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3.30

2007/03/30 02:47 / My Life/Diary
비가 왔다.

요즘은 비가 와도 술집이 붐비지 않는다.

우울한 사람이 없거나, 우울한데 돈이 없거나, 비가 와도 우울하지 않거나

이제는 술이 우울의 안식처가 아니던가 -- 설마 술집이 없나?

모두 안으로 삭히는 법을 깨달은 걸까. 그래서 빗소리 뿐인가.


비가 오면 우울한가, 혹은

내가 우울해서 비가 오는 걸까

둘 중에 어느 것이던 사실 나를 제외한 그 누구에게도 상관이 없다.

그러니, 되도록

내가 우울하면 비가 오는 것으로 하자.


내가 살아낸 길은 결코 다시 걷고 싶지 않다, 라는

순간

비가 내렸다, 고

믿고 싶다.
2007/03/30 02:47 2007/03/30 02:47
TAGS

2007.03.27

2007/03/27 04:29 / My Life/Diary

새로운 무언가를 시작하는 건 언제나 어렵다.
코치해주는 사람이 없을 경우 -- 코치 받을 만한 사람인지 판단하는 건 더 어렵기에 차라리 혼자 하는 것이 낫다.
처음 6개월은 방향을 잡는 것부터 어렵게 시작해 진도도 더디고 이해도 더디다.
대략 1년 정도 매진하면 꺼릴 것이 없다. 어디가서 아는 체도 할 수 있다.
아무런 알맹이도 없고, 비판적이지도 못하다. 앵무새 수준에 잘난 체 정도. 의외로 대부분이 여기서 끝난다.
2년 정도 매진하면 준전문가 수준은 되는데, 그래서 석사 과정이 2년인지도?
그래도 앵무새 수준은 벗어나지만 더욱 뻔뻔해진 잘난 체 정도.
그 이후부터는 관련 지식의 적립이다.
그러니까 기본 체계가 잡히고 scheme가 확립된
대략 3-4년부터 그 분야에 있어 개인 능력의 진전은 연륜과 아무 관계도 없다, 고 나는 생각한다.
풀어낼 꺼리만 늘어날 뿐.

뒤돌아보면 놀랍게도 내 스스로 독창적인 것은 하나도 없다.
모두 누군가의 것을 배우거나 베낀 것이며 책을 읽어 받아들인 사상을 그대로 답습할 뿐이다.
문제는 시간이 지나면, 모두 본래 자신의 머리에서 나온 것으로 착각한다는 것이다.
어느 한가한 날 책을 뒤적이다가 내 사상의 근거가 되는 구절을 발견하고는 좌절한다.
그 내용을 읽었던 기억은 당연히 전혀 없다. 단지 내가 그어논 몇 개의 줄만이 읽었음을 말해줄 뿐이다.
피상적으로 이해만 했을 뿐 제대로 읽지를 않았다는 것이다.
겸손하고 싶어서 겸손해지는 것이 아니라 불쾌하고 분하지만 겸손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한탄만 하다 이대로 살다 뒈지는 건 아닐까?
남들처럼 살기는 싫은데, 문제는 서울역에서 신문 깔고 자는 것도 특별한 거고
김우중이처럼 대물이 되는 것도 특별하니. 어느 쪽을 선택하느냐
빠르고 확실한 방법으로 전자요, 느리고 불확실한 방법으로 후자가 있는데
지금껏 말만 씨부리며 망설인 채 살아왔지 않느냐, 2005년의 일기에도 이런 내용이 되풀이 되고 있다.

졸리면 배가 고프기 시작한다. 생각해보니 성욕도 솟는 것 같다.
어쩌면 모든 욕망은 연결돼 있을 지도 모른다.
-- 아마 이것도 어딘가에서 읽었던 내용인지도 모른다.

만약 누군가 ‘A는 B보다 적거나 같다, 그리고는 다시 A는 B보다 크거나 같다는 걸 처음으로 보여주어 A와 B라는 수가 같다는 걸 입증해 낸다면, 그것은 옳은 방법이 아니다. 대신 그들(두 수)이 근본적으로 같다는 이유를 정확히 파악해 같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 (에미 뇌터, http://www.sciencetimes.co.kr/data/article/20000/0000019147.jsp)

2007/03/27 04:29 2007/03/27 04:29
TAGS

미디어칸 기사 프린트 페이지 인쇄하기   


박노자교수 “논개는 조작된 영웅…정치적 미화”

최근 경남 진주 의기사(義妓祠)에 있는 논개(論介) 영정의 복사본을 강제로 떼어낸 진주시민단체 회원 4명이 대법원으로부터 유죄를 선고 받았다. 이들은 친일 화가 이당 김은호가 영정을 그렸다는 이유로 영정을 떼어냈다. 논개를 국난 극복의 대표적인 여성 영웅, 민족의 영웅으로 인식하는 일반인의 시선을 감지할 수 있는 대목이다.

과연 논개는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에 왜장을 껴안고 죽은 것일까. 박노자 노르웨이 국립오슬로대 교수는 아니라고 단언한다. 그는 논개가 왜장 게야무라 로구스케를 껴안고 투신한 것도, 전남 장수가 고향으로 본관은 신안 주씨라는 인적 사항도 모두 후대에 조작된 것들이라고 주장한다. 박교수는 오는 31일 연세대 위당관에서 열릴 열상고전연구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임진왜란과 의기(義妓)전승-전쟁, 도덕, 여성’이란 논문을 통해 논개의 죽음에 수많은 정치적 미화가 곁들여졌다고 발표한다.

논개와 관련된 최고(最古)의 자료인 유몽인의 ‘어우야담(1621)’에는 논개가 ‘욕을 보지 않으려고 죽은’ 것으로 쓰여있다. 유몽인은 임진왜란때 광해군을 따라 진주에 갔을 당시 들은 목격담을 기록하고, 자신의 해석을 덧붙여 논개의 죽음을 ‘유교 군주의 교화를 입어 차마 나라를 버리고 적을 따르지 못하는’ 관기의 가상한 충성심으로 파악했다.

논개의 죽음에 대한 본격적인 각색은 18세기 초 진주지역 유생과 지방관료들에 의해 진행된다. 이들은 조정에 논개에 대한 봉작과 사당 건립을 요청하면서 그저 ‘왜군’으로 묘사되던 ‘강간범’을 ‘왜장’으로 승격시키고, 강간범으로부터 자신을 지키려 했던 논개를 의도적으로 왜장을 유혹해 투신해 전공을 세운 여성 의사(義士)로 그려낸다. 18세기 중반 논개를 기리는 의기사가 세워진 후에는 출신, 신분이 불분명하던 논개에게 고향과 본관이 생긴다. 또 임진왜란 당시 전훈을 세우고 순국한 의병장 최경회(1532~93)의 천첩으로 신분도 승격됐다.

박교수는 논개의 신격화를 당시 진주가 차지하던 사회정치적인 지위와 연결지어 설명한다. 이중환의 ‘택리지’에 따르면 진주는 구례, 남원과 더불어 조선 최대의 옥토로 일컬어지던 곳. 이를 바탕으로 진주의 양반은 강력한 세력을 유지했고 조선 초기만해도 중앙으로의 진출 역시 활발했다. 진주가 고향인 남명 조식(1501~72)은 이곳에서 유가의 실천정신을 중시하며 남명학파를 이끌었다. 그러나 남명학을 이념적 지주로 삼던 광해군 정권이 인조반정(1623) 이후 몰락하고 이인좌의 난(1728)의 사상적 뿌리가 남명학에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진주는 역모의 사상적 고향으로 찍혀 차별을 받기 시작했다.

박교수는 이 때문에 진주의 유생과 사대부들이 진주를 충절의 고향으로 승격시키기 위해 논개의 신격화에 매달렸다고 설명한다. 이후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민족주의적 요소까지 덧씌워지면서 논개가 민족의 영웅으로 추앙받기에 이르렀다는 것. 박교수는 논개의 행동을 민족주의, 국가주의적 시각에서 바라보는 데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논개가 설령 국가와 임금 혹은 민족을 생각하지 않았다하더라도 자신을 지킨 행동이 폄훼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윤민용기자〉


- Copyright ⓒ 1996 - 2007 . 이 페이지의 모든 저작권은 (주)미디어 칸에 있습니다 -

2007/03/27 00:09 2007/03/27 00:09
TAGS

« Previous : 1 : ... 269 : 270 : 271 : 272 : 273 : 274 : 275 : 276 : 277 : ... 429 :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