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도쿄돔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일본의 WBC 예선전, 여러가지를 생각하게 한다. 10년쯤 전이었다면 오늘처럼 일본에 콜드 게임으로 지는 것도 그리 충격적인 사건은 아니다. 그만큼 한국 야구가 성장했다고 보는 게 좋지 않을까? 특히 오늘 흥미로운 것은 스무 살의 김광현을 흔드려고 서른 다섯의 이치로가 기습 번트를 시도했다는 점이다.

오래 전에 친선 경기인지 슈퍼 게임인지 당시 일본 오릭스 소속이던 이치로가 한국을 찾은 적이 있다. 당시에도 슈퍼스타이던 이치로는 경기에 출전하기는 커녕 파울 라인 옆에서 캐치볼만 하고 들어갔다. 그 모습이라도 보겠다고 중계 카메라며 관중들이 그리로 몰렸던 기억이 난다. 그랬던 그가, 오늘은 이겨보겠다는 일념으로 기습 번트며 6점 차에 도루까지 (확신하건데 모두 이치로 스스로의 선택이다.) 감행하는 모습을 보니 한편으로 한국 대표팀이 대견하기까지 하다.

김광현은 오늘 분명 컨디션이 안 좋았다. 그것이 치통, 진통제, 공인구 적응, 스트라익 존, 압도적 분위기 등등 어느 것이 되었건 간에 킬러로서의 구위는 아니었다. 단조로운 구종의 그가 구위를 잃은데다 커맨드 마저 찾지 못하니 박경완도 어찌할 도리가 없었던 것이고... 결국 애매한 변화구 하나를 통타 당해 자멸하고 말았다. 그러나 김광현은 아직 스무 살. 평생의 자산이 될 쓰디쓴 경험을 했다고 생각하면 한국 야구의 앞날은 더욱 밝다.

어찌 보면 오늘 콜드 게임은 차라리 좋은 결과일지도 모른다. 아직 감을 찾지 못한 추신수나 이대호 같은 중심 타자들이 더 많은 경기를 뛰며 감을 끌어올릴 수 있고, 흐릿한 목표 의식의 선수들 스스로가 다시 각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에 하나 중국에 진다면... 야구는 그런 것이라고 말하고 싶다.

오늘 경기에서 다소 의아했던 점은 박경완을 일찍 내린 것이다. 김광현 리드의 책임을 묻는 차원에서 내렸다고 보기는 어렵다. 앞서 말했듯 박경완이 쓸 수 있는 카드가 많지 않았고, 김인식 감독도 이를 충분히 알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김광현이 무너진 후 김인식 감독은 경기를 포기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 이후 구원 나온 정현욱을 빨리 내리고 장원삼을 길게 가져간 것을 봐도 그런 마음이 깔려 있었던 것 같다. 더불어 어제 대승을 거둔 선수들에게 경각심을 심어주고자 했는지도 모른다. 최악의 경우라도 콜드 게임을 내주고 팀을 재정비해 본선에서 겨뤄보자는 심산이 아니었을까? 살을 주고 뼈를 친다.

예선전 최선의 목표는 본선 진출이고, 대만이 떨어져 나가면서 그 목표는 거의 달성된 것이나 다름 없었다. 콜드 게임이 치욕스럽기는 하지만 감당할 수 없을 정도는 아니다. 잊었을지 모르지만, 우리 대표팀은 일본 아마추어 팀에게도 패했던 전력이 있다. 나는 끝까지 긍정적인 시각으로 대표팀을 바라보고 싶다. 시합은 끝날 때까지 끝난 것이 아니다.

2009/03/07 22:32 2009/03/07 22:32
TAGS

2009.02.25

2009/02/25 02:39 / My Life/Diary
그것이 헛된 일임을 안다.
ㅡ「먼 곳에의 그리움」, 전혜린

값싸고 양 많은 공동번역 성서를 꺼내들자 사진 한 장이 떨어졌다. 한복을 곱게 차려 입은 몇몇 신도들과 김 스테파노 추기경이 놀이터 앞에서 꽃을 들고 있다. 20년이 훌쩍 넘어버린 성경과 사진이다.

아! 네가 비참하게 되리라.
자기를 빚어 낸 이와 다투는 자여.
옹기그릇이 옹기장이와 어찌 말다툼하겠느냐?
ㅡ「이사야」45:9-11

아마도 나는 사진 바깥 어디선가 그네를 타고 있을 것이다. 아무 기억도 없지만, 나를 처음 가르친 곳은 천주교 유아원이다. 내 한계선은 거기서 그어졌다. 이 마르꼬 소년.

나는 복음서 아무 데를 찾아보아도
계명이나 위협이나 금지를 찾아낼 수가 없다.
“그렇지만 아버지, 저도 역시 영혼들의 행복을 바라고 있어요.” 그는 말했다.
“아니다, 너는 영혼들의 복종을 바라고 있지.”
“복종 속에 행복이 있는 것입니다.”
ㅡ『전원교향악』, 앙드레 지드

한 달 쯤 전부터 윗어금니 잇몸에 염증이 생겨서 시큼거리고 피가 흐른다. 입 속을 흐르는 피 때문에 구취가 생길 무렵, 김 스테파노 추기경이 죽을 고비를 넘겼다는 소식을 들었다. 사실은 이미 그때 몇 가지 쓸거리를 구상했다. 그리고 내심 이 생각이 사라지기 전에...

그렇지만 하느님 없이 인간이 과연 선한 일을 행할 수 있을까?
문제는 바로 이거야. 나는 언제나 그 문제를 갖고 생각하는 거야.
그렇게 되면 인간은 누구를 사랑할 수 있단 말인가?
ㅡ『까라마조프가 형제』, 도스토옙스키

마지막 고해성사는 고역이었다. 고할 죄를 만드는 일에 지쳐버렸다. 벽 뒤에 누가 있던지 간에, 인간의 죄를 감당할 수 있는 인간은 없다.

김 스테파노 추기경 옆에서 꽃을 들고 있던 이 데레사 여사는 요즘 미신에 빠져 있다. 몇 년 전에는 부적을 쓰는데 돈을 대더니, 급기야 좋은 이름을 반복해서 들으면 운명이 바뀐다는 아주 <과학적인> 미신에 혹해 두 번째 이름을 만들어 왔다. ㅡ 아, 그 돈은 다만 얼마간의 헌금입니다. 어디에 쓰이던 천국의 천칭에선 같은 질량을 갖습니다. (천국이 있다면 말이죠?) 상황이 종교를 만듭니다. 꽃도 신앙도 인간도, 철이 바뀌면 시들지요.

피는 계속 흐르고 염증은 낫지 않는다. 죽을 때까지 쑤실 것만 같다.

나는 아무도 사랑하지 않나니.
아멘.

2009/02/25 02:39 2009/02/25 02:39
TAGS

ANS Test

2009/02/20 23:45 / My Life/Diary


선천적인 어림짐작을 통한 수리감각 (Approximate Number Sense , ANS) 테스트

0.2초 동안 나타나는 노란색과 파란색 원 가운데서 수가 많은 쪽에 클릭하면 됨. 원의 개수, 색깔간의 개수 차이는 매번 변함. 보다 나은 측정을 위하여 25회 이상 실시할 것을 권고함. 일반 성인의 경우 75%의 정확도를 보임.
http://www.nytimes.com/interactive/2008/09/15/science/20080915_NUMBER_SENSE_GRAPHIC.html

난 내 대가리가 수리영역에서는 돌대가린줄 알았는데 그래도 어느 정도는 쓸모가 있는 듯? 어찌 됐건 쓸 곳은 없다. 그리고 이런 종류의 테스트는 놀랍게도(?) 침팬지가 인간을 몇 배나 능가한다. 나는 인간보다는 침팬지에 가깝다. 그래서 즐겁구나.
2009/02/20 23:45 2009/02/20 23:45

« Previous : 1 :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 429 : Next »