5) 학 타고 저 불고 호로병 차고 불로초 메고 쌍상투 짜고 노래:문현
색등거리 입고 가는 아희 게 좀 섰거라 네 어디로 가느냐 말물어 보자


http://user.chollian.net/~flumen/
2007/04/09 18:09 2007/04/09 18:09

Trackback URL :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Trackback RSS : http://www.fallight.com/rss/trackback/935

Trackback ATOM : http://www.fallight.com/atom/trackback/935


« Previous : 1 : ... 793 : 794 : 795 : 796 : 797 : 798 : 799 : 800 : 801 : ... 1287 :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