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민론(豪民論)
-천하에 두려워할 것은 오직 백성뿐

허균1)

 

천하에 두려워할 대상은 오직 백성뿐이다.

백성은 홍수나 화재 또는 호랑이나 표범보다도 더 두려워해야 한다. 그런데도 윗자리에 있는 사람들은 백성들을 업신여기면서 가혹하게 부려먹는데 어째서 그러한가?

이미 이루어진 것을 여럿이 함께 즐거워하고 늘 보아 오던 것에 익숙하여, 그냥 순순하게 법을 받들면서 윗사람에게 부림을 당하는 사람들은 항민(恒民)이다. 이러한 항민은 두려워할 것이 없다.

모질게 착취당하여 살가죽이 벗겨지고 뼈가 부서지면서도 집안의 수입과 땅에서 산출되는 것을 다 바쳐서 한없는 요구에 이바지하느라, 혀를 차고 탄식하면서 윗사람을 미워하는 사람들은 원민(怨民)이다. 이러한 원민도 굳이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

자신의 자취를 푸줏간 속에 숨기고 몰래 딴마음을 품고서, 세상을 흘겨보다가 혹시 그때에 어떤 큰 일이라도 일어나면, 자기의 소원을 실행해 보려는 사람들은 호민(豪民)이다. 이 호민은 몹시 두려워해야 할 존재이다.

호민이 나라의 허술한 틈을 엿보고 일의 형편이 이용할 만한 때를 노리다가 팔을 떨치며 밭두렁 위에서 한 번 소리를 지르게 되면, 원민들은 소리만 듣고도 모여들어 모의하지 않고서도 함께 소리를 지르고, 항민들도 또한 제 살길을 찾느라 호미, 고무레, 창, 창자루를 가지고 쫓아가서 무도한 놈들을 죽이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진(秦)나라가 망한 것은 진승(陳勝)과 오광(吳廣)때문이었고, 한나라가 어지러워진 것은 황건적 때문이었다. 당나라가 쇠퇴하자 왕선지(王仙芝)와 황소가 그 틈을 타고 일어났는데, 마침내 백성과 나라를 망하게 한 뒤에야 그쳤다. 이러한 일들은 모두 백성들에게 모질게 굴면서 저만 잘살려고 한 죄의 대가이며, 호민 들이 그러한 틈을 잘 이용한 것이다.

하늘이 임금을 세운 것은 백성을 돌보게 하기 위해서였지, 한 사람이 위에서 방자하게 눈을 부릅뜨고서 계곡같이 커다란 욕심을 부리라고 한 것은 아니었다. 진나라, 한나라 이후의 화란은 당연한 결과였지, 불행했던 것은 아니다.

지금 우리 나라는 중국과는 다르다. 땅이 비좁고 험하여 사람도 적고, 백성 또한 나약하고 게으르며 잘아서, 뛰어난 절개나 넓고 큰 기상이 없다. 그런 까닭에 평상시에 위대한 인물이나 뛰어난 재주를 가진 사람이 나와서 세상에 쓰여지는 일도 없었지만, 난리를 당해도 또한 호민 이나 사나운 병졸들이 반란을 일으켜 앞장서서 나라의 걱정거리가 되었던 적도 없었으니 그 또한 다행이었다.

비록 그렇긴 하지만 지금의 시대는 고려 때와는 같지 않다. 고려 때에는 백성들에게 조세를 부과함에 한계가 있었고, 산림(山林)과 천택(川澤)에서 나오는 이익도 백성들과 함께 했었다. 장사할 사람에게 그 길을 열어 주고, 물건을 만드는 기술자에게도 혜택이 돌아가게 하였다. 또 수입을 잘 헤아려 지출을 하였기 때문에 나라에 여분의 저축이 있어 갑작스럽게 커다란 병화나 상사(商事)가 있어도 조세를 추가로 징수하지는 않았다. 그 말기에 이르러서는 오히려 삼공2)할 정도였다.

우리 조정은 그렇지 아니하여 구구한 백성이면서도 신을 섬기고 윗사람을 받드는 범절은 중국과 대등하게 하고 있는데, 백성들이 내는 조세가 다섯 푼이라면 조정으로 돌아오는 이익은 겨우 한 푼이고 그 나머지는 간사한 자들에게 어지럽게 흩어져 버린다. 또 관청에서는 여분의 저축이 없어 일만 있으면 한 해에도 두 번씩이나 조세를 부과하는데, 지방의 수령들은 그것을 빙자하여 키질하듯 가혹하게 거두어들이는 것 또한 끝이 없었다. 그런 까닭에 백성들의 시름과 원망은 고려말보다 더 심한 상태이다.

그런데도 윗사람들이 태평스레 두려워할 줄 모르고, 우리 나라에는 호민이 없다고 생각한다. 불행하게도 견훤이나 궁예 같은 자가 나와서 몽둥이를 휘두른다면 근심하고 원망하던 백성들이 가서 따르지 않으리라고 어떻게 보증하겠는가? 기주. 양주3)에서와 같은 천지를 뒤엎는 변란은 발을 구부리고 기다릴 수 있을 것이다. 백성을 다스리는 사람이 두려워해야 할 만한 형세를 명확하게 알아서 시위와 바퀴를 고친다면, 4)오히려 제대로 된 정치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성소부부고》5) 권 11


조선 후기의 학자 허균이 한문으로 지은 글이다. 이 글에서 작자는 백성을 항민, 원민, 호민으로 나누고 있다. 항민은 자기의 권리나 이익을 주장할 의식이 없이 그냥 정해진 법을 따라서 윗사람에게 부림을 당하면서 사는 사람들이다. 원민은 끝없는 수탈을 못 이겨 윗사람을 탓하고 원망하면서,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호민은 남모르게 딴마음을 품고 있다가 틈새를 엿보아 시기가 오면 들고일어나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자기가 받는 부당한 대우와 사회의 부조리에 도전하는 무리들이다.

작자는 이 세 가지 백성 가운데 호민을 특히 경계해야 한다고 말한다. 항민이나 원민은 그렇게 두려운 존재가 아니지만, 호민은 두려워해야 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호민은 농민 봉기의 기폭제와 같은 존재이기 때문이다. 호민이 반기를 들고일어나면, 단순히 호민들의 봉기에 그치는 것이 아니고, 원민들이 소리만 듣고도 저절로 모여들고, 안민들도 또한 살기를 구해서 따라 일어서게 된다.

그는 이 같은 실례를 중국의 역사에서 빌어다 제시하고 있다. 진나라가 망한 것은 진승과 오광 때문이고, 한나라가 어지러워진 것은 황건적이 원인이었으며, 당나라도 왕선지와 황소가 틈을 타서 난을 일으켰는데 끝내 이 때문에 나라가 망하고 말았다. 이들이 모두 호민으로서 학정의 틈을 노리고 봉기하여 나라를 망하게 했다는 것이다.

작자는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현실을 진단하고는 호민이 일어날 가능성에 대해 경고하였다. 우리 조선의 경우를 보면 백성이 내는 세금의 대부분이 간사한 자에게 흩어지므로, 무슨 일이 있으면 한 해에 두 번도 걷는다. 그래서 백성들의 원망은 고려 때보다도 더 심하다. 그런데도 위에 있는 사람들은 태평스럽게 두려워할 줄도 모르고 "우리 나라에는 호민이 없다."고한다. 그러므로 호민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 옛날의 견훤과 궁예 같은 자가 나와서 난을 일으키고, 백성들이 이에 동조할 가능성이 높다고 하였다.

백성의 성격을 세 부류로 나누어 현실을 진단하고, 예견되는 미래의 가능성을 제시한 이 글은, 결국 위에 있는 사람들이 두려운 형세를 바로 알고 정치를 바로 하여야 한다는 것이 그 요지이다. 기성의 권위에 맞서 새로운 사상과 개혁의 이론을 내세운 허균의 비판적 의식의 일면을 보여주는 글이다.

--------------------------------------------------------------------

1) 허균(許筠 1569~1618) : 조선 후기의 문인, 정치가. 자는 단보(端甫), 호는 교산(蛟山). 문학세가에 태어나 28세에 문과에 장원하여, 좌참찬에까지 이르렀다. 서얼 출신인 서양갑(徐羊甲) 등의 반역에 가담한 것이 탄로나 역적으로 처형되었다. 당대 제일의 문장가요 시인이었으며, 특히 시에 대한 안목이 높았다. 문집으로 《성소부부고》가 있고, 시화 집으로는《성수시화(惺瘦詩話)》등이 있다.

2) 삼공(三空) : 흉년든 탓으로 사당에 제사를 지내지 못하고, 서당에 학생이 없이 텅비고, 뜰에 개가 얼씬거리지 않는 것을 말함. 즉 관청에 물자가 달림.

3) 기주(夔州)·양주(梁州) : 진 승과 오광, 왕선지와 황소가 난을 일으켰던 지명명방.

4) 시위와.......고친다면, : 느슨한 활시위를 팽팽하게 당겨 놓고, 망가진 바퀴를 바고 고친다는 뜻으로, 정치를 올바로 함을 상징함.

5) 《성소부부고》: 허균이 지은 시문집. 광해군 3년 허균이 직접 정리한 것으로 모두 43권 12책.

2007/03/22 02:37 2007/03/22 02:37

Trackback URL :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Trackback RSS : http://www.fallight.com/rss/trackback/880

Trackback ATOM : http://www.fallight.com/atom/trackback/880


« Previous : 1 : ... 825 : 826 : 827 : 828 : 829 : 830 : 831 : 832 : 833 : ... 1287 :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